연세의료원 100년전 진료현장 희귀 영상 공개 '눈길'

발행날짜: 2025-04-25 11:51:03
  • 제중원 140주년 기념해 의료선교사 촬영분
    1930년대 세브란스병원 소아병동·병원 김장 장면 담겨

올해 제중원 140주년을 맞은 연세의료원이 100년전 진료하는 모습이 담긴 희귀 영상을 공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연세의료원은 25일, 의료선교사 노먼 파운드(Norman Found)가 직접 촬영한 희귀 필름 영상을 공개했다. 사진 속에는 세브란스병원 소아병동, 의학교 졸업실, 병원 김장 장면 등이 담겼다.

세브란스병원 소아병동 내 환아 모습

이번에 공개한 필름은 1927년부터 1935년까지 파운드 선교사가 세브란스병원에서 진료 및 교육 활동을 펼치던 시기에 직접 촬영한 영상으로 확인됐다. 동은의학박물관이 파운드 선교사의 후손으로부터 기증받은 9.5mm 필름을 디지털 복원한 것이다.

영상에서는 세브란스병원 소아과 병동과 더글라스 B. 에비슨 박사를 만나볼 수 있다. 환아들이 병동에서 우유를 먹는 모습과 함께 간호사가 환자를 돌보는 모습 등을 다채롭게 담았다.

간호사가 소아병동에서 환아를 돌보는 모습
병원 내 김장 풍경

더글라스 B. 에비슨 박사는 세브란스병원과 한국 의학 발전에 큰 역할을 한 올리버 R. 에비슨의 아들. 미국 북장로교 소속 의료선교사로 1923년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교수로 부임했다.

그의 부임과 함께 세브란스의전에서 소아과학교실이 독립된 학과로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초대 과장으로 활약한다. 또 조선에서 널리 유행한 말라리아 치료법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노먼 파운드는 의학교 학생과 교수들이 졸업식장을 향하는 모습, 간호사와 간호학생 모습 등 의학 현장의 면면을 담았다. 당시 간호사와 간호학생 구분은 모자(너스 캡)와 옷으로 가능했다. 간호사 모자 아래 부분에 띠가 그려져 있지만 학생 모자는 민무늬인 것이 눈에 띈다.

의료 현장 외에도 세브란스병원이 서울역 앞에 위치했을 당시 영상인 만큼 서울 도심에서의 사람들 복식, 병원 내 김장 담는 모습 등을 살필 수 있는 가치 높은 역사적 사료가 될 전망이다.

해당 영상은 유튜브 채널 '세브란스'와 세브란스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은의학박물관 김세훈 관장은 "이번 사료는 1885년 제중원 설립으로부터 시작된 한국 근대의료의 흐름이 세브란스와 연세의료원으로 이어지는 정통성을 고스란히 증언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 관장은 "세브란스병원의 노먼 파운드 선교사가 진료, 교육, 연구는 물론 사료 기록까지 아우르는 의료인의 모델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오늘날 연세의료원의 철학인 '인술구제' 정신의 뿌리를 확인할 수 있다"며 "디지털 복원을 통해 학술 연구는 물론 전시와 교육 자료로도 폭넓게 활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