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배보다 배꼽' 약국 조제료 손보기 나선다

박진규
발행날짜: 2011-03-26 06:50:53
  • 분업TFT, 건보재정 낭비요인 대국민 홍보 벌이기로

[메디칼타임즈=] 의사협회가 약국 조제료의 문제점을 앞세워 의약분업 재평가와 제도개선 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25일 의사협회에 따르면 의약분업 TFT는 최근 9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TFT는 의약분업 재평가와 제도개선 홍보 추진 안으로 약값보다 비싼 조제료가 건강보험 재정 낭비 요인이라는 주장을 담은 포스터를 제작해 배포하기로 했다. 또 대회원 교육과 홍보용으로 제작하는 만화 주제 국민불편, 의료비 증가, 조제료 문제를 선정했다.

이를 위해 의약분업 재평가를 통해 줄일 수 있는 조제료 등에 대한 수치적 계량화 작업과 각국의 제네릭 약가에 대한 현황파악을 의료정책연구소에 의뢰하기로 했다.

TFT에 따르면 약국 조제료로 지출된 돈은 의약분업 이후 10년간 총 18조4324억원이다. 이는 같은 기간 약제 급여비 66조7232억원의 27.65에 해당하는 수치다.

단순 수치상으로도 문제점이 드러나지만 조제료를 처방 일수별로 계산해보면 더욱 심각해진다.

조제료와 의약품관리료는 처방일수별로 산정하하기 때문에 약값보다 조제료가 더 많은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실제 갑상선기능저하 환자에게 씬지로이드 1개월치를 처방한다고 했을 때, 1개월치 약값은 390원에 불과하지만 여기에 약국 조제행위료가 더해지면 총 약제비는 9950원이 된다.

약사들이 이 약을 내어주면서 받는 조제료는 약국관리료 620원·조제기본료 560원·복약지도료 680원에 30일치에 해당하는 조제료 5580원·의약품 관리료 2120원 등 총 9560원으로 약값의 24.5배에 달한다. 총 약제비 가운데 조제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96%다.

TFT 윤창겸 위원장은 "의약분업을 바로잡고 건강보험 재정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약국 조제료부터 개선해야 한다"며 "이런 사실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일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에는 최근 "건강보험재정 파탄의 주범인 약국 조제료 없애주세요"라는 이슈청원이 올라와 인기리에 서명운동이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병·의원 기사

댓글 6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간조 2011.06.09 02:46:25

    6년제로 변경되겟군
    3년제-4년제-6년제로 인플레 되겠군.의사하고 같이 놀려고 악 쓰겠군

  • ㅋㅋㅋ 2011.05.02 16:31:52

    전문대 차별한 건 간호사들 본인임

    근데 전문대 차별받으면 안되니깐 전문대 없애고,4년으로 늘려야 한대..
    인과관계를 혼동하고 있는 거지..
    돌빡들이 나름 머리 굴렸다고 좋아하는데,
    정상인이 봤을땐 한마디로 또라이들이지..
    참고로 간호대가 4년제로 통일된 곳은 지구상에 인도네시아,호주 두 나라밖에 없음..대학 나온 남자가 할 직업이 아니라는 뜻..

  • 음음 2011.05.02 11:43:17

    획일화는 민주사회에서 금기
    다양한 경로를 살려두는 게 사회가 풍요로워지는 수단이다.

    법으로 특정 직업/학문의 경로를 하나로 강제하는 것은 잘못이다.
    다양한 요구는 다양한 제도로 들어줘야 한다.
    대우를 고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학제를 고치려고 하는 유아적인 발상을 낸 관계자들은 반성해야 한다.

  • 미친년들 2011.04.30 18:41:52

    전문대에서 4년을 배우네
    웃기는 법안이군..
    그러면 전문대는 왜 만들었냐?

  • 미쳤어! 2011.04.30 16:24:53

    미쳤군
    낭비다

  • 간호대 2011.04.29 22:31:06

    망국병
    3류간호대 졸업생도 전부 대학병원만 가니 ..
    한국의료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다.
    간호사 구할 수 없는 중소병원 현실에 따라 조무사인력을 간호사 대체인력으로 인정하는 법안이야 말로 숙원사업일 것이다.
    대기업만 있는 나라는 망국의 지름길이듯 대형병원만 있으면 의료재앙이 닥칠 것이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