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CT·PET 수가 폭탄…최대 3천억원 인하

이창진
발행날짜: 2011-03-19 06:50:07
  • 복지부, 건정심에 수가조정안 보고…병원 손실 불가피

MRI와 CT, PET 등 영상장비 검사수가가 최고 33%까지 인하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비용 절감액으로 환산하면 2천억~3천억원대의 경영손실이 불가피해 의료계의 반발이 예상된다.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는 18일 제4차 회의에서 의결안건인 ‘영상검사 수가 합리화 방안’을 결정하지 못하고 제도개선소위원회로 넘겼다.

복지부 측은 회의 후 보도자료를 통해 “내용연수 및 검사건수 증가에 따른 검사비 인하의 필요성에는 공감했으나 인하율 산정기준 및 방법 등에 의견수렴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며 연기된 이유를 설명했다.

건정심에 보고된 장비별 수가 조정안.
건정심에서 공개된 수가조정안은 장비별 최하 17%에서 최고 33%의 수가인하율을 보였다.

이번 수가조정안은 급여 대 비급여율을 MRI는 1대 2로, PET는 85대 15로 설정했다.

또한 ▲1안:비효율 장비조정 기준을 일일 검사건수 3건 이하인 장비를 제외하고 수가산정 ▲2안:연간 검사건수가 평균건수 이하인 기관의 건수를 평균건수로 대치해 수가 산정 등을 구분했다.

이를 적용하면, MRI는 현 수가 21만 8730원에서 14만 5423원(1안)과 14만 6553원(2안) 등으로 각각 33.5%와 33.0% 대폭 인하된다.

PET의 경우 현 수가 34만 2730원에서 27만 3920원(1안)과 27만 7940원(2안) 등으로 20.1%와 18.9%로 조정된다.

상대가치점수제로 관리 중인 CT는 7만 420원인 현 수가가 5만 8310원(1안)과 4만 9261원(2안) 등으로 17.2%와 30.0% 등으로 각각 인하된다.

비용 절감액은 ▲CT:1208억원(1안), 2110억원(2안) ▲MRI:770억원(1안), 759억원(2안) ▲PET:232억원(1안), 219억원(2안) 등으로 이를 합산하면 2210억원(1안)과 3088억원(2안) 등의 규모이다.

복지부 측은 건정심 결정안에 따라 상대가치점수 산정 및 관련 고시를 개정하고 3개 장비의 관련 272개 수가는 각각 기본값을 기준으로 재산정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