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리베이트 제보 100여건 확보"…제약, 문단속 비상
오늘부터 의약품 처방 목적으로 병·의원 등에 리베이트를 준 제약사 등에 대대적인 수사가 진행된다.
보건복지부는 5일 긴급 브리핑을 통해 "서울중앙지검에 의약분야 전문검사, 특수부 출신 검사와 검찰 및 경찰 수사관, 복지부, 식약청, 심평원, 건보공단 산하 직원 등을 총망라된 리베이트 전담 조사반이 구성됐다"고 밝혔다.
이어 "리베이트 관련 제보 100여 건을 확보했고, 이중 20여 건은 검찰에 제공했다"며 "특히 리베이트로 엮인 제약사 여러 곳과 의료기관 100여 곳을 검찰에 넘겼다"고 강조했다.
소문으로만 돌던 '4월 리베이트 조사설'이 현실로 닥친 것이다. 제약업계는 '올 것이 왔다'면서 불안한 기색이 감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A제약사 임원은 "4월 리베이트 조사설이 현실화됐다. 쌍벌제 시행이 4개월이 지나는 시점에서 시범 케이스를 적발해 본보기를 보이려는 의지가 강해보인다"며 "다른 업무는 제쳐놓고 리베이트 수사에 대비해야 겠다"고 하소연했다.
국내 B제약사 관계자는 "확보한 리베이트 제보만 100여 건이라는 얘기는 모든 제약사가 수사 물망에 올랐다는 것"이라며 "하반기에 발표될 새 약가인하 정책 등의 명분을 얻기 위한 사전작업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까지 든다"며 고개를 저었다.
한편, 제약업계는 이 같은 정부 리베이트 조사에 대비하기 위해 내부 기밀 유출 막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중앙 서버에 문서를 통합관리 하는가 하면, 직원 입단속에도 철저함을 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 중소제약사 임원은 "모든 영업관련 문서는 중앙 컴퓨터에 저장된다. 서류는 아무나 출력할 수 없고, 설령 인쇄해도 인적사항이 남는다. 내부고발을 방지하려는 조치"라고 귀띔했다.
이어 "영업 활동비 역시 통제를 받는데, 이 역시 회사 중앙 컴퓨터에 기입해야 한다. 만약 A내과에 약을 넣기 위해서 판촉비가 얼마 필요하다고 입력하면, 회사의 판단 아래 돈이 나온다. 보안을 위해 사이트가 열리는 시간도 따로 있다"고 혀를 내둘렀다.
보건복지부는 5일 긴급 브리핑을 통해 "서울중앙지검에 의약분야 전문검사, 특수부 출신 검사와 검찰 및 경찰 수사관, 복지부, 식약청, 심평원, 건보공단 산하 직원 등을 총망라된 리베이트 전담 조사반이 구성됐다"고 밝혔다.
이어 "리베이트 관련 제보 100여 건을 확보했고, 이중 20여 건은 검찰에 제공했다"며 "특히 리베이트로 엮인 제약사 여러 곳과 의료기관 100여 곳을 검찰에 넘겼다"고 강조했다.
소문으로만 돌던 '4월 리베이트 조사설'이 현실로 닥친 것이다. 제약업계는 '올 것이 왔다'면서 불안한 기색이 감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A제약사 임원은 "4월 리베이트 조사설이 현실화됐다. 쌍벌제 시행이 4개월이 지나는 시점에서 시범 케이스를 적발해 본보기를 보이려는 의지가 강해보인다"며 "다른 업무는 제쳐놓고 리베이트 수사에 대비해야 겠다"고 하소연했다.
국내 B제약사 관계자는 "확보한 리베이트 제보만 100여 건이라는 얘기는 모든 제약사가 수사 물망에 올랐다는 것"이라며 "하반기에 발표될 새 약가인하 정책 등의 명분을 얻기 위한 사전작업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까지 든다"며 고개를 저었다.
한편, 제약업계는 이 같은 정부 리베이트 조사에 대비하기 위해 내부 기밀 유출 막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중앙 서버에 문서를 통합관리 하는가 하면, 직원 입단속에도 철저함을 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 중소제약사 임원은 "모든 영업관련 문서는 중앙 컴퓨터에 저장된다. 서류는 아무나 출력할 수 없고, 설령 인쇄해도 인적사항이 남는다. 내부고발을 방지하려는 조치"라고 귀띔했다.
이어 "영업 활동비 역시 통제를 받는데, 이 역시 회사 중앙 컴퓨터에 기입해야 한다. 만약 A내과에 약을 넣기 위해서 판촉비가 얼마 필요하다고 입력하면, 회사의 판단 아래 돈이 나온다. 보안을 위해 사이트가 열리는 시간도 따로 있다"고 혀를 내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