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김성훈 교수팀 발표 "DNA 손상 막고, 단백질 합성 억제"
국내 연구진이 암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단백질합성효소의 기능을 최초로 발견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효소는 DNA 손상을 막고 단백질합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동시에 하고 있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 의약바이오컨버젼스 연구단 김성훈 단장(서울대 분자의학바이오제약과) 팀이 MRS(Methionyl-tRNA Synthetase)라는 단백질합성효소가 손상된 DNA를 고치고, 단백질 합성을 중단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세포는 DNA가 외부 스트레스 등에 의해 손상되면 정상적으로 진행하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 손상된 DNA 복구에 나선다. 이 때 DNA가 복구되지 않으면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MRS는 평소에는 AIMP3/p18라는 단백질과 결합돼 있다. AIMP3/p18는 단백질합성효소와 결합하는 다기능 단백질로 암억제 및 노화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DNA가 손상되면 MRS는 이 단백질을 분리시켜 DNA를 고친다. 그리고 MRS는 자체변형을 일으켜 단백질 합성을 중단시킨다.
김성훈 단장은 "단백질 합성과정은 암, 노화, 각종 대사질환 발생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어 많은 제약사들이 신약개발을 위한 표적으로 연구하고 있다"며 "이번 발견으로 신약개발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김 단장팀의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1일자에 게재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 의약바이오컨버젼스 연구단 김성훈 단장(서울대 분자의학바이오제약과) 팀이 MRS(Methionyl-tRNA Synthetase)라는 단백질합성효소가 손상된 DNA를 고치고, 단백질 합성을 중단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세포는 DNA가 외부 스트레스 등에 의해 손상되면 정상적으로 진행하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 손상된 DNA 복구에 나선다. 이 때 DNA가 복구되지 않으면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MRS는 평소에는 AIMP3/p18라는 단백질과 결합돼 있다. AIMP3/p18는 단백질합성효소와 결합하는 다기능 단백질로 암억제 및 노화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DNA가 손상되면 MRS는 이 단백질을 분리시켜 DNA를 고친다. 그리고 MRS는 자체변형을 일으켜 단백질 합성을 중단시킨다.
김성훈 단장은 "단백질 합성과정은 암, 노화, 각종 대사질환 발생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어 많은 제약사들이 신약개발을 위한 표적으로 연구하고 있다"며 "이번 발견으로 신약개발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김 단장팀의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1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