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막 이식환자 CJD 감염 "인간광우병 아니다"

이창진
발행날짜: 2011-11-29 11:34:52
  • 질병관리본부, 추적조사…식약청 "라이오듀라 수입 전무"

뇌경막 이식 후 사망 환자에서 CJD(크로이츠펠트-야콥병) 감염 사례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전병율)는 29일 "뇌경막을 이식받은 병력이 있는 환자의 조직검사 및 동물실험 결과, 치료과정에서 발생한 의인성 CJD 사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례는 54세 여성으로 1987년 뇌수막종 치료 중 독일제 수입 뇌경막(Lyodura, 라이요두라)을 이식받았으며, 수술 후 2010년 6월 발병해 산발성 CJD 의심환자로 신고돼 조사가 진행 중이던 같은 해 11월 사망했다.

이같은 결과는 한림의대 김윤중 교수팀이 대한의학회지 11월호에 발표해 알려졌다.

질병관리본부는 의인성 CJD는 감염된 조직 이식 등 의학적 치료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CJD로 인간광우병으로 알려진 변종 CJD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분류.
본부측은 환자에게 이식된 독일제 수입 뇌경막은 산발성 CJD에 감염된 환자 사체에서 적출된 뇌경막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문제가 된 독일제 뇌경막은 1987년 이후 프리온(단백질 한 종류) 감염력을 제거하기 위한 불활성화 처리해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경막대용제로 수술시 사용되는 수입 제품은 5개 제품(4개 회사)으로 국내외 사례 및 생산공정 등을 감안할 때 CJD 유발 가능성이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라이오두라를 이식받은 환자의 규모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번 사례 외에도 이식 사례가 있을 가능성이 있어 CJD 발생 가능성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감염병관리과는 "첫 의인성 CJD 사례가 발견됨에 따라 신경과 및 신경외과 학회 등과 협조체계를 구축했다"면서 "80년대 뇌경막 이식 환자의 동의를 전제로 의무기록 확인 및 신경학적 검사 등 추적조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식약청은 "라이오듀라 제품은 소의 뇌조직이 아닌 인체의 경막을 원료로 제조한 제품으로, 1987년 이후 제조 판매가 중단된 상태"라면서 "국내에는 허가된 바 없다"고 밝혔다.

또 식약청은 "1998년부터 동물 유래조직 또는 합성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제조한 제품을 안전성 유효성 검사를 거쳐 안전성이 확인된 경우 경막대용재로 허가하고 있다"고 환기시켰다.

이어 식약청은 "이 경막대용재는 수입 통관할 때 전염성해면상뇌증(TSE) 미감염증명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다. 현재 의료기관에서 사용중인 제품은 라이오듀라가 아닌 동일 제조원의 '라이오플란드'로서 식약청이 안전성을 확인한 제품"이라고 확인했다.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