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두암, 목소리-삼킴 보존하는 수술법 개발

발행날짜: 2012-03-16 00:44:04
  • 김세헌 교수팀, 100명 대상 '3D내시경+로봇팔 수술법' 진행

국내연구진이 인두암 치료에 말하고 숨쉬는 데 중요한 후두를 보존해 언어장애나 삼킴 장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수술법을 개발했다.

편도암, 설근부암, 하인두암 같은 인두암 수술을 위해서는 턱뼈를 절개하거나 말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후두를 제거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인두암 환자들은 수술 후 말하거나 음식을 삼킬 수 있는지가 가장 큰 고민이다.

세브란스병원은 이비인후과 김세헌 교수팀이 입안으로 확대 영상 촬영이 가능한 3차원 내시경과 5mm의 로봇팔을 넣어 턱뼈와 후두의 손상 없이 암을 제거하는 수술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김 교수팀의 수술법은 '구강암학회지(oral oncololgy)'에 게재됐다.

인두는 입안에서 음식물을 식도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목젖 뒤에서부터 목의 끝 식도가 시작되는 부위까지 걸쳐있다.

김세헌 교수팀은 2008~2011년 약 100례의 구인두암 및 하인두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수술법을 시행했다. 그 결과 3년 생존률이 구인두암은 96%, 하인두암은 89%였다. 음성기능과 음식물을 삼키는 기능을 최대한 보존해 모든 환자가 대화와 음식물 섭취도 가능했다.

김 교수는 “이번 수술 방식을 통해 환자들은 암 치료와 더불어 언어장애와 섭식장애를 피할 수 있어 사회에 복귀하고 적응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