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과격행태 비판 여론 비등…"폭력 정당화 안된다"
박호진 의협 중앙윤리위원장과 가족에게 가해진 온갖 욕설과 협박, 신상털기 사례가 공개되면서 의료계 내에서 비판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19일 박 위원장에 따르면 그는 노환규 당선자의 징계 사실이 알려진 직후부터 문자와 음성메시지를 통해 온갖 욕설과 협박, 성희롱에 시달려야 했다. 가족과 병원 직원에게도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보건소와 세무서에 박 위원장이 근무하는 병원에 대한 집단 민원이 제기됐고, 박호진 위원장뿐 아니라 아내 병원 직원의 사진까지 인터넷에 공개되는 소위 신상털기가 계속됐다.
박 위원장 뿐 아니라 다른 윤리위원들도 비슷한 고초를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박 위원장은 "가족과 병원 직원에게까지 욕설과 협박하는 것은 도를 넘었다"면서 "사법당국에 고발 여부를 신중히 고려 중에 있다"고 강경 대응 의사를 밝혔다.

박호진 윤리위원장에게 보내진 항의 문자들. 비교적 수위가 낮은 것만 공개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계 내에서도 "너무 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
특히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
의협 집행부를 사칭해 복지부 관계자에게 문자로 막말을 퍼부은 사건, 여성가족위원회 최영희 의원에 대한 18원 후원 사건 등 과격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의료계에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인천의 한 개원의는 "아무리 목적이 정당하더라도 폭력은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다"면서 "의료계에 이런 행태는 없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개원의는 "언제부터인가 의료계에 문자 테러방식의 항의가 넘쳐나고 있다"면서 "좀 더 합리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잘못된 정책이나 인물에 대한 비판 없이 최소한의 항의 표현 방식만을 문제삼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19일 박 위원장에 따르면 그는 노환규 당선자의 징계 사실이 알려진 직후부터 문자와 음성메시지를 통해 온갖 욕설과 협박, 성희롱에 시달려야 했다. 가족과 병원 직원에게도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보건소와 세무서에 박 위원장이 근무하는 병원에 대한 집단 민원이 제기됐고, 박호진 위원장뿐 아니라 아내 병원 직원의 사진까지 인터넷에 공개되는 소위 신상털기가 계속됐다.
박 위원장 뿐 아니라 다른 윤리위원들도 비슷한 고초를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박 위원장은 "가족과 병원 직원에게까지 욕설과 협박하는 것은 도를 넘었다"면서 "사법당국에 고발 여부를 신중히 고려 중에 있다"고 강경 대응 의사를 밝혔다.

특히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
의협 집행부를 사칭해 복지부 관계자에게 문자로 막말을 퍼부은 사건, 여성가족위원회 최영희 의원에 대한 18원 후원 사건 등 과격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의료계에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인천의 한 개원의는 "아무리 목적이 정당하더라도 폭력은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다"면서 "의료계에 이런 행태는 없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개원의는 "언제부터인가 의료계에 문자 테러방식의 항의가 넘쳐나고 있다"면서 "좀 더 합리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잘못된 정책이나 인물에 대한 비판 없이 최소한의 항의 표현 방식만을 문제삼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