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김종승 교수팀, 전달과정까지 직접 모니터링 가능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에만 정확히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복합체를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이 복합체는 체내와 암세포에 약물이 전달되는 과정까지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어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려대 화학과 김종승 교수는 최근 암세포에만 약물을 정확히 전달하고 그 전달과정까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약물전달 복합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김 교수팀은 우선 암세포에만 약물이 전달될 수 있도록 RGD 펩티드와 세포핵 내에 약물표적자를 가지고 있는 암세포 치료 약물(CPT 약물) 및 효소(-S-S, 다이설파이드)를 연결했다.
또한 약물이 나올 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광체(나프탈이미드 형광체)를 넣어 약물전달 복합체를 만들었다.
이 약물전달 복합체는 RGD 펩티드가 있어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흡수될 뿐만 아니라 약물 표적자가 있는 핵주위로 약물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어 치료효과가 극대화된다.
기존 항암제에 사용하던 복합체는 비 선택적으로,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만드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결국 기존의 약물전달 복합체는 암세포 내에서 구조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약물을 전달해 왔던 것.
또한 기존의 약물전달 복합체는 고분자나 나노입자로 만들어져 잔여물이 그대로 남아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분자가 커서 암세포까지 제대로 도달할 수 없는 등 단점이 있었다.
이에 김 교수팀은 암세포 지향 리간드(RGD 펩타이드)와 효소활성 등을 이용한 약물전달 복합체를 유기화학합성으로 만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김 교수팀은 우수한 항암효과에도 불구하고 강한 항암효과로 인한 부작용이나 물에 대한 낮은 용해도를 보여 사용할 수 없었던 CPT(Camptothecin) 약물을 나프탈이미드 형광체와 연결한(-S-S 링커) 새로운 프로드러그 형태로 개발함으로써 표적 항암제의 기반을 마련했다.
아울러 나프탈이미드 형광체를 적용함으로써 육안으로도 CPT가 암세포에만 흡수되고 효과적으로 암세포를 제거하는 모든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김종승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복합체를 개발했다"며 "또한 약물 전달과 흡수의 모든 과정을 육안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향후 다양한 질병에 대한 맞춤형 약물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복합체는 체내와 암세포에 약물이 전달되는 과정까지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어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려대 화학과 김종승 교수는 최근 암세포에만 약물을 정확히 전달하고 그 전달과정까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약물전달 복합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김 교수팀은 우선 암세포에만 약물이 전달될 수 있도록 RGD 펩티드와 세포핵 내에 약물표적자를 가지고 있는 암세포 치료 약물(CPT 약물) 및 효소(-S-S, 다이설파이드)를 연결했다.
또한 약물이 나올 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광체(나프탈이미드 형광체)를 넣어 약물전달 복합체를 만들었다.
이 약물전달 복합체는 RGD 펩티드가 있어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흡수될 뿐만 아니라 약물 표적자가 있는 핵주위로 약물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어 치료효과가 극대화된다.
기존 항암제에 사용하던 복합체는 비 선택적으로,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만드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결국 기존의 약물전달 복합체는 암세포 내에서 구조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약물을 전달해 왔던 것.
또한 기존의 약물전달 복합체는 고분자나 나노입자로 만들어져 잔여물이 그대로 남아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분자가 커서 암세포까지 제대로 도달할 수 없는 등 단점이 있었다.
이에 김 교수팀은 암세포 지향 리간드(RGD 펩타이드)와 효소활성 등을 이용한 약물전달 복합체를 유기화학합성으로 만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김 교수팀은 우수한 항암효과에도 불구하고 강한 항암효과로 인한 부작용이나 물에 대한 낮은 용해도를 보여 사용할 수 없었던 CPT(Camptothecin) 약물을 나프탈이미드 형광체와 연결한(-S-S 링커) 새로운 프로드러그 형태로 개발함으로써 표적 항암제의 기반을 마련했다.
아울러 나프탈이미드 형광체를 적용함으로써 육안으로도 CPT가 암세포에만 흡수되고 효과적으로 암세포를 제거하는 모든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김종승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복합체를 개발했다"며 "또한 약물 전달과 흡수의 모든 과정을 육안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향후 다양한 질병에 대한 맞춤형 약물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