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여 품목, 50만여 모델 표준화 "의료기기 관리시스템 물밑작업"
내년 7월부터 치료재료 코드가 표준화 된다. 치료재료의 유통과정, 질관리가 더 투명해진다는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는 27일 "의약품처럼 치료재료에도 표준코드를 부여해 바코드화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코드를 자동으로 연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심평원은 매핑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올해 말까지 표준코드 부여를 완료하고, 내년 7월부터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으로 치료재료의 수요와 유통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고 덧붙였다.
심평원은 최근 치료재료 관련 의료기기업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두차례에 걸쳐 '치료재료 코드 표준화'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
앞으로 코드가 현재 품목별에서 모델명(형명)별로 부여되고, 건강보험 청구코드가 8자리에서 9자리로 늘어난다.
심평원에 따르면 9월 현재 721개의 의료기기업체에서 1만 9947개 품목의 치료재료를 취급하고 있다. 한개 품목에는 평균 25개의 모델이 있다.
심평원은 표준화 작업을 통해 2만여개 품목, 50만여개의 모델에 코드를 부여할 예정이다.
또 업체로부터 11월말까지 업체와 치료재료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지금까지 치료재료는 약에 비해 건강보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는 이유로 관심이 낮았다. 이로 인해 유통과정이나 가격산정이 투명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심평원 관계자는 "품목별로 신고했기 때문에 재료가 어떻게 유통되고 있는지 등 자세한 부분을 알 수 없었다. 모델 하나하나에 코드를 부여하면 수요, 유통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번 표준화 작업은 현재 복지부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기기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물밑작업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현재 복지부는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처럼 의료기기도 생산, 수입부터 유통까지 이르는 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관련법 개정안을 준비중이다.
한편, 심평원은 복지부 장관이 고시한 비급여 행위목록, 적응증별 급여와 비급여가 구분되는 경우 등 비급여 의료행위 720여개 항목의 표준화도 추진중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는 27일 "의약품처럼 치료재료에도 표준코드를 부여해 바코드화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코드를 자동으로 연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심평원은 매핑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올해 말까지 표준코드 부여를 완료하고, 내년 7월부터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으로 치료재료의 수요와 유통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고 덧붙였다.
심평원은 최근 치료재료 관련 의료기기업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두차례에 걸쳐 '치료재료 코드 표준화'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
앞으로 코드가 현재 품목별에서 모델명(형명)별로 부여되고, 건강보험 청구코드가 8자리에서 9자리로 늘어난다.
심평원에 따르면 9월 현재 721개의 의료기기업체에서 1만 9947개 품목의 치료재료를 취급하고 있다. 한개 품목에는 평균 25개의 모델이 있다.
심평원은 표준화 작업을 통해 2만여개 품목, 50만여개의 모델에 코드를 부여할 예정이다.
또 업체로부터 11월말까지 업체와 치료재료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받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지금까지 치료재료는 약에 비해 건강보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는 이유로 관심이 낮았다. 이로 인해 유통과정이나 가격산정이 투명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심평원 관계자는 "품목별로 신고했기 때문에 재료가 어떻게 유통되고 있는지 등 자세한 부분을 알 수 없었다. 모델 하나하나에 코드를 부여하면 수요, 유통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번 표준화 작업은 현재 복지부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기기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물밑작업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현재 복지부는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처럼 의료기기도 생산, 수입부터 유통까지 이르는 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관련법 개정안을 준비중이다.
한편, 심평원은 복지부 장관이 고시한 비급여 행위목록, 적응증별 급여와 비급여가 구분되는 경우 등 비급여 의료행위 720여개 항목의 표준화도 추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