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5년 자료 분석 결과…환자-진료비도 연 10%씩 증가
최근 5년 사이 통풍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절반 가까이 늘었고, 진료비는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통풍(M10)'의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했다.

'통풍'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추이(2007~2011년)
그 결과 통풍 환자는 2007년 16만 3000명에서 2011년 24만명으로 5년간 약 7만 7000명으로 47.5% 증가했다.
총진료비는 2007년 158억원에서 2011년 247억원으로 약 89억원, 56.5%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10.2%, 11.9%로 나타났다.
특히 10명 중 9명은 남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남성 환자는 여성 환자보다 2007년에는 8.5배, 2011년에는 10.1배 더 많았다.
남성은 2007년 14만 6050명에서 2011년 21만 8875명으로 약 7만 2000명이 증한 반면 여성은 2007년 1만 7117명에서 2011년 2만 1763명으로 약 4000명이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도 남성이 10.7%, 여성이 6.2%로 남성이 약 4.5%p 더 높았다.
심평원은 "남성은 신장에서의 요산 제거능력이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지만 여성은 폐경 이전까지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요산 제거 능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남성에게 통풍이 더 많이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특히 40~50대의 중년 남성은 신장기능이 점차 약화돼 요산 배출능력이 감소한데다 과식, 과음, 운동부족 또는 과다운동 등으로 요산이 과잉생성돼 통풍 발생 위험에 크게 노출돼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통풍(M10)'의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했다.

총진료비는 2007년 158억원에서 2011년 247억원으로 약 89억원, 56.5%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10.2%, 11.9%로 나타났다.
특히 10명 중 9명은 남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남성 환자는 여성 환자보다 2007년에는 8.5배, 2011년에는 10.1배 더 많았다.
남성은 2007년 14만 6050명에서 2011년 21만 8875명으로 약 7만 2000명이 증한 반면 여성은 2007년 1만 7117명에서 2011년 2만 1763명으로 약 4000명이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도 남성이 10.7%, 여성이 6.2%로 남성이 약 4.5%p 더 높았다.
심평원은 "남성은 신장에서의 요산 제거능력이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지만 여성은 폐경 이전까지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요산 제거 능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남성에게 통풍이 더 많이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특히 40~50대의 중년 남성은 신장기능이 점차 약화돼 요산 배출능력이 감소한데다 과식, 과음, 운동부족 또는 과다운동 등으로 요산이 과잉생성돼 통풍 발생 위험에 크게 노출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