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인 92% "쌍벌제 후 의약사 뒷돈 요구 줄었다"

이석준
발행날짜: 2013-01-17 09:40:04
  • 자사 리베이트 비용도 감소…"영업·마케팅 변화 체감"

국회입법조사처, 52개 제약사 영업·마케팅 직원 126명 설문조사

영업·마케팅 제약사 직원들이 쌍벌제 이후 의약사 뒷돈 요구가 줄었다는 평가를 내렸다. 또 자사 리베이트 비용도 감소했으며 영업·마케팅 전략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었다고 답했다.

다만 줄어든 리베이트 비용이 연구개발비용으로 전환되는지는 의문이라고 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52개 제약사 영업·마케팅 직원 124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다.

쌍벌제와 약가인하의 리베이트 감소 효과 비교(단위: 명, %). 자료: 국회입법조사처·의약품정책연구소 설문조사 결과.
그 결과, 설문 응답자 91.7%가 '쌍벌제 시행 이후 거래처 의·약사 뒷돈 요구가 줄었다'고, 97.5%는 '자사 리베이트 비용이 줄었다'고 답했다.

그러나 '줄어든 리베이트 비용으로 연구개발투자가 이루어지는가'라는 질문에는 15.3%만이 '그렇다'고 회신했다. '그렇지 않다' 28.2%, '모르겠다' 47.6%였다. 정부의 의도대로 잘 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자사 리베이트 비용 축소에는 지난해 4월 일괄 약가인하(49.2%)와 쌍벌제(47.6%)가 비슷하게 영향을 미쳤다.

응답자 60% 이상은 쌍벌제가 영업·마케팅 전략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리베이트는 완전히 뿌리뽑히지 않았다.

응답자 중 52.1%가 '허용된 경제적 이익을 초과한 경우가 있다'고 답했기 때문.

초과분 비용처리 방법은 '허용계정 범위에서 처리한다(53.2%)', '자비부담(32.3%)', '허용외 계정으로 처리한다(13.4%)' 순이었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