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원 비뇨기과학회 회장
"비뇨기과의 위기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더 이상 방치한다는 것은 결국 완전히 망가져야 살려주겠다는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대한비뇨기과학회 한상원 회장(연세의대)은 비뇨기과의 현재 상황을 이같이 설명하며 정부의 시급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수련병원 절반이 문을 닫고 대다수 개원의들이 진료과목을 바꿔 다는 상황에서 더이상 비뇨기과를 방치하면 되돌리기 힘든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 회장은 "전공의 기피 현상은 진료과목 자체가 망가지고 있다는 극명한 현상"이라며 "그러한 면에서 최악의 기피과가 된 비뇨기과는 이미 처방 시기가 늦었다는 뜻"이라고 운을 띄웠다.
이어 그는 "하지만 정부는 이러한 현상을 외면한 채 전공의 감축 정책 등으로 비뇨기과를 더욱 압박하고 있다"며 "이러다간 진짜로 몇년 안에 외국 의사를 수입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전공의 감축정책에 대한 비뇨기과학회의 고민은 상당하다. 수련병원 대부분이 문을 닫을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부산지역을 보면 이같은 우려가 기우가 아니라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난다.
동아대병원의 경우 현재 비뇨기과에 3년차 전공의 2명 뿐이다. 만약 올해 비뇨기과 지원자가 없으면 내년부터 정원이 모두 회수돼 사실상 수련병원 자격이 박탈된다.
인제대 백병원도 마찬가지다. 전공의가 한명도 없어 복지부 방침대로라면 내년이 지나면 더이상 전공의를 받을 수 없다.
부산대병원과 고신대병원 또한 상황은 그리 다르지 않다. 저년차 전공의가 전무하다.
2014년도부터는 부산의 6개 수련병원 모두가 전공의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결국 전공의 기피현상에서 파생되는 전공의 정원감축, 이로 인한 인력수급 차질과 대학병원의 몰락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회장은 "그나마 외과, 흉부외과는 전문의 수가 많고 메이저 과목이다보니 수가인상 등의 지원책이 있었지만 비뇨기과는 계속해서 외면받고 있다"며 "학회 차원에서 대국민 홍보 등을 통해 인식 개선을 유도하고 있지만 이 또한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최소한 학회가 대안을 제시하면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흉부외과 사례에서 보듯이 처방의 시기가 늦어지면 그만큼 회복이 어렵다는 것을 경험하지 않았느냐"고 강조했다.
대한비뇨기과학회 한상원 회장(연세의대)은 비뇨기과의 현재 상황을 이같이 설명하며 정부의 시급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수련병원 절반이 문을 닫고 대다수 개원의들이 진료과목을 바꿔 다는 상황에서 더이상 비뇨기과를 방치하면 되돌리기 힘든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 회장은 "전공의 기피 현상은 진료과목 자체가 망가지고 있다는 극명한 현상"이라며 "그러한 면에서 최악의 기피과가 된 비뇨기과는 이미 처방 시기가 늦었다는 뜻"이라고 운을 띄웠다.
이어 그는 "하지만 정부는 이러한 현상을 외면한 채 전공의 감축 정책 등으로 비뇨기과를 더욱 압박하고 있다"며 "이러다간 진짜로 몇년 안에 외국 의사를 수입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전공의 감축정책에 대한 비뇨기과학회의 고민은 상당하다. 수련병원 대부분이 문을 닫을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부산지역을 보면 이같은 우려가 기우가 아니라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난다.
동아대병원의 경우 현재 비뇨기과에 3년차 전공의 2명 뿐이다. 만약 올해 비뇨기과 지원자가 없으면 내년부터 정원이 모두 회수돼 사실상 수련병원 자격이 박탈된다.
인제대 백병원도 마찬가지다. 전공의가 한명도 없어 복지부 방침대로라면 내년이 지나면 더이상 전공의를 받을 수 없다.
부산대병원과 고신대병원 또한 상황은 그리 다르지 않다. 저년차 전공의가 전무하다.
2014년도부터는 부산의 6개 수련병원 모두가 전공의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결국 전공의 기피현상에서 파생되는 전공의 정원감축, 이로 인한 인력수급 차질과 대학병원의 몰락이 연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회장은 "그나마 외과, 흉부외과는 전문의 수가 많고 메이저 과목이다보니 수가인상 등의 지원책이 있었지만 비뇨기과는 계속해서 외면받고 있다"며 "학회 차원에서 대국민 홍보 등을 통해 인식 개선을 유도하고 있지만 이 또한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최소한 학회가 대안을 제시하면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흉부외과 사례에서 보듯이 처방의 시기가 늦어지면 그만큼 회복이 어렵다는 것을 경험하지 않았느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