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학회, HIV/AIDS 개정안 곧 발표…초치료 '이센트레스' 추가
지난해 12월 급여 출시된 '비리어드(테노포비어)'가 각종 치료 가이드라인 지형도를 바꾸고 있다.
대한에이즈학회가 올 하반기 중 초기 치료에 '비리어드'를 넣는 HIV/AIDS 진단 및 치료 지침 개정판을 발표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비리어드'는 이외에도 B형 간염 치료 처방 패턴도 크게 바꾼 약이기도 한데 그만큼 관련 질환에서 기존약에 비해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는 소리다.

비리어드 등 약제 출시로 올 하반기 HIV/AIDS 진단 및 치료 권고안 변경된다(빨간색 글씨가 새롭게 추가된 약물)
에이즈학회에 따르면, 기본적인 HIV/AIDS 진단 및 치료 지침은 항레트로 계열 3가지 약제를 처음에 써야한다.
개정안에도 이런 처방 패턴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초기 치료 환자에 추천되는 약제 조합은 일부 바뀐다.
기존안은 '키벡사(ABC 아바카비어+3TC 라미부딘)' 또는 '컴비비어(ZDV 지도부딘+ 3TC)' 복합제에 PI, NNRTI 등 2가지 항레트로 계열 중 약제 하나를 고르면 됐다.
반면 개정안은 '키벡사(ABC+3TC)'는 그대로 있고 '컴비비어(ZDV+3TC)'가 '트루바다(TDF 테노포비어+ FTC 엠트리시타빈)'로 바뀌고 여기에 PI,NNRTI, INSTI 등 3가지 항레트로 계열 중 하나의 약제를 택하면 된다.
신설된 INSTI에 '이센트레스(RAL 랄테그라빌)'가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한상훈 교수는 "지난해 12월 비리어드 급여 출시로 HIV/AIDS 치료 가이드라인에 변화가 불가피했다. 이센트레스는 부작용이 없는 항레트로 계열로 이번에 초기 약제에 추가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변경된 HIV/AIDS 치료 가이드라인은 올 하반기 공식 발표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대한에이즈학회가 올 하반기 중 초기 치료에 '비리어드'를 넣는 HIV/AIDS 진단 및 치료 지침 개정판을 발표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비리어드'는 이외에도 B형 간염 치료 처방 패턴도 크게 바꾼 약이기도 한데 그만큼 관련 질환에서 기존약에 비해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는 소리다.

개정안에도 이런 처방 패턴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초기 치료 환자에 추천되는 약제 조합은 일부 바뀐다.
기존안은 '키벡사(ABC 아바카비어+3TC 라미부딘)' 또는 '컴비비어(ZDV 지도부딘+ 3TC)' 복합제에 PI, NNRTI 등 2가지 항레트로 계열 중 약제 하나를 고르면 됐다.
반면 개정안은 '키벡사(ABC+3TC)'는 그대로 있고 '컴비비어(ZDV+3TC)'가 '트루바다(TDF 테노포비어+ FTC 엠트리시타빈)'로 바뀌고 여기에 PI,NNRTI, INSTI 등 3가지 항레트로 계열 중 하나의 약제를 택하면 된다.
신설된 INSTI에 '이센트레스(RAL 랄테그라빌)'가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한상훈 교수는 "지난해 12월 비리어드 급여 출시로 HIV/AIDS 치료 가이드라인에 변화가 불가피했다. 이센트레스는 부작용이 없는 항레트로 계열로 이번에 초기 약제에 추가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변경된 HIV/AIDS 치료 가이드라인은 올 하반기 공식 발표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