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라싸열 등 진단 불가능 "진단 감시체계 구축 필요"
해외유입 바이러스에 대한 감시체계가 허술해 감염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새누리당 김제식 의원(서산태안, 보건복지위)은 12일 "국내 감염병 검역시스템으로는 에볼라 바이러스 등 몇몇 바이러스 이외 치사율이 높은 기타 바이러스에 대해 감별진단 조차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에 따르면 모기 및 절지동물을 매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15종 이상이 확인됐으며 매개체 서식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분포 범위가 넓어지고 전파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최근 5년간 질병관리본부에 신고 접수된 해외발생 바이러스 질환 총 2990건 중 실험실 진단을 통해 원인병원체를 확인한 사례는 △뎅기열 715건 △뇌염(웨스트나일열) 1건 △치쿤구니야열 2건 등 총 718건(24%)이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가 진단 가능한 바이러스는 총 5종에 불과해 검역체계에 구멍이 있다는 지적이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해외유입 열성 및 뇌염바이러스 질환은 모기, 진드기 또는 설치류를 매개로 전파되는데 치사율이 15%~90%에 이른다. .
국내 기술로 진단이 불가능한 해외 유입 바이러스 질환은 아프리카에서 들쥐 등으로 인해 발생해 사람 간 혈액, 체액,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라싸열' 경우 연간 10만명에서 30만명 감염자 발생. 치사율 30~50% 이다.
또한 마버그열의 경우 치사율이 25%에 이르며 환자의 혈액, 구토물과 체액 등을 통해 전염되면 환자 보호자들 중에 다수가 감염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이며, 크리미언-콩고 출혈열의 경우 치사율이 50%에 이르며 감염되면 혈관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기 때문에 피를 토하며 곧바로 사망 가능한 바이러스. 크리미안 반도에서 발생하고 진드기를 통해 전염된다.
김제식 의원은 "에볼라열의 경우에도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출혈열이 발생한 이후 올해 4월부터 검역을 하기 시작했다"면서 "만약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에볼라가 뭔지도 모른 채 국내 유입을 지켜봐야 했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에볼라로 인해 이미 40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환자가 발생한 이후 대책을 마련한다면 이미 늦다"며 "우리도 라싸 바이러스나 마버그 바이러스처럼 치사율이 높은 고위험 바이러스의 국내유입 이전에 국가진단 및 감시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김제식 의원(서산태안, 보건복지위)은 12일 "국내 감염병 검역시스템으로는 에볼라 바이러스 등 몇몇 바이러스 이외 치사율이 높은 기타 바이러스에 대해 감별진단 조차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에 따르면 모기 및 절지동물을 매개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15종 이상이 확인됐으며 매개체 서식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분포 범위가 넓어지고 전파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최근 5년간 질병관리본부에 신고 접수된 해외발생 바이러스 질환 총 2990건 중 실험실 진단을 통해 원인병원체를 확인한 사례는 △뎅기열 715건 △뇌염(웨스트나일열) 1건 △치쿤구니야열 2건 등 총 718건(24%)이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가 진단 가능한 바이러스는 총 5종에 불과해 검역체계에 구멍이 있다는 지적이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해외유입 열성 및 뇌염바이러스 질환은 모기, 진드기 또는 설치류를 매개로 전파되는데 치사율이 15%~90%에 이른다. .
국내 기술로 진단이 불가능한 해외 유입 바이러스 질환은 아프리카에서 들쥐 등으로 인해 발생해 사람 간 혈액, 체액,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라싸열' 경우 연간 10만명에서 30만명 감염자 발생. 치사율 30~50% 이다.
또한 마버그열의 경우 치사율이 25%에 이르며 환자의 혈액, 구토물과 체액 등을 통해 전염되면 환자 보호자들 중에 다수가 감염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이며, 크리미언-콩고 출혈열의 경우 치사율이 50%에 이르며 감염되면 혈관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기 때문에 피를 토하며 곧바로 사망 가능한 바이러스. 크리미안 반도에서 발생하고 진드기를 통해 전염된다.
김제식 의원은 "에볼라열의 경우에도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출혈열이 발생한 이후 올해 4월부터 검역을 하기 시작했다"면서 "만약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에볼라가 뭔지도 모른 채 국내 유입을 지켜봐야 했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에볼라로 인해 이미 40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환자가 발생한 이후 대책을 마련한다면 이미 늦다"며 "우리도 라싸 바이러스나 마버그 바이러스처럼 치사율이 높은 고위험 바이러스의 국내유입 이전에 국가진단 및 감시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