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골형성제 급여화 시급"…복지부 "약제 허가초과 논란 우려"
고령 인구 증가로 '골다공증'에 대한 위험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지만 다른 만성질환보다 상대적으로 국민과 정부의 관심이 적다는 지적이 높다.
전문가들은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골감소증 치료 및 골형성제 급여화가 시급하다며 입을 모으고 있다.
대한골다공증학회는 새누리당 박인숙 의원과 지난 26일 국회에서 중증 골다공증 보장성 강화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대한척추외과학회 이규열 회장(동아대병원 정형외과)은 소외받는 골다공증의 현실을 털어놨다.
이규열 회장은 "오늘 토론회에 참석한 발표자나 토론자를 보면 모두 사립대병원 교수들"이라며 "암, 고혈압, 당뇨병 같은 주요 질환은 국립대병원 교수들이 관심을 갖고 적극 참여하는데 골다공증은 들어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그는 "골다공증은 많은 노인들이 갖고 있는 병인데 정책에 포함돼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뼈를 만드는 골형성제의 급여화를 주장했다.
이 회장은 "뼈 만드는 것을 도와주는 골형성제는 보험이 안 된다"며 "의사가 비싼 약을 쓰면 돈을 남겨 먹기 위해서 쓴다고 국가에서 생각하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대한골대사학회 양규현 회장(강남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도 "골다공증약에는 골흡수억제제, 골형성제가 있는데 골다공증 검사 T-수치가 -4.3이라는 위험한 수치를 갖고 살아가는 노인 환자가 많다"며 "이들에게는 마지막 수단으로 보험이 되지 않는 골형성제를 써보면 금방 수치가 올라간다"고 설명했다.
90대 환자의 치료 경험을 이야기했다.
양 회장은 "뼈에 나사를 박는 수술을 하는 주치의로서 환자 보호자에게 뼈가 약해 나사를 박으면 이 나사가 버텨줄지 걱정이 된다고 얘기했다"며 "(대안으로)한 달에 70만원 가까운 돈을 내면서 골형성제 주사를 맞는 것을 이야기했지만 부담스러워 했다"고 말했다.
그는 "약한 뼈, 잘 붙지 않는 뼈를 수술하는 입장에서 골형성제가 보장성 범위안에 들어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며 "중증 골다공증 환자가 마음 편히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복지부 "골다공증 보장성 꾸준히 관심…골형성제 급여 심사 중"
보장성 강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자 보건복지부는 충분히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복지부 이선영 보험약제과장은 "2005년, 2009년 보장성 강화 5개년 계획을 세울 때 골다공증 치료제 급여 확대가 들어가 있었다"며 "그 결과 급여 청구액이 2005년 338억원에서 2010년 이후 4배 이상 증가했고 약제비만 1200억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 5월에는 T-점수가 없더라도 골절이 있으면 3년까지는 급여를 할 수 있도록 했고, 8월에는 150억원을 투자해 중증 골다공증 행위와 치료재료를 일원화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과장은 "골형성제 급여 신청은 제약사에서 과거 2~3번 들어왔었는데 임상유용적 자료가 부족해 계속 비급여 결정이 났었다"며 "7월 급여 신청이 다시 들어와서 현재 신중하게 급여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장에서는 골감소증 환자에게도 치료제를 쓰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약제 허가 초과라는 논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골감소증 치료 및 골형성제 급여화가 시급하다며 입을 모으고 있다.
대한골다공증학회는 새누리당 박인숙 의원과 지난 26일 국회에서 중증 골다공증 보장성 강화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대한척추외과학회 이규열 회장(동아대병원 정형외과)은 소외받는 골다공증의 현실을 털어놨다.
이규열 회장은 "오늘 토론회에 참석한 발표자나 토론자를 보면 모두 사립대병원 교수들"이라며 "암, 고혈압, 당뇨병 같은 주요 질환은 국립대병원 교수들이 관심을 갖고 적극 참여하는데 골다공증은 들어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그는 "골다공증은 많은 노인들이 갖고 있는 병인데 정책에 포함돼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뼈를 만드는 골형성제의 급여화를 주장했다.
이 회장은 "뼈 만드는 것을 도와주는 골형성제는 보험이 안 된다"며 "의사가 비싼 약을 쓰면 돈을 남겨 먹기 위해서 쓴다고 국가에서 생각하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대한골대사학회 양규현 회장(강남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도 "골다공증약에는 골흡수억제제, 골형성제가 있는데 골다공증 검사 T-수치가 -4.3이라는 위험한 수치를 갖고 살아가는 노인 환자가 많다"며 "이들에게는 마지막 수단으로 보험이 되지 않는 골형성제를 써보면 금방 수치가 올라간다"고 설명했다.
90대 환자의 치료 경험을 이야기했다.
양 회장은 "뼈에 나사를 박는 수술을 하는 주치의로서 환자 보호자에게 뼈가 약해 나사를 박으면 이 나사가 버텨줄지 걱정이 된다고 얘기했다"며 "(대안으로)한 달에 70만원 가까운 돈을 내면서 골형성제 주사를 맞는 것을 이야기했지만 부담스러워 했다"고 말했다.
그는 "약한 뼈, 잘 붙지 않는 뼈를 수술하는 입장에서 골형성제가 보장성 범위안에 들어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며 "중증 골다공증 환자가 마음 편히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복지부 "골다공증 보장성 꾸준히 관심…골형성제 급여 심사 중"
보장성 강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자 보건복지부는 충분히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복지부 이선영 보험약제과장은 "2005년, 2009년 보장성 강화 5개년 계획을 세울 때 골다공증 치료제 급여 확대가 들어가 있었다"며 "그 결과 급여 청구액이 2005년 338억원에서 2010년 이후 4배 이상 증가했고 약제비만 1200억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 5월에는 T-점수가 없더라도 골절이 있으면 3년까지는 급여를 할 수 있도록 했고, 8월에는 150억원을 투자해 중증 골다공증 행위와 치료재료를 일원화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과장은 "골형성제 급여 신청은 제약사에서 과거 2~3번 들어왔었는데 임상유용적 자료가 부족해 계속 비급여 결정이 났었다"며 "7월 급여 신청이 다시 들어와서 현재 신중하게 급여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장에서는 골감소증 환자에게도 치료제를 쓰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약제 허가 초과라는 논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