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대국민 홍보시점·내년 시범사업 연계 감안해 1월 연기"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 시범사업 결과 발표가 내년으로 미뤄졌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 제2차 시범사업 분석결과 발표를 내년 1월 중 발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당초 복지부는 지난 5월 원격의료 1차 시범사업 설문결과를 공지하면서 연내 2차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다.
당시 시범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 협업 과제로 의원급 13개소와 보건소 5개소 등 18개 기관이 참여했다.
보건산업진흥원과 가톨릭대 투 트랙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는 사업 참여 환자 845명 중 설문 누락과 조사기간 내 방문하지 않은 197명을 제외한 648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참여 환자 77%가 '원격의료 시범사업에 만족한다'고 답변했다.
제2차 시범사업은 지난 5월부터 의원급 중심으로 진행 중으로 50여곳이 참여해 1차(13곳)에 비해 참여 의원급과 환자 수 모두 3배 이상 확대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고혈압과 당뇨 등 복합만성질환 원격모니터링 서비스와 도서벽지, 요양시설 등 의료취약지 대상 원격진료 등 차별화된 시범사업을 실시했다는 게 특징이다.
복지부는 얼마 전 보도자료까지 작성해 2차 시범사업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돌연 발표를 연기했다.
원격의료 2차 시범사업 분석결과는 이미 정진엽 장관 보고까지 마친 상태로 발표 시점만 저울질 중이다.
원격의료추진단(팀장 손일룡) 관계자는 "문제가 있어 발표 시점을 미룬 것은 아니다. 국민 대상 홍보 시점과 함께 내년도 시범사업을 연계하는 방안을 감안해 발표 시점을 연기했다"고 해명하고 "단순한 환자 만족도 조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원격의료 안전성과 보안성 등을 포함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2차 시범사업은 의원급 중심으로 참여 기관수와 환자 수 모두 1차 시범사업에 비해 대폭 증가했다. 내년 1월 중 풍성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참여 의원 공개 여부는 의사협회 입장에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의사협회는 지난 5월 원격의료 1차 시범사업 결과와 관련, 기술적 안전성 검증결과를 제기하지 않고 환자 만족도와 복약순응도, 만성질환관리 환자 평가 결과만 나열했다고 평가절하하면서 시범사업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 제2차 시범사업 분석결과 발표를 내년 1월 중 발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당초 복지부는 지난 5월 원격의료 1차 시범사업 설문결과를 공지하면서 연내 2차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다.
당시 시범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 협업 과제로 의원급 13개소와 보건소 5개소 등 18개 기관이 참여했다.
보건산업진흥원과 가톨릭대 투 트랙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는 사업 참여 환자 845명 중 설문 누락과 조사기간 내 방문하지 않은 197명을 제외한 648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참여 환자 77%가 '원격의료 시범사업에 만족한다'고 답변했다.
제2차 시범사업은 지난 5월부터 의원급 중심으로 진행 중으로 50여곳이 참여해 1차(13곳)에 비해 참여 의원급과 환자 수 모두 3배 이상 확대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고혈압과 당뇨 등 복합만성질환 원격모니터링 서비스와 도서벽지, 요양시설 등 의료취약지 대상 원격진료 등 차별화된 시범사업을 실시했다는 게 특징이다.
복지부는 얼마 전 보도자료까지 작성해 2차 시범사업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돌연 발표를 연기했다.
원격의료 2차 시범사업 분석결과는 이미 정진엽 장관 보고까지 마친 상태로 발표 시점만 저울질 중이다.
원격의료추진단(팀장 손일룡) 관계자는 "문제가 있어 발표 시점을 미룬 것은 아니다. 국민 대상 홍보 시점과 함께 내년도 시범사업을 연계하는 방안을 감안해 발표 시점을 연기했다"고 해명하고 "단순한 환자 만족도 조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원격의료 안전성과 보안성 등을 포함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2차 시범사업은 의원급 중심으로 참여 기관수와 환자 수 모두 1차 시범사업에 비해 대폭 증가했다. 내년 1월 중 풍성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참여 의원 공개 여부는 의사협회 입장에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의사협회는 지난 5월 원격의료 1차 시범사업 결과와 관련, 기술적 안전성 검증결과를 제기하지 않고 환자 만족도와 복약순응도, 만성질환관리 환자 평가 결과만 나열했다고 평가절하하면서 시범사업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