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순 요법, 실제 처방해보니 하보니와 대등"

이석준
발행날짜: 2016-03-29 05:05:56
  • 삼성서울 곽금연 교수 "내성변이 없는 환자 효과 좋아"

'닥순(다클라타스비르+아수나프레비르)' 요법을 실제 처방해보니 '하보니(소포스부비르+레디파스비르)'와 대등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여기서 실 처방 사례는 '닥순이 잘 듣는 환자군에 썼을 때'만을 뜻한다. 즉 내성변이(Y93 또는 L31)가 없는 유전자형 1b형 환자에게 '닥순'을 썼을 때의 치료반응이 '하보니' 못지 않는 소리다. '하보니'는 약제 관련 내성 상관없이 완치율이 100%에 육박하는 약이다. 현재 급여 과정을 밟고 있다.

곽금연 교수.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곽금연 교수는 28일 기자와 만나 "작년 9월부터 닥순 요법을 썼는데 35명 안팎의 환자 중 1명을 제외하고는 혈액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가 나왔다. 24주 요법이라 치료후 24주까지는 못 봤지만 현재까지는 등록 임상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성변이가 없으면(있으면 완치율 50% 미만) 닥순 효과는 하보니와 대등하다고 본다. 유일한 걱정은 치료 중 내성이 생기면 차후 치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다. 때문에 현재 닥순 처방 전 BMS 전액 부담으로 내성변이 선별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내성검사 검사 정확도 수준에 대해서는 민감도 10% 방식을 쓰고 있다는 말로 대신했다.

곽 교수는 "검사의 정확도는 민감도 분석에 따라 다르다. 현재 10% 즉, 전체 바이러스 파퓰레이션에서 10%를 넘으면 내성변이가 있다고 진단하는 방식을 쓰고 있다. 여기서 안쪽이면 닥순을 쓰지 않고 넘는다면 처방하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이에 BMS 관계자는 "민감도 10%나 1%나 SVR을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닥순'만의 장점으로는 신장 배설이 아니라서 투석 환자에게 유용하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소발디는 대부분 신장 배설이라서 신기능이 떨어져 있는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닥순은 오히려 투석 환자에게 바이러스 농도가 떨어지는 정도가 더 빠를 정도로 효과를 보였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만성 C형간염치료제 '소발디(소포스부비르)'와 복합제 '하보니'는 최근 심평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 급여적정 평가를 통과했다.

'하보니'는 유전자형 1형 중 핵심인 1b형이 빠진 채 급여적정 평가를 통과했다.

'닥순'의 저렴한 약값에 기인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 요법은 내성변이(Y93 또는 L31)가 없는 1b형에게는 '하보니'와 유사한 90% 넘는 완치율을 보인다. 가격도 259만원으로 저렴하다. '하보니' 비급여 가격은 4600만원 정도다.

굳이 심평원이 대안이 있는 영역에 비싼 약을 들여올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