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 저하 시키는 두려움 대상, 환자 따라 치료법 고려해야"
외상으로 인한 통증, 신체 내적으로부터 오는 통증, 출산의 통증 등 대부분의 통증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외상, 정확한 병명 또는 질병으로 진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어떠한 병과에서도 그 원인을 알 수 없고, 치료방법이 명확히 없는 통증이 존재한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이러한 통증은 두려움 그 자체일 수 밖에 없다.
얼굴에 찌릿찌릿하게 전기가 오는 듯 한 통증이나 번개가 치는 듯한 발작적이고 순간적인 통증이 발생했을 때, 대부분은 치아, 잇몸 이상이나 턱관절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의심을 한다. 하지만 치과에 가서 발치를 한 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이는 삼차신경통일 경우가 많다.
삼차신경통의 통증은 말을 하거나 이를 닦을 때, 세수할 때, 음식을 씹을 때와 같이 일상적인 활동을 할 때 더 자주 발생한다. 통증은 순간적이거나 길어도 수 초를 넘지 않고, 통증 발작기 사이에는 통증이 없는 무통기가 따라오는 특징이 있다. 보통 50대에서 70대 사이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환자 중 20%는 40대 이하의 젊은 사람들인 경우도 있다.
삼차신경이란 뇌에서 나오는 12개의 신경 중 다섯 번째 신경으로 주로 얼굴의 감각을 관장하며 저작근에 분포해 씹는 일을 하며 3개의 가지로 돼 있다.
첫 번째 가지는 뇌에서부터 나와 눈썹 위에서 피부 쪽으로 나오며, 각막을 포함한 눈 위쪽의 피부와 머리 부분의 감각을 담당하고 두 번째 가지는 코 옆으로 나와 위쪽 치아와 입천장 및 뺨의 감각을 담당한다. 세 번째 가지는 아래쪽 치아와 잇몸, 혀의 앞쪽 2/3의 감각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삼차신경통의 원인은 이러한 삼차신경이 뇌혈관으로부터 압박되면서 신경의 변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90%에 달한다. 다발성경화증과 같이 신경의 변성을 가지고 오는 질환에서 발생하거나 특별한 이유 없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5-8% 환자에서는 삼차신경기시부(근육이 부착된 곳)에서 뇌종양이나 뇌혈관 기형 등에 의한 신경의 압박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하기 때문에 삼차신경통이 의심스러울 때에는 뇌 MRI 검사를 필수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삼차신경통의 통증은 한번 시작되면 환자에 따라 몇 주에서 수 년간 다양한 기간의 무통기를 가지면서 통증기가 반복되며, 시간이 흐를수록 통증의 강도나 빈도가 심해지고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가 넓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통증의 강도는 매우 세고 식사를 하기 시작할 때 통증 발작이 오는 경우가 많아 일상적인 활동들에서 대부분 통증이 유발되기 때문에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삼차신경통의 치료로는 약물치료, 경피적 신경 파괴술, 개두술을 통한 뇌신경감압술로 크게 나뉜다. 치료는 안전하고 침습적이지 않은 방법을 우선 선택하는데 첫 번째로 시도할 수 있는 치료 방법으로 약물치료를 들 수 있다.
삼차신경통의 경우 아무리 강력한 진통제를 사용하여도 듣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약 70% 정도에서만 약물로 통증조절이 가능하나 이렇게 초기에 약물로 통증조절이 되었던 환자들도 시간이 흐르면서 2/3 환자에서는 점차 약물에 대한 내성과 효과가 감소하게 돼 통증 조절이 어렵게 된다.
또한 약물에 대한 부작용으로 간과 골수의 장애를 가져올 수 있고 노인의 경우 몸의 중심을 잡기 어려워 걸음걸이가 휘청거리며 쓰러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려 가능한 치료법은 경피적 신경차단술이다. 알콜이나 글라이세롤을 이용한 차단술과 열응고술 및 풍선 압박법이 있다. 모두 삼차신경절이나 삼차신경의 가지를 파괴시켜서 통증 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주요 기전이다.
열응고술이나 풍선압박법은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없으며 시술 후 합병증의 빈도가 높다. 반면 알콜을 이용한 삼차신경 차단술은 삼차신경의 가지를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어 최소한의 감각소실을 유발하면서 통증 조절이 가능하며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뇌신경감압술은 개두술을 해야 하는 것으로 수술 후에 안면신경마비, 이명 등 삼차신경 근처에 분포하는 다른 뇌신경의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합병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원 김찬병원 김찬 원장은 "삼차신경통의 여러 가지 치료법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나이, 전신 상태, 통증이 발생하는 삼차신경가지, 통증의 지속 기간이나 이전에 통증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다각도로 고려해야 한다"며 "삼차신경통을 치료하는 의사의 경험에 따라 최선의 방법이 선택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찬 원장은 "삼차신경통은 일상생활 중에 통증이 발생하고 그 통증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삶의 질을 현저하게 떨어지게 만드는 질환"이라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통증으로부터 해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어떠한 병과에서도 그 원인을 알 수 없고, 치료방법이 명확히 없는 통증이 존재한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이러한 통증은 두려움 그 자체일 수 밖에 없다.
얼굴에 찌릿찌릿하게 전기가 오는 듯 한 통증이나 번개가 치는 듯한 발작적이고 순간적인 통증이 발생했을 때, 대부분은 치아, 잇몸 이상이나 턱관절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의심을 한다. 하지만 치과에 가서 발치를 한 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이는 삼차신경통일 경우가 많다.
삼차신경통의 통증은 말을 하거나 이를 닦을 때, 세수할 때, 음식을 씹을 때와 같이 일상적인 활동을 할 때 더 자주 발생한다. 통증은 순간적이거나 길어도 수 초를 넘지 않고, 통증 발작기 사이에는 통증이 없는 무통기가 따라오는 특징이 있다. 보통 50대에서 70대 사이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환자 중 20%는 40대 이하의 젊은 사람들인 경우도 있다.
삼차신경이란 뇌에서 나오는 12개의 신경 중 다섯 번째 신경으로 주로 얼굴의 감각을 관장하며 저작근에 분포해 씹는 일을 하며 3개의 가지로 돼 있다.
첫 번째 가지는 뇌에서부터 나와 눈썹 위에서 피부 쪽으로 나오며, 각막을 포함한 눈 위쪽의 피부와 머리 부분의 감각을 담당하고 두 번째 가지는 코 옆으로 나와 위쪽 치아와 입천장 및 뺨의 감각을 담당한다. 세 번째 가지는 아래쪽 치아와 잇몸, 혀의 앞쪽 2/3의 감각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삼차신경통의 원인은 이러한 삼차신경이 뇌혈관으로부터 압박되면서 신경의 변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90%에 달한다. 다발성경화증과 같이 신경의 변성을 가지고 오는 질환에서 발생하거나 특별한 이유 없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5-8% 환자에서는 삼차신경기시부(근육이 부착된 곳)에서 뇌종양이나 뇌혈관 기형 등에 의한 신경의 압박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하기 때문에 삼차신경통이 의심스러울 때에는 뇌 MRI 검사를 필수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삼차신경통의 통증은 한번 시작되면 환자에 따라 몇 주에서 수 년간 다양한 기간의 무통기를 가지면서 통증기가 반복되며, 시간이 흐를수록 통증의 강도나 빈도가 심해지고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가 넓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통증의 강도는 매우 세고 식사를 하기 시작할 때 통증 발작이 오는 경우가 많아 일상적인 활동들에서 대부분 통증이 유발되기 때문에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삼차신경통의 치료로는 약물치료, 경피적 신경 파괴술, 개두술을 통한 뇌신경감압술로 크게 나뉜다. 치료는 안전하고 침습적이지 않은 방법을 우선 선택하는데 첫 번째로 시도할 수 있는 치료 방법으로 약물치료를 들 수 있다.
삼차신경통의 경우 아무리 강력한 진통제를 사용하여도 듣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약 70% 정도에서만 약물로 통증조절이 가능하나 이렇게 초기에 약물로 통증조절이 되었던 환자들도 시간이 흐르면서 2/3 환자에서는 점차 약물에 대한 내성과 효과가 감소하게 돼 통증 조절이 어렵게 된다.
또한 약물에 대한 부작용으로 간과 골수의 장애를 가져올 수 있고 노인의 경우 몸의 중심을 잡기 어려워 걸음걸이가 휘청거리며 쓰러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려 가능한 치료법은 경피적 신경차단술이다. 알콜이나 글라이세롤을 이용한 차단술과 열응고술 및 풍선 압박법이 있다. 모두 삼차신경절이나 삼차신경의 가지를 파괴시켜서 통증 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주요 기전이다.
열응고술이나 풍선압박법은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없으며 시술 후 합병증의 빈도가 높다. 반면 알콜을 이용한 삼차신경 차단술은 삼차신경의 가지를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어 최소한의 감각소실을 유발하면서 통증 조절이 가능하며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뇌신경감압술은 개두술을 해야 하는 것으로 수술 후에 안면신경마비, 이명 등 삼차신경 근처에 분포하는 다른 뇌신경의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합병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원 김찬병원 김찬 원장은 "삼차신경통의 여러 가지 치료법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나이, 전신 상태, 통증이 발생하는 삼차신경가지, 통증의 지속 기간이나 이전에 통증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다각도로 고려해야 한다"며 "삼차신경통을 치료하는 의사의 경험에 따라 최선의 방법이 선택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찬 원장은 "삼차신경통은 일상생활 중에 통증이 발생하고 그 통증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삶의 질을 현저하게 떨어지게 만드는 질환"이라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통증으로부터 해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