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 이어 EMA 경고, 생체이용률 차이로 중증 부작용 위험↑
미국식품의약국(FDA)에 이어 유럽의약국(EMA)까지 항진균제 포사코나졸(제품명 녹사필)의 제형간 스위칭을 경고하고 나섰다.
2세대 트리아졸계열인 포사코나졸 처방시, 정제(tablet)와 경구용 현탁액(oral suspension) 사이의 용량 계산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게 골자다.
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는 포사코나졸의 이같은 문제를 고려해, "처방권자인 의료진은 포사코나졸을 처방할 때 약물의 제형과 용법 등을 명시해야 하며 약사는 조제 시 해당 내용이 명기되지 않았을 경우 관련 정보를 의료진에 요구해야만 한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FDA는 이보다 앞선 올해 1월 초, 11건의 보거서를 근거로 포사코나졸의 처방 및 조제과정에서 빚어진 용량 계산 실수로 중증 부작용이 늘자 이를 주의·경고하고 나선 바 있다.
여기서도 두 제형간에 무분별한 스위칭 실수로 사망 사고 등의 중증 이상반응이 문제가 된다는 결론이었다.
포사코나졸 정제-현탁액, "용법 및 생체이용률 엄연히 달라"
포사코나졸은 지난 2006년 9월 FDA에 승인을 마친 포사코나졸 경구용 현탁액과 2013년 11월 동일 성분으로 허가를 받은 서방형 정제가 있다.
사용 가능한 용량은 두 제형간에 차이가 있는데, 정제의 경우 첫날 300mg을 2회 투약하고 이후부터는 하루 한 번 먹으면 된다.
하지만 현탁액은 200mg 혹은 5mL를 하루 3~4회 투약할 수 있으며, 포사코나졸 정맥주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관건은 이들 제형의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에는 엄연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두 경구용 제형의 용량과 용법도 제 각각이지만, 뒤늦게 허가를 받은 정제의 경우 경구용 현탁액보다 생체이용률이 높기때문이다.
이를테면 정제 대신 경구용 현탁액을 복용할 경우, 적정량보다 적은 용량이 투약돼 치료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반대의 경우엔 과다용량으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 발생이 우려가 된다는 얘기다.
"면역력 저하자에 처방시, 각별한 주의"
포사코나졸 사용에 특히 주의가 요구되는 환자는 골수이식으로 면역력이 낮아진 경우, 항암치료 후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 환자에서다.
또 적응증에 언급됐듯 백혈구 수치가 감소한 13세 이상의 환자에서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균이나 칸디다(Candida)균 등 진균 감염증에 대한 예방 목적으로 사용할 때다.
한편 포사코나졸 제조사에는 해당 내용을 제품 라벨과 경고문에 분명히 업데이트 하도록 조치가 취해질 예정이다.
2세대 트리아졸계열인 포사코나졸 처방시, 정제(tablet)와 경구용 현탁액(oral suspension) 사이의 용량 계산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게 골자다.
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는 포사코나졸의 이같은 문제를 고려해, "처방권자인 의료진은 포사코나졸을 처방할 때 약물의 제형과 용법 등을 명시해야 하며 약사는 조제 시 해당 내용이 명기되지 않았을 경우 관련 정보를 의료진에 요구해야만 한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FDA는 이보다 앞선 올해 1월 초, 11건의 보거서를 근거로 포사코나졸의 처방 및 조제과정에서 빚어진 용량 계산 실수로 중증 부작용이 늘자 이를 주의·경고하고 나선 바 있다.
여기서도 두 제형간에 무분별한 스위칭 실수로 사망 사고 등의 중증 이상반응이 문제가 된다는 결론이었다.
포사코나졸 정제-현탁액, "용법 및 생체이용률 엄연히 달라"
포사코나졸은 지난 2006년 9월 FDA에 승인을 마친 포사코나졸 경구용 현탁액과 2013년 11월 동일 성분으로 허가를 받은 서방형 정제가 있다.
사용 가능한 용량은 두 제형간에 차이가 있는데, 정제의 경우 첫날 300mg을 2회 투약하고 이후부터는 하루 한 번 먹으면 된다.
하지만 현탁액은 200mg 혹은 5mL를 하루 3~4회 투약할 수 있으며, 포사코나졸 정맥주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관건은 이들 제형의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에는 엄연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두 경구용 제형의 용량과 용법도 제 각각이지만, 뒤늦게 허가를 받은 정제의 경우 경구용 현탁액보다 생체이용률이 높기때문이다.
이를테면 정제 대신 경구용 현탁액을 복용할 경우, 적정량보다 적은 용량이 투약돼 치료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반대의 경우엔 과다용량으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 발생이 우려가 된다는 얘기다.
"면역력 저하자에 처방시, 각별한 주의"
포사코나졸 사용에 특히 주의가 요구되는 환자는 골수이식으로 면역력이 낮아진 경우, 항암치료 후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 환자에서다.
또 적응증에 언급됐듯 백혈구 수치가 감소한 13세 이상의 환자에서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균이나 칸디다(Candida)균 등 진균 감염증에 대한 예방 목적으로 사용할 때다.
한편 포사코나졸 제조사에는 해당 내용을 제품 라벨과 경고문에 분명히 업데이트 하도록 조치가 취해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