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인문학자 이영미 교수 지적 "강의실 수업 이제는 끝내야"
인공지능 개발로 인한 '로봇 의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의대 교수가 과연 교수들이 이러한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화두를 던져 주목된다.
강의실 수업을 통해 지식을 전달하는 것만으로 후배들이 로봇의사와 경쟁할 수 있는 힘을 키울 수 있겠느냐는 반문이다.
고려대 의과대학 의인문학과 이영미 교수는 최근 '의학교육과 인공지능'이라는 글을 통해 인공지능과 의사의 역할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이 교수는 "이미 일부 질병에 대한 진단과 치료 결정에 인공지능이 사용되고 있다"며 "조만간 환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감정까지 추정하고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출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이로 인해 일부에서는 의사들의 자리가 없어지는 것인가에 대한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며 "결국 보건의료계에 혁신과 의료소비 행태 변화는 피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교수는 일각의 우려와는 달리 현대 의학의 병폐인 기계화와 비인간화가 가속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간성을 상실한 미래의 의료는 기우라는 설명.
이영미 교수는 "우선 테크놀로지를 창조, 개발하고 저정하고 관리하는 주체는 인간"이라며 "결국 그 성과를 통해 혜택을 받는 것도 인간이라는 것을 확실히 하면 로봇의사를 통해 의사와 환자 모두 조금 더 안전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또한 첨단기술이 발전할수록 환자들은은 타인에 대한 존중과 온정, 공감을 더 갈구하게 될 것"이라며 "결국 의사로서 휴머니즘을 실천하는 의사들은 로봇의사와 확연히 구분돼 더욱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이러한 전망에도 의학 교육 체계는 미래 의료를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이 교수의 지적이다.
과연 우리나라 의과대학과 교수들이 첨단 테크놀로지 발전에 발맞춰 여기에 적응할 수 있는 의사를 키워내고 있느냐는 원천적인 질문인 셈이다.
이 교수는 "의학교육의 궁극적 방향은 급변하는 사회와 보건의료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의사를 만드는 것"이라며 "하지만 과연 우리는 이러한 인재를 키워낼 수 있는 교육체계를 준비하고 있는가"고 반문했다.
또한 그는 "지식 전수의 전당이었던 강의실 수업으로는 이러한 인재를 키워낼 수 없다"며 "교수와 학생 사이의 쌍방향 학습이 이뤄지는 곳으로 바꾸고 경쟁적 학습 분위기 또한 집단 창의력을 발뤼하도록 교육 방향을 변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결국 의대와 교수, 학생 모두가 변해야만 로봇의사에 맞설 수 있는 의사를 키워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영미 교수는 "의대는 최소 미래 30년~40년 앞을 내다보고 미래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의하의 역량이 무엇일지를 예측해 갖춰야할 역량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며 "학습자들의 특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교수와 평가 방법을 적극적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이를 위해서는 교수와 학생, 의대 모두 자기 성찰과 평가의 마인드, 무엇보다 변화의 요구에 대한 개방성과 수용성이 필요하다"며 "의대생들이 디지털 원주민이라면 교수들은 디지털 이민자인만큼 원주민을 교육하고 싶다면 교수법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의실 수업을 통해 지식을 전달하는 것만으로 후배들이 로봇의사와 경쟁할 수 있는 힘을 키울 수 있겠느냐는 반문이다.
고려대 의과대학 의인문학과 이영미 교수는 최근 '의학교육과 인공지능'이라는 글을 통해 인공지능과 의사의 역할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이 교수는 "이미 일부 질병에 대한 진단과 치료 결정에 인공지능이 사용되고 있다"며 "조만간 환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감정까지 추정하고 반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출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이로 인해 일부에서는 의사들의 자리가 없어지는 것인가에 대한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며 "결국 보건의료계에 혁신과 의료소비 행태 변화는 피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교수는 일각의 우려와는 달리 현대 의학의 병폐인 기계화와 비인간화가 가속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간성을 상실한 미래의 의료는 기우라는 설명.
이영미 교수는 "우선 테크놀로지를 창조, 개발하고 저정하고 관리하는 주체는 인간"이라며 "결국 그 성과를 통해 혜택을 받는 것도 인간이라는 것을 확실히 하면 로봇의사를 통해 의사와 환자 모두 조금 더 안전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또한 첨단기술이 발전할수록 환자들은은 타인에 대한 존중과 온정, 공감을 더 갈구하게 될 것"이라며 "결국 의사로서 휴머니즘을 실천하는 의사들은 로봇의사와 확연히 구분돼 더욱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이러한 전망에도 의학 교육 체계는 미래 의료를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이 교수의 지적이다.
과연 우리나라 의과대학과 교수들이 첨단 테크놀로지 발전에 발맞춰 여기에 적응할 수 있는 의사를 키워내고 있느냐는 원천적인 질문인 셈이다.
이 교수는 "의학교육의 궁극적 방향은 급변하는 사회와 보건의료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의사를 만드는 것"이라며 "하지만 과연 우리는 이러한 인재를 키워낼 수 있는 교육체계를 준비하고 있는가"고 반문했다.
또한 그는 "지식 전수의 전당이었던 강의실 수업으로는 이러한 인재를 키워낼 수 없다"며 "교수와 학생 사이의 쌍방향 학습이 이뤄지는 곳으로 바꾸고 경쟁적 학습 분위기 또한 집단 창의력을 발뤼하도록 교육 방향을 변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결국 의대와 교수, 학생 모두가 변해야만 로봇의사에 맞설 수 있는 의사를 키워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영미 교수는 "의대는 최소 미래 30년~40년 앞을 내다보고 미래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의하의 역량이 무엇일지를 예측해 갖춰야할 역량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며 "학습자들의 특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교수와 평가 방법을 적극적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이를 위해서는 교수와 학생, 의대 모두 자기 성찰과 평가의 마인드, 무엇보다 변화의 요구에 대한 개방성과 수용성이 필요하다"며 "의대생들이 디지털 원주민이라면 교수들은 디지털 이민자인만큼 원주민을 교육하고 싶다면 교수법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