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청수 교수팀, '싸이토테라피'지 게재 "발기부전 근본적 해결책"
발기부전 환자를 줄기세포 치료제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청수 교수(좌)와 유달산 교수.(우)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김청수 교수와 유달산 교수팀은 29일 신경을 손상시킨 쥐 음경해면체에 인체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주입한 동물실험 결과, 발기능 자연 회복 효과가 입증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포치료 분야 권위저널인 '싸이토테라피'(Cytotherapy) 최신호에 개재돼 학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현재 발기부전 약물 치료의 경우, 약 4명 중 1명 정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줄기세포 치료제 '셀그램-이디'를 쥐에서 주입한 결과 손상된 신경과 혈관 내피세포가 재생되고 음경해면제 평활근이 강화돼 발기능이 회복된 것을 확인했다.
치료제가 개발되면 먹는 약에 반응하지 않은 나머지 75% 환자들의 발기부전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적의 줄기세포치료제 투여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전립선절제술 직후 1회 주입했을 때와 손상 4주 후 주입했을 때 효과를 비교 실험했다.
분석 결과, 음경해면체 내 압력을 이용해 쥐 발기능을 측정한 결과, 각각 정상 발기능 약 72%, 69%까지 회복되고 투여시기에 따른 효과 차이 또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여 횟수에 따른 효과 변화 여부를 파악한 결과, 한 번 투여할 때와 여러 번 투여할 때 유의미한 효과 차이는 없었다.
비뇨기과 김청수 교수는 "전립선암 수술 후 뿐만 아니라 발기부전 환자를 위한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는데, 줄기세포치료제가 개발되면 손상된 신경을 재생시키고 음경해면체 혈관을 강화시켜 난치성 발기부전 치료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로부터 국책과제로 선정돼 파미셀(주)과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현재 임상 1상 시험 중에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포치료 분야 권위저널인 '싸이토테라피'(Cytotherapy) 최신호에 개재돼 학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현재 발기부전 약물 치료의 경우, 약 4명 중 1명 정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줄기세포 치료제 '셀그램-이디'를 쥐에서 주입한 결과 손상된 신경과 혈관 내피세포가 재생되고 음경해면제 평활근이 강화돼 발기능이 회복된 것을 확인했다.
치료제가 개발되면 먹는 약에 반응하지 않은 나머지 75% 환자들의 발기부전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적의 줄기세포치료제 투여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전립선절제술 직후 1회 주입했을 때와 손상 4주 후 주입했을 때 효과를 비교 실험했다.
분석 결과, 음경해면체 내 압력을 이용해 쥐 발기능을 측정한 결과, 각각 정상 발기능 약 72%, 69%까지 회복되고 투여시기에 따른 효과 차이 또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여 횟수에 따른 효과 변화 여부를 파악한 결과, 한 번 투여할 때와 여러 번 투여할 때 유의미한 효과 차이는 없었다.
비뇨기과 김청수 교수는 "전립선암 수술 후 뿐만 아니라 발기부전 환자를 위한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는데, 줄기세포치료제가 개발되면 손상된 신경을 재생시키고 음경해면체 혈관을 강화시켜 난치성 발기부전 치료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로부터 국책과제로 선정돼 파미셀(주)과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현재 임상 1상 시험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