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 심장내과 송종민 교수팀, 유럽심장학회 최신호 게재
심방중격결손증 시술 시 3차원 심장초음파를 이용하면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송종민 교수팀은 24일 심방중격결손증 환자 195명에게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로 심장 구멍의 정확한 크기와 모양을 측정한 후 심장 구멍을 막는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을 시행한 결과 시술 성공률 99%, 사망률 0%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선천성 심장병의 약 10% 정도를 차지하는 심방중격결손증은 심부전증, 폐고혈압, 부정맥이나 뇌경색까지 일으키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구멍을 막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
최근 가슴을 직접 열지 않고 다리 정맥을 통해 심장에 관을 넣어 꼭 맞는 폐쇄 기구를 구멍에 고정시키는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때 기구를 삽입하는 시술을 하기 전에 추가로 풍선을 이용해 심장 구멍의 크기를 측정해야 했다.
송종민 교수팀은 2009년부터 시술 중 풍선을 이용한 측정방법이 아닌 시술 전 시행한 3차원 심장초음파만으로도 가장 적절한 폐쇄 기구의 크기를 결정해 정확도를 높였고, 그 결과 심방중격의 구멍을 막는 시술 시간도 10분 이상 줄일 수 있었다.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은 폐쇄 기구를 이용해 심방중격의 구멍을 막을 수 있는 치료방법이다. 기존의 가슴을 여는 수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입원 기간도 단축하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수술보다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술과 달리 심장안의 구멍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시술을 하기 전 폐쇄 기구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구가 구멍에 비해 너무 작은 경우에는 기구가 빠질 위험이 있고, 너무 큰 경우에는 주위 조직을 지속적으로 자극해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폐쇄 기구 크기의 결정을 위해서는 결손에 풍선을 넣고 부풀려 풍선의 직경을 측정하거나, 이차원 경식도심초음파 상에서 결손의 최대 크기를 여러 각도에서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삼아왔다.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는 초음파가 장착된 내시경 검사 기구를 입을 통해 식도에 넣어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심장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가슴에 대고 보는 심장초음파보다 훨씬 더 심장의 삼차원 입체 영상을 선명하게 얻을 수 있으며, 심장중격결손의 크기를 한 번에 파악하고 모양도 관찰이 가능하다.
이번 연구에서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를 이용해 심장 구멍의 모양과 크기를 측정한 후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을 받은 195명 중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6세였고, 남자가 60명, 여자가 135명이다.
그 결과, 195명 중 2명만이 시술에 실패해 시술 성공률 99%를 보였으며 사망한 환자는 한명도 없었다. 또한 시술에 실패한 환자들의 심초음파 영상을 분석하여 시술에 적절하지 않은 결손의 모양을 제시했다.
더불어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로 정확한 폐쇄 기구의 크기를 미리 결정해 놓고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을 시행하면 평균 시술시간이 19분이었다. 이로써 기존에 풍선을 이용한 방법의 시술시간인 평균 33분보다 14분을 줄일 수 있었다.
송종민 심장내과 교수는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를 통해 심방중격결손의 모양과 크기를 미리 평가하는 것이 풍선을 이용한 크기 측정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합병증의 가능성을 줄이고 시술 시간도 줄이는 임상적으로 안전한 방법임을 이번 연구를 통해 증명했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이어 "무엇보다 시술하기에 적절치 않은 모양을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로 미리 찾아내어 시술에서 제외시키고 수술 등 다른 치료 방법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또 하나의 중요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유럽심장학회 심혈관영상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Cardiovascular Imaging) 최신호에 게재됐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송종민 교수팀은 24일 심방중격결손증 환자 195명에게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로 심장 구멍의 정확한 크기와 모양을 측정한 후 심장 구멍을 막는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을 시행한 결과 시술 성공률 99%, 사망률 0%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선천성 심장병의 약 10% 정도를 차지하는 심방중격결손증은 심부전증, 폐고혈압, 부정맥이나 뇌경색까지 일으키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구멍을 막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
최근 가슴을 직접 열지 않고 다리 정맥을 통해 심장에 관을 넣어 꼭 맞는 폐쇄 기구를 구멍에 고정시키는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때 기구를 삽입하는 시술을 하기 전에 추가로 풍선을 이용해 심장 구멍의 크기를 측정해야 했다.
송종민 교수팀은 2009년부터 시술 중 풍선을 이용한 측정방법이 아닌 시술 전 시행한 3차원 심장초음파만으로도 가장 적절한 폐쇄 기구의 크기를 결정해 정확도를 높였고, 그 결과 심방중격의 구멍을 막는 시술 시간도 10분 이상 줄일 수 있었다.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은 폐쇄 기구를 이용해 심방중격의 구멍을 막을 수 있는 치료방법이다. 기존의 가슴을 여는 수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입원 기간도 단축하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수술보다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술과 달리 심장안의 구멍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시술을 하기 전 폐쇄 기구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구가 구멍에 비해 너무 작은 경우에는 기구가 빠질 위험이 있고, 너무 큰 경우에는 주위 조직을 지속적으로 자극해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폐쇄 기구 크기의 결정을 위해서는 결손에 풍선을 넣고 부풀려 풍선의 직경을 측정하거나, 이차원 경식도심초음파 상에서 결손의 최대 크기를 여러 각도에서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삼아왔다.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는 초음파가 장착된 내시경 검사 기구를 입을 통해 식도에 넣어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심장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가슴에 대고 보는 심장초음파보다 훨씬 더 심장의 삼차원 입체 영상을 선명하게 얻을 수 있으며, 심장중격결손의 크기를 한 번에 파악하고 모양도 관찰이 가능하다.
이번 연구에서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를 이용해 심장 구멍의 모양과 크기를 측정한 후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을 받은 195명 중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6세였고, 남자가 60명, 여자가 135명이다.
그 결과, 195명 중 2명만이 시술에 실패해 시술 성공률 99%를 보였으며 사망한 환자는 한명도 없었다. 또한 시술에 실패한 환자들의 심초음파 영상을 분석하여 시술에 적절하지 않은 결손의 모양을 제시했다.
더불어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로 정확한 폐쇄 기구의 크기를 미리 결정해 놓고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을 시행하면 평균 시술시간이 19분이었다. 이로써 기존에 풍선을 이용한 방법의 시술시간인 평균 33분보다 14분을 줄일 수 있었다.
송종민 심장내과 교수는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를 통해 심방중격결손의 모양과 크기를 미리 평가하는 것이 풍선을 이용한 크기 측정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합병증의 가능성을 줄이고 시술 시간도 줄이는 임상적으로 안전한 방법임을 이번 연구를 통해 증명했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이어 "무엇보다 시술하기에 적절치 않은 모양을 3차원 경식도심장초음파로 미리 찾아내어 시술에서 제외시키고 수술 등 다른 치료 방법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또 하나의 중요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유럽심장학회 심혈관영상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Cardiovascular Imaging)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