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서동완 교수팀, 고주파 열 치료법 효과입증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해 췌장 종양을 제거하는 고주파 치료법을 개발해 수술 없는 종양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은 서울아산병원 서동완 교수팀이 고주파 탐침을 이용한 췌장 종양 제거를 국내 처음으로 시도했으며 암 초기단계 종양을 수술 절제만으로 치료하던 기존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진흥원에 따르면, 췌장에 생기는 종양(신경내분비·가성유두상)은 췌장암처럼 악성도가 높지는 않지만 서서히 진행해 결국 악성화 되고 전이되기 때문에 수술 절제로 치료를 시행해왔다.
하지만 기존 외과절제술로 종양 일부를 제거할 경우 수술 후 췌장이 신체 내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해 혈당조절기능 감소 또는 소화불량 등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당뇨병 등 합병증 발생률이 약 30%에 달한다.
반면 내시경초음파로 시술하면 췌장을 잘라내지 않기 때문에 췌장 기능이 유지되고 흉터가 없으며 합병증도 적고 회복기간도 빨라 시술 후 환자 삶의 질이 유지된다.
서동완 교수팀은 약 8년간 선행 및 추적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세계 최초로 내시경초음파에 삽입 가능한 침형 고주파 탐침(probe)을 개발해 이를 이용한 췌장 종양 제거 치료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2010년 스타메드와 내시경초음파 고주파 시술을 시행할 수 있는 탐침을 공동 연구해 개발했다.
또 약 13개월간 암 발전 가능성이 높은 신경내분비 종양 환자 8명과 가성유두상 종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내시경초음파 치료 및 추적관찰을 수행했다.
이 결과 70% 환자의 종양이 없어졌고 30% 환자의 종양크기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서동완 교수는 “내시경 초음파 치료법은 치료 후에도 췌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해 기존 수술대비 합병증 감소와 안전성을 향상시킨다”고 밝혔다.
그는 “향후 지속적 연구를 통해 췌장 내시경초음파 치료법의 적용범위를 넓혀 많은 췌장 종양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최근 관련분야 권위지 ‘유럽소화기내과학회지’에 게재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은 서울아산병원 서동완 교수팀이 고주파 탐침을 이용한 췌장 종양 제거를 국내 처음으로 시도했으며 암 초기단계 종양을 수술 절제만으로 치료하던 기존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진흥원에 따르면, 췌장에 생기는 종양(신경내분비·가성유두상)은 췌장암처럼 악성도가 높지는 않지만 서서히 진행해 결국 악성화 되고 전이되기 때문에 수술 절제로 치료를 시행해왔다.
하지만 기존 외과절제술로 종양 일부를 제거할 경우 수술 후 췌장이 신체 내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해 혈당조절기능 감소 또는 소화불량 등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당뇨병 등 합병증 발생률이 약 30%에 달한다.
반면 내시경초음파로 시술하면 췌장을 잘라내지 않기 때문에 췌장 기능이 유지되고 흉터가 없으며 합병증도 적고 회복기간도 빨라 시술 후 환자 삶의 질이 유지된다.
서동완 교수팀은 약 8년간 선행 및 추적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세계 최초로 내시경초음파에 삽입 가능한 침형 고주파 탐침(probe)을 개발해 이를 이용한 췌장 종양 제거 치료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2010년 스타메드와 내시경초음파 고주파 시술을 시행할 수 있는 탐침을 공동 연구해 개발했다.
또 약 13개월간 암 발전 가능성이 높은 신경내분비 종양 환자 8명과 가성유두상 종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내시경초음파 치료 및 추적관찰을 수행했다.
이 결과 70% 환자의 종양이 없어졌고 30% 환자의 종양크기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서동완 교수는 “내시경 초음파 치료법은 치료 후에도 췌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해 기존 수술대비 합병증 감소와 안전성을 향상시킨다”고 밝혔다.
그는 “향후 지속적 연구를 통해 췌장 내시경초음파 치료법의 적용범위를 넓혀 많은 췌장 종양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최근 관련분야 권위지 ‘유럽소화기내과학회지’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