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노조, 2018년 31개 병원대상 실태조사결과 발표
"모성정원제 시행해야 상시적 결원 막을 수 있어" 주장
대체인력 비정규직 채용 임신순번제 양산 악순환 지적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노조)가 여성다수 사업장인 병원에서의 모성정원제 시행을 촉구했다.
보건노조가 31개 지난해 보건노조 조합원이 조직된 31개 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산전후휴가자수와 육아휴직자수가 전체 직원 대비 평균 9.65%으로 조사됐기 때문.
즉, 병원 내 산전후휴가자수와 육아휴직자수가 평균적으로 전체 10명 중 1명꼴로 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으로 인한 상시적 결원 인력이 발생해 이에 대비해야된다는 주장이다.
보건노조는 10일 2018년 1년간 보건의료노조 조합원이 조직돼 있는 31개 병원의 산전후휴가자수와 육아휴직자수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31개 병원의 산전후휴가자수와 육아휴직자수는 총 3080명으로 전체 직원 수는 3만1885명이었다.
먼저 조사결과 산전후휴가자와 육아휴직자수가 가장 많은 곳은 양산부산대병원으로 총 384명(전체 직원 2288명의 16.78%)이었고, 가장 적은 곳은 강릉의료원으로 산전후휴가자와 육아휴직자수는 총 2명(전체 직원 150명의 1.33%)이었다.
또한 ▲부천성모병원 151명(전체직원 969명, 15.58%) ▲부산대병원 327명(전체직원 2421명, 13.50%) ▲서울시북부병원 32명(전체직원 203명, 15.76%) 순으로 전체직원대비 모성정원 비율을 보였다.
보건노조는 "산전후휴가자와 육아휴직자수가 매년 평균 전체 직원의 10% 수준인데도 사용자측은 이를 대체할 인력을 정규직 정원으로 확보하지 않는다"며 "임시직이나 계약직 형태 채용으로 미숙련에 따른 업무 차질이나 과도한 업무하중에 시달리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건노조는 "또 임신·출산·육아가 다른 구성원들의 업무하중으로 연결되는 것을 우려한 부서 구성원들 내에 암묵적으로 임신순번제까지 시행되고 있다"며 "산전산후휴가제도와 육아휴직제도 같은 모성보호제도가 있음에도 병원에서는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조차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보건의료노조가 공개한 '2018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산전후휴가를 사용한 경우는 66.7%(2563명)에 불과했고, 33.3%(1280명)는 산전후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해 보건의료노조는 '저출산시대 모성보호와 일-가정 양립,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모성정원제 시행'을 2019년 핵심요구로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에 따른 상시적 결원인력을 임시직·계약직으로 채용하지 말고 정규직 TO로 확보하라는 것이 보건노조의 요구.
이는 저출산시대 모성보호와 일-가정 양립을 위해서도 필요하고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제도라는 주장이다.
.
보건노조는 "보건의료산업 노사와 정부 등이 참가하는 노사정 정책협의를 추진해고 시행에 필요한 비용 보전제도를 전향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며 "모성정원제 시행은 관련 정부부처가 함께 풀어야 할 주요 정책과제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 발표는 지부별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것에 대해 보건노조가 수기 분석을 시행한 약식 결과발표로 보건노조는 오는 6월 말 노동문제연구소를 통해 세부 분석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보건노조가 31개 지난해 보건노조 조합원이 조직된 31개 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산전후휴가자수와 육아휴직자수가 전체 직원 대비 평균 9.65%으로 조사됐기 때문.
즉, 병원 내 산전후휴가자수와 육아휴직자수가 평균적으로 전체 10명 중 1명꼴로 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으로 인한 상시적 결원 인력이 발생해 이에 대비해야된다는 주장이다.
보건노조는 10일 2018년 1년간 보건의료노조 조합원이 조직돼 있는 31개 병원의 산전후휴가자수와 육아휴직자수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31개 병원의 산전후휴가자수와 육아휴직자수는 총 3080명으로 전체 직원 수는 3만1885명이었다.
먼저 조사결과 산전후휴가자와 육아휴직자수가 가장 많은 곳은 양산부산대병원으로 총 384명(전체 직원 2288명의 16.78%)이었고, 가장 적은 곳은 강릉의료원으로 산전후휴가자와 육아휴직자수는 총 2명(전체 직원 150명의 1.33%)이었다.
또한 ▲부천성모병원 151명(전체직원 969명, 15.58%) ▲부산대병원 327명(전체직원 2421명, 13.50%) ▲서울시북부병원 32명(전체직원 203명, 15.76%) 순으로 전체직원대비 모성정원 비율을 보였다.
보건노조는 "산전후휴가자와 육아휴직자수가 매년 평균 전체 직원의 10% 수준인데도 사용자측은 이를 대체할 인력을 정규직 정원으로 확보하지 않는다"며 "임시직이나 계약직 형태 채용으로 미숙련에 따른 업무 차질이나 과도한 업무하중에 시달리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건노조는 "또 임신·출산·육아가 다른 구성원들의 업무하중으로 연결되는 것을 우려한 부서 구성원들 내에 암묵적으로 임신순번제까지 시행되고 있다"며 "산전산후휴가제도와 육아휴직제도 같은 모성보호제도가 있음에도 병원에서는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조차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보건의료노조가 공개한 '2018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산전후휴가를 사용한 경우는 66.7%(2563명)에 불과했고, 33.3%(1280명)는 산전후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해 보건의료노조는 '저출산시대 모성보호와 일-가정 양립,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모성정원제 시행'을 2019년 핵심요구로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에 따른 상시적 결원인력을 임시직·계약직으로 채용하지 말고 정규직 TO로 확보하라는 것이 보건노조의 요구.
이는 저출산시대 모성보호와 일-가정 양립을 위해서도 필요하고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제도라는 주장이다.
.
보건노조는 "보건의료산업 노사와 정부 등이 참가하는 노사정 정책협의를 추진해고 시행에 필요한 비용 보전제도를 전향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며 "모성정원제 시행은 관련 정부부처가 함께 풀어야 할 주요 정책과제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 발표는 지부별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것에 대해 보건노조가 수기 분석을 시행한 약식 결과발표로 보건노조는 오는 6월 말 노동문제연구소를 통해 세부 분석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