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연구진, 정신 장애 평생 유병률 분석 결과
"평생 족쇄처럼 정신질환 유발 가능…적극적 개입 필요"
삶의 어느 과정에서건 단 한번이라도 폭력에 노출되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나 강박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에 걸릴 확률이 최대 30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폭력의 경중과 관계없이 폭행에 노출됐다면 적극적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 등을 통해 사회가 적극적인 개입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목소리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팀은 국내에 거주중인 18세 이상 여성 3160명을 대상으로 폭력과 정신장애 유병율을 분석하고 16일 그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5년 인구총조사를 통해 전국 23개 지역에서 나이와 교육 수준,직업,결혼,소득에 따라 대표성을 갖춘 18세 이상 여성들을 선별한 뒤 한 명씩 직접 만나 정신질환진단도구(K-CIDI)를 활용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터뷰에 응한 여성 가운데 한 번이라도 배우자나 연인 등으로부터 물리적 폭력이나 성폭력 등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고 고백한 사람은 모두 47명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피해 여성과 비피해 여성의 정신장애 평생유병률을 분석해 상대적 발병 위험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폭력의 형태나 종류에 상관없이 정신 장애로 분류된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피해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발병 위험이 크게 높았다.
물리적 폭력 피해 여성의 경우 여러 정신장애 중 하나라도 발병할 위험이 3.6배에 달했으며 성폭력 피해 여성은 14.3배 까지 치솟았다.
정신장애 종류에 따라 상대 위험도가 높은 5개 질환으로 범위를 좁혀보면,물리적 폭력 피해 여성은 광장 공포증과 강박장애 위험이 대조군 여성보다 8배가 더 높았다.
또한 강박장애 확률도 8배가 높았으며 니코틴 의존증(6.5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6배), 알콜 남용(4.9배)순으로 정신 질환을 앓을 확률이 높아졌다.
성폭력 피해 여성의 경우 위험 정도가 더욱 컸다.
성폭력을 당한 여성의 경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일으킬 확률이 32.4배나 높아졌고 강박 장애를 일으킬 위험도 27.8배에 달했다.
이밖에도 니코틴 의존증 위험이 22.4배가 올라갔으며 광장공포증(19.6배), 불안장애(13.3배) 등의 위험도 매우 높았다.
홍진표 교수는 "폭력으로 인한 정신장애 유병률을 국가적 규모로 조사 보고한 것은 이번이 최초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단 한번이라도 폭려게 노출되면 평생에 걸쳐 병으로 발전할 수 있는 만큼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폭력의 경중과 관계없이 폭행에 노출됐다면 적극적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 등을 통해 사회가 적극적인 개입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목소리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팀은 국내에 거주중인 18세 이상 여성 3160명을 대상으로 폭력과 정신장애 유병율을 분석하고 16일 그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5년 인구총조사를 통해 전국 23개 지역에서 나이와 교육 수준,직업,결혼,소득에 따라 대표성을 갖춘 18세 이상 여성들을 선별한 뒤 한 명씩 직접 만나 정신질환진단도구(K-CIDI)를 활용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터뷰에 응한 여성 가운데 한 번이라도 배우자나 연인 등으로부터 물리적 폭력이나 성폭력 등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고 고백한 사람은 모두 47명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피해 여성과 비피해 여성의 정신장애 평생유병률을 분석해 상대적 발병 위험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폭력의 형태나 종류에 상관없이 정신 장애로 분류된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피해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발병 위험이 크게 높았다.
물리적 폭력 피해 여성의 경우 여러 정신장애 중 하나라도 발병할 위험이 3.6배에 달했으며 성폭력 피해 여성은 14.3배 까지 치솟았다.
정신장애 종류에 따라 상대 위험도가 높은 5개 질환으로 범위를 좁혀보면,물리적 폭력 피해 여성은 광장 공포증과 강박장애 위험이 대조군 여성보다 8배가 더 높았다.
또한 강박장애 확률도 8배가 높았으며 니코틴 의존증(6.5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6배), 알콜 남용(4.9배)순으로 정신 질환을 앓을 확률이 높아졌다.
성폭력 피해 여성의 경우 위험 정도가 더욱 컸다.
성폭력을 당한 여성의 경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일으킬 확률이 32.4배나 높아졌고 강박 장애를 일으킬 위험도 27.8배에 달했다.
이밖에도 니코틴 의존증 위험이 22.4배가 올라갔으며 광장공포증(19.6배), 불안장애(13.3배) 등의 위험도 매우 높았다.
홍진표 교수는 "폭력으로 인한 정신장애 유병률을 국가적 규모로 조사 보고한 것은 이번이 최초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단 한번이라도 폭려게 노출되면 평생에 걸쳐 병으로 발전할 수 있는 만큼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