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토론회에서 의학회-정부-유관기관 필요성 공감
장기적 투자·정책적 지원이 한계점 "의사들도 나서야"
"내시경 술기는 세계 최상위인데 국산 내시경 하나가 없어서 되겠나. 이를 위한 범 국가적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올림푸스 등 일본 제품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내시경 국산화를 통해 자생적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의학회와 유관 기관은 물론 정부도 이같은 필요성에 공감하며 국가적 프로젝트에 대한 고민에 나섰다는 점에서 과연 현실화가 가능할지 주목된다.
소화기내시경학회 등 전문가들 "내시경 국산화 선택 아닌 필수"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의료기기 국산화 개발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는 소화기 내시경 국산화를 위한 현재 한계점과 대안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이뤄졌다.
이번 토론회에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와 소화기내시경연구재단 등 의학회들은 내시경 국산화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서둘러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발제자로 나선 소화기내시경학회 조주영 이사장(순천향의대)은 "지금까지 국책 과제와 사업은 물론 민간 기관의 수많은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산 내시경 하나를 개발하지 못한 것은 너무나 안타까운 일"이라며 "이러한 가운데 일본은 전 세계 내시경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내시경은 4차 산업 혁명의 집약체로 극도의 기술력을 요구하는 분야"라며 "과거 반도체 등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내시경 수출을 막는다면 그야말로 답이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다른 전문가들도 마찬가지 지적을 내놨다. 단지 기업 차원에서 혹은 병원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만큼 정부와 기업, 의학회가 모두 힘을 합쳐 국산화를 위한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는 것.
그나마 이제라도 의료기기 산업 육성법이 신설되고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이 구성된 만큼 힘을 합쳐 내시경 국산화를 이뤄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범재 소화기내시경학회 내시경기기개발위원장(고려의대)은 "내시경 국산화는 수입 대체를 통해 국부 유출을 예방하는 동시에 국민의 건강권을 담보로 하는 국가 전략적 자산으로 볼 수 있다"며 "단순히 기업에만 맡겨서는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니 만큼 국내 회사들이 적정 규모를 유지하면서 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내수 시장이 받혀줘야만 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살아나는 만큼 의사들과 의료기관들의 노력도 필요하다"며 "소화기내시경학회의 9천명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국산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돕겠다"고 공언했다.
정부와 유관기관들 필요성 공감 "의사들이 적극 도와야"
정부와 유관기관들도 필요성에 공감하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의료기기 분야가 4차 산업의 핵심 요소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도 육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다.
권덕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은 "코로나 사태 등을 겪으며 세계 각국에서 자국민을 위해 약품과 기기 등에 장벽을 세우는 것을 볼때도 내시경 국산화는 반드시 가야 하는 길이다"며 "하지만 지금까지 국산화를 지원하기 위한 R&D 기구가 없었던 것도 사실"이라고 전했다.
또한 그는 "올해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이 구축된 만큼 진흥원도 이를 적극적으로 도와 우리나라에서도 국산 내시경이 나오고 굴지의 의료기기 기업이 나올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을 비롯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등 유관 기관에서는 의사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아무리 정부에서 R&D를 지원하고 국내 기업들이 국산화에 노력한다고 해도 의사들이 외면하는 이상 이를 성장시킬 수 없다는 지적이다.
김법민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장은 "내시경 국산화를 위해서는 의사들이 사용자에 머물지 않고 플레이어로 나서 기획부터 설계, 사업화까지 모두 함께 하며 힘을 보태야 한다"며 "국산화의 필요성을 주창하면서 누가 국산 제품을 쓰냐는 입장을 취하면 사업화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기숙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기기연구과장은 "의료기기 국산화의 가장 높은 허들은 의사와 의료기관의 신뢰도"라며 "의료기기의 성능과 안전성, 사업화를 위해 설계 당시부터 산업계와 학계, 병원계와 정부가 모두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올림푸스 등 일본 제품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내시경 국산화를 통해 자생적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의학회와 유관 기관은 물론 정부도 이같은 필요성에 공감하며 국가적 프로젝트에 대한 고민에 나섰다는 점에서 과연 현실화가 가능할지 주목된다.
소화기내시경학회 등 전문가들 "내시경 국산화 선택 아닌 필수"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의료기기 국산화 개발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는 소화기 내시경 국산화를 위한 현재 한계점과 대안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이뤄졌다.
이번 토론회에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와 소화기내시경연구재단 등 의학회들은 내시경 국산화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서둘러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발제자로 나선 소화기내시경학회 조주영 이사장(순천향의대)은 "지금까지 국책 과제와 사업은 물론 민간 기관의 수많은 시도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산 내시경 하나를 개발하지 못한 것은 너무나 안타까운 일"이라며 "이러한 가운데 일본은 전 세계 내시경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내시경은 4차 산업 혁명의 집약체로 극도의 기술력을 요구하는 분야"라며 "과거 반도체 등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내시경 수출을 막는다면 그야말로 답이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다른 전문가들도 마찬가지 지적을 내놨다. 단지 기업 차원에서 혹은 병원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만큼 정부와 기업, 의학회가 모두 힘을 합쳐 국산화를 위한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는 것.
그나마 이제라도 의료기기 산업 육성법이 신설되고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이 구성된 만큼 힘을 합쳐 내시경 국산화를 이뤄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범재 소화기내시경학회 내시경기기개발위원장(고려의대)은 "내시경 국산화는 수입 대체를 통해 국부 유출을 예방하는 동시에 국민의 건강권을 담보로 하는 국가 전략적 자산으로 볼 수 있다"며 "단순히 기업에만 맡겨서는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니 만큼 국내 회사들이 적정 규모를 유지하면서 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내수 시장이 받혀줘야만 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살아나는 만큼 의사들과 의료기관들의 노력도 필요하다"며 "소화기내시경학회의 9천명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국산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돕겠다"고 공언했다.
정부와 유관기관들 필요성 공감 "의사들이 적극 도와야"
정부와 유관기관들도 필요성에 공감하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의료기기 분야가 4차 산업의 핵심 요소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도 육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다.
권덕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은 "코로나 사태 등을 겪으며 세계 각국에서 자국민을 위해 약품과 기기 등에 장벽을 세우는 것을 볼때도 내시경 국산화는 반드시 가야 하는 길이다"며 "하지만 지금까지 국산화를 지원하기 위한 R&D 기구가 없었던 것도 사실"이라고 전했다.
또한 그는 "올해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이 구축된 만큼 진흥원도 이를 적극적으로 도와 우리나라에서도 국산 내시경이 나오고 굴지의 의료기기 기업이 나올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을 비롯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등 유관 기관에서는 의사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아무리 정부에서 R&D를 지원하고 국내 기업들이 국산화에 노력한다고 해도 의사들이 외면하는 이상 이를 성장시킬 수 없다는 지적이다.
김법민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장은 "내시경 국산화를 위해서는 의사들이 사용자에 머물지 않고 플레이어로 나서 기획부터 설계, 사업화까지 모두 함께 하며 힘을 보태야 한다"며 "국산화의 필요성을 주창하면서 누가 국산 제품을 쓰냐는 입장을 취하면 사업화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기숙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기기연구과장은 "의료기기 국산화의 가장 높은 허들은 의사와 의료기관의 신뢰도"라며 "의료기기의 성능과 안전성, 사업화를 위해 설계 당시부터 산업계와 학계, 병원계와 정부가 모두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