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110만명 대규모 안전성 조사 발표
"ACE 억제제 및 ARB 계열약, 위험치 않아"
신종 코로나19 감염병 확진자들에서 고혈압약 복용에 따른 합병증 발생 위험은 증가하지 않는다는 성적표가 나왔다.
특징적으로 체내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 수용체에 작용하는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작용기전상, 일부 ACE 억제제나 ARB 계열 고혈압 약제들의 경우 안전성 이슈가 불거졌으나 대규모 분석 결과 별다른 이상신호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코로나19 대유행 사태에 고위험군으로 지목된 심혈관질환자를 대상으로 고혈압 약제 사용에 따른 위험성을 평가한 대규모 리얼월드 데이터 조사결과가 나왔다.
무엇보다 확진자들 가운데 고혈압의 주요 치료옵션으로 분류되는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한다고 해도, 합병증 위험도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 이번 조사결과의 핵심이다.
해당 연구는 글로벌 헬스케어 네트워크인 'OHDSI(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s)' 주도로 진행된 결과로, 국제학술지인 란셋 디지털 헬스(Lancet Digital Health) 12월 1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연구명 Renin–angiotensin system blockers and susceptibility to COVID-19).
고혈압 약제를 처방받는 전세계 110만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했을시, ACE 억제제와 ARB 계열 약제를 사용한 해당 환자들에서 코로나19 진단율을 비롯한 이상반응으로 인한 내원율, 치료에 따른 합병증 등의 위험도를 유의하게 늘리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는 최근 대표 단체인 미국 및 유럽의 심장학회들에서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일부 약제가 안전성 우려를 지적받았으나 해당 ACE 억제제와 ARB 계열 약제의 사용을 중단하지 말라"는 권고입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였다.
리얼월드 분석을 총괄지휘한 UCLA의대 마크 슈카드(Marc A. Suchard) 교수는 "통상 고혈압 환자가 코로나19를 확진받을 경우 치료성적이 나쁜 것으로 보고되는 상황"이라면서 "일부 항고혈압 약제들에서 작용기전과 관련해 안전성 이슈가 제기되기는 했지만, 이번 결과 여타 다른 치료제들과 비교해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제들이 이러한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과는 어떠한 관련성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최근들어 코로나19 확진자들 가운데 고혈압 약제를 사용하는 인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들은 속속 발표되는 분위기다. 여기서도 안전성 문제보다는 고혈압 관리를 위한 약제의 지속 사용을 추천하는 결론들을 내놓은 바 있다.
연구를 살펴보면, 이번 코로나19 사태에 환자 피해가 상당했던 미국 및 스페인 지역의 총 110만여명의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제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비교했다.
사용된 약제들은 현행 고혈압 치료에 표준약제로 자립잡은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제 및 칼슘채널차단제(CCB), 이뇨제(타이아자이드이뇨제, 이하 THZ)가 사용됐다. 또한 코로나19 위험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ARB 계열약제와 ACE 억제제 사이에 약물 스위칭(처방전환) 비율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OHDSI는 오픈 사이언스 연구와 관련해 국제 공조를 진행하는 커뮤니티로,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의료진이나 환자들 모두에서 올바른 약제 사용에 대한 결정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연구들을 대규모로 진행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결과를 근거로 약제간 위험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추후 규모를 더 늘려 전세계 공조아래 이러한 결과를 재확인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분석에는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제를 단독요법으로 사용하거나 병용요법으로 사용하는 등 여러 사례의 환자들에서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총 1280건에 달하는 연구들이 비교됐다. 세부적인 내용은 코로나 사태와 ACE 수용체 억제 작용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ICARIUS(COVID-ACE Receptor Inhibition Utilization and Safety)' 프로토콜을 'https://github.com/ohdsi-studies/Covid19Icariu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심혈관질환 가운데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가 감염병에 걸릴 경우, 다혈관 폐색을 비롯한 경색 부위 크기, 내원치료 중 사망 위험이 세 배 이상 차이가 벌어진다는 새로운 분석결과가 나온 바 있다(2020;51(11):3366-3370).
해당 뇌졸중 환자들의 경우 코로나19 감염여부에 상관없이 스텐트 및 혈전치료 등 재관류술 치료성적에는 이렇다할 차이가 없었으나 코로나19 사망률을 비롯한 뇌혈관 영상 병변에는 차이가 상당했다는 대목이었다. 대상 환자들이 기저질환으로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들이 대다수였다는 점에서, 만성질환자들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관리가 주요해질 전망이다.
특징적으로 체내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 수용체에 작용하는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작용기전상, 일부 ACE 억제제나 ARB 계열 고혈압 약제들의 경우 안전성 이슈가 불거졌으나 대규모 분석 결과 별다른 이상신호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코로나19 대유행 사태에 고위험군으로 지목된 심혈관질환자를 대상으로 고혈압 약제 사용에 따른 위험성을 평가한 대규모 리얼월드 데이터 조사결과가 나왔다.
무엇보다 확진자들 가운데 고혈압의 주요 치료옵션으로 분류되는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한다고 해도, 합병증 위험도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 이번 조사결과의 핵심이다.
해당 연구는 글로벌 헬스케어 네트워크인 'OHDSI(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s)' 주도로 진행된 결과로, 국제학술지인 란셋 디지털 헬스(Lancet Digital Health) 12월 1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연구명 Renin–angiotensin system blockers and susceptibility to COVID-19).
고혈압 약제를 처방받는 전세계 110만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했을시, ACE 억제제와 ARB 계열 약제를 사용한 해당 환자들에서 코로나19 진단율을 비롯한 이상반응으로 인한 내원율, 치료에 따른 합병증 등의 위험도를 유의하게 늘리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는 최근 대표 단체인 미국 및 유럽의 심장학회들에서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일부 약제가 안전성 우려를 지적받았으나 해당 ACE 억제제와 ARB 계열 약제의 사용을 중단하지 말라"는 권고입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였다.
리얼월드 분석을 총괄지휘한 UCLA의대 마크 슈카드(Marc A. Suchard) 교수는 "통상 고혈압 환자가 코로나19를 확진받을 경우 치료성적이 나쁜 것으로 보고되는 상황"이라면서 "일부 항고혈압 약제들에서 작용기전과 관련해 안전성 이슈가 제기되기는 했지만, 이번 결과 여타 다른 치료제들과 비교해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제들이 이러한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과는 어떠한 관련성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최근들어 코로나19 확진자들 가운데 고혈압 약제를 사용하는 인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들은 속속 발표되는 분위기다. 여기서도 안전성 문제보다는 고혈압 관리를 위한 약제의 지속 사용을 추천하는 결론들을 내놓은 바 있다.
연구를 살펴보면, 이번 코로나19 사태에 환자 피해가 상당했던 미국 및 스페인 지역의 총 110만여명의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제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비교했다.
사용된 약제들은 현행 고혈압 치료에 표준약제로 자립잡은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제 및 칼슘채널차단제(CCB), 이뇨제(타이아자이드이뇨제, 이하 THZ)가 사용됐다. 또한 코로나19 위험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ARB 계열약제와 ACE 억제제 사이에 약물 스위칭(처방전환) 비율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OHDSI는 오픈 사이언스 연구와 관련해 국제 공조를 진행하는 커뮤니티로,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의료진이나 환자들 모두에서 올바른 약제 사용에 대한 결정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연구들을 대규모로 진행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결과를 근거로 약제간 위험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추후 규모를 더 늘려 전세계 공조아래 이러한 결과를 재확인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분석에는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제를 단독요법으로 사용하거나 병용요법으로 사용하는 등 여러 사례의 환자들에서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총 1280건에 달하는 연구들이 비교됐다. 세부적인 내용은 코로나 사태와 ACE 수용체 억제 작용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ICARIUS(COVID-ACE Receptor Inhibition Utilization and Safety)' 프로토콜을 'https://github.com/ohdsi-studies/Covid19Icariu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심혈관질환 가운데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가 감염병에 걸릴 경우, 다혈관 폐색을 비롯한 경색 부위 크기, 내원치료 중 사망 위험이 세 배 이상 차이가 벌어진다는 새로운 분석결과가 나온 바 있다(2020;51(11):3366-3370).
해당 뇌졸중 환자들의 경우 코로나19 감염여부에 상관없이 스텐트 및 혈전치료 등 재관류술 치료성적에는 이렇다할 차이가 없었으나 코로나19 사망률을 비롯한 뇌혈관 영상 병변에는 차이가 상당했다는 대목이었다. 대상 환자들이 기저질환으로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들이 대다수였다는 점에서, 만성질환자들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관리가 주요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