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10명 중 7명은 '우울증'...전체 중 17%가 20대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은 영향"
코로나19 영향일까. '코로나블루'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한 상황에서 기분장애를 호소하는 환자가 지난해 100만명을 넘어섰다. 기분장애 중에서도 우울증 환자가 75%를 차지했다.
건강보험공단은 2016~2020년 기분장애(F30~F39)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데이터를 분석, 그 결과를 5일 발표했다.
기분장애는 기분조절이 어렵고 비정상적인 기분이 장시간 지속되는 장애를 넓은 의미로 일컫는 말이다. 우울장애, 양극성 장애가 대표적 질환이다. 의욕, 흥미, 수면, 식욕, 인지 등 넓은 영역에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 5년간 기분장애 환자 숫자를 보면 2016년 77만8000명에서 지난해 101만7000명으로 30.7%나 늘었다. 연평균 7%씩 늘었다. 특히 지난해는 기분장애 환자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기준으로 환자를 살펴보면 17%가 20대 환자로 가장 많았다. 환자 10명 중 3명은 50~60대 환자가 차지했다. 60대 16.2%, 50대 14.4% 순이었다. 눈에 띄는 점은 남성 환자는 20대에서 가장 많고 여성 환자는 60대에서 가장 많다는 것.
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선영 교수는 "환자 나이가 많아질수록 자주 재발하고 이환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고령 여성에서 진료 빈도와 기간이 길 것"이라고 추측했다.
더불어 젊은층은 'N포세대'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사회적으로 압박감을 가져야 하는 현실이 반영된 결과라는 추측이 나왔다. 여기에 코로나19 상황까지 더해지면서 스트레스는 더 극심해졌을터.
박 교수도 "최근 젊은 층에서 불안장애, 우울장애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을 것"이라고 짐작했다.
실제 기분장애 진료인원 중 우울증(F32) 환자가 76만6000명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하고 있었다. 양극성 정동장애인 조울증 환자가 11만2000명으로 뒤를 이었다.
환자 수가 늘어나는 만큼 진료비도 빠르게 늘어났다. 2016년 4299억원에서 2020년 6757억원으로 57% 급증했다. 연평균 증가율도 12% 수준이다. 지난해 환자 1인당 진료비는 66만5000원 수준으로 5년 전인 2016년보다 20% 늘었다.
박 교수는 "우울증 평생 유병률은 기준에 따라 다양하지만 4.4%~30%로 알려지며, 조울증 평생 유병률은 0.5%~2.5% 정도"라며 "이 두 질환은 기분장애의 가장 대표적이고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말했다.
건강보험공단은 2016~2020년 기분장애(F30~F39)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데이터를 분석, 그 결과를 5일 발표했다.
기분장애는 기분조절이 어렵고 비정상적인 기분이 장시간 지속되는 장애를 넓은 의미로 일컫는 말이다. 우울장애, 양극성 장애가 대표적 질환이다. 의욕, 흥미, 수면, 식욕, 인지 등 넓은 영역에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 5년간 기분장애 환자 숫자를 보면 2016년 77만8000명에서 지난해 101만7000명으로 30.7%나 늘었다. 연평균 7%씩 늘었다. 특히 지난해는 기분장애 환자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기준으로 환자를 살펴보면 17%가 20대 환자로 가장 많았다. 환자 10명 중 3명은 50~60대 환자가 차지했다. 60대 16.2%, 50대 14.4% 순이었다. 눈에 띄는 점은 남성 환자는 20대에서 가장 많고 여성 환자는 60대에서 가장 많다는 것.
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선영 교수는 "환자 나이가 많아질수록 자주 재발하고 이환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고령 여성에서 진료 빈도와 기간이 길 것"이라고 추측했다.
더불어 젊은층은 'N포세대'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사회적으로 압박감을 가져야 하는 현실이 반영된 결과라는 추측이 나왔다. 여기에 코로나19 상황까지 더해지면서 스트레스는 더 극심해졌을터.
박 교수도 "최근 젊은 층에서 불안장애, 우울장애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을 것"이라고 짐작했다.
실제 기분장애 진료인원 중 우울증(F32) 환자가 76만6000명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하고 있었다. 양극성 정동장애인 조울증 환자가 11만2000명으로 뒤를 이었다.
환자 수가 늘어나는 만큼 진료비도 빠르게 늘어났다. 2016년 4299억원에서 2020년 6757억원으로 57% 급증했다. 연평균 증가율도 12% 수준이다. 지난해 환자 1인당 진료비는 66만5000원 수준으로 5년 전인 2016년보다 20% 늘었다.
박 교수는 "우울증 평생 유병률은 기준에 따라 다양하지만 4.4%~30%로 알려지며, 조울증 평생 유병률은 0.5%~2.5% 정도"라며 "이 두 질환은 기분장애의 가장 대표적이고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