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억 리드컴파스인베트스먼트 대표 제약협 세미나서 강조
선수금 수익 미미...기술수출로 먹고살려면 매년 5건 이상 체결해야
"라이센싱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의 중장기적 지속력을 바라볼 때 어렵다는 생각이다."
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의 성과 창출 통로 중 하나인 라이센싱(기술수출) 사업모델이 장기적 관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술수출 후 실질적으로 제약사의 손에 들어오는 수익과 국내 파이프라인 상황을 봤을 때 지속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
김태억 리드컴파스인베스트먼트 대표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27일 개최한 웨비나에서 '바이오의약산업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태억 대표에 따르면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1조원 규모의 기술수출을 하더라도 이뤄져도 계약금과 마일스톤, 로열티로 살펴보면 선수금은 400억원 정도에 불과한 상황이다.
김 대표는 "선수금 400억원 마저도 2~4년으로 나누면 1년에 들어오는 비용은 100억~200억원 수준"이라며 "이 정도는 신규 파이프라인으로 투자하면 적당한 정도로 라이센싱 모델을 지속하려면 매년 5건씩 기술수출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령 현실적으로 라이센싱 모델이 중장기 비즈니스 모델로 1년에 1000억원 정도의 현금 이익이 나야 하는데 그 정도로 풍부한 파이프라인을 가진 회사는 없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
그는 "라이센싱 실적을 통해 현금이 얼마나 들어올지를 면밀히 살펴봐야 하는 이유"라며 "이는 글로벌 라이센싱 모델의 한계ㄹ 중장기 지속성을 갖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대표는 실제 라이센싱이 이뤄지더라도 이 중 대부분은 반환이 이뤄진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 대표는 "글로벌 라이센싱이 되도 10건에서 7건 정도는 반환이 불가피하다"며 "모든 임상단계를 합친 실패율은 70~80%라고 봤을 때 이 비율에 해당하는 돈도 할인해서 규모를 평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김 대표는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 조사한(2020년 2월 기준) 국내 파이프라인 조사결과를 통해 아직 경쟁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김 대표에 따르면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 조사한 국내 파이프라인은 559개로 이 중 혁신형 제약기업 47개사 파이프라인은 267개였다. 이중 FIC(First in Class)의 비율은 5% 이내로 추정됐다.
그는 "국내제약산업이 빅파마에 비해 돈과 시간이 부족하다고 봤을 때 FIC가 어느 정도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FIC 개수는 전체의 5%에 불과하고 물질의 형태도 화학물질 생산 등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유전자 치료제 비율은 낮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대표는 "우수한 라이센싱으로 R&D 경쟁력을 입증하고 직접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라며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기술수출 모델에 만족하지 말고 해외 글로벌 시장에 더욱 적극적으로 뛰어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의 성과 창출 통로 중 하나인 라이센싱(기술수출) 사업모델이 장기적 관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술수출 후 실질적으로 제약사의 손에 들어오는 수익과 국내 파이프라인 상황을 봤을 때 지속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
김태억 리드컴파스인베스트먼트 대표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27일 개최한 웨비나에서 '바이오의약산업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태억 대표에 따르면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1조원 규모의 기술수출을 하더라도 이뤄져도 계약금과 마일스톤, 로열티로 살펴보면 선수금은 400억원 정도에 불과한 상황이다.
김 대표는 "선수금 400억원 마저도 2~4년으로 나누면 1년에 들어오는 비용은 100억~200억원 수준"이라며 "이 정도는 신규 파이프라인으로 투자하면 적당한 정도로 라이센싱 모델을 지속하려면 매년 5건씩 기술수출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령 현실적으로 라이센싱 모델이 중장기 비즈니스 모델로 1년에 1000억원 정도의 현금 이익이 나야 하는데 그 정도로 풍부한 파이프라인을 가진 회사는 없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
그는 "라이센싱 실적을 통해 현금이 얼마나 들어올지를 면밀히 살펴봐야 하는 이유"라며 "이는 글로벌 라이센싱 모델의 한계ㄹ 중장기 지속성을 갖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대표는 실제 라이센싱이 이뤄지더라도 이 중 대부분은 반환이 이뤄진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 대표는 "글로벌 라이센싱이 되도 10건에서 7건 정도는 반환이 불가피하다"며 "모든 임상단계를 합친 실패율은 70~80%라고 봤을 때 이 비율에 해당하는 돈도 할인해서 규모를 평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김 대표는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 조사한(2020년 2월 기준) 국내 파이프라인 조사결과를 통해 아직 경쟁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김 대표에 따르면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이 조사한 국내 파이프라인은 559개로 이 중 혁신형 제약기업 47개사 파이프라인은 267개였다. 이중 FIC(First in Class)의 비율은 5% 이내로 추정됐다.
그는 "국내제약산업이 빅파마에 비해 돈과 시간이 부족하다고 봤을 때 FIC가 어느 정도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FIC 개수는 전체의 5%에 불과하고 물질의 형태도 화학물질 생산 등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유전자 치료제 비율은 낮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대표는 "우수한 라이센싱으로 R&D 경쟁력을 입증하고 직접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라며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기술수출 모델에 만족하지 말고 해외 글로벌 시장에 더욱 적극적으로 뛰어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