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신장학회지에 대규모 추적 관찰 연구 결과 게재
사망률 46%까지 올라…"적극적 완화 치료 필요하다"
코로나 확진자 10명 중 3명은 급성 신장 손상이 발생하지만 이에 대한 완화 치료는 상당히 더디게 진행되면서 치명률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계 환기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사망률도 크게 오르지만 이에 대한 적극적 대응은 미비하다는 것. 조기 지원에 대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진의 주장이다.
현지시각으로 24일 미국신장학회지(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에는 코로나로 인한 급성 신장 손상과 이로 인한 임상적 예후에 대한 대규모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doi.org/10.2215/CJN.11030821).
코로나 대유행이 본격화된 후 여러 관찰 연구에서 급성 신장 손상이 코로나의 일반적인 합병증이라는 점은 수차례 보고돼 왔다.
하지만 코로나 확진으로 인해 급성 신장 손상이 일어난 뒤 임상적 예후를 관찰한 연구는 없었던 것이 사실.
이에 따라 뉴욕대 그로스만 의대(NYU Grossman School of Medicine) 제니퍼(Jennifer S. Scherer) 교수가 주도하는 연구진은 코로나로 인해 급성 신장 손상이 일어난 환자에 대해 완화 치료의 적용 등을 집중 분석했다.
연구 결과 총 4276명의 대상 환자 중 급성 신장 손상이 일어난 환자는 1310명(31%)에 달했다. 코로나에 걸린 환자 10명 중 3명은 급성 신장 손상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문제는 이렇게 급성 신잔 손상이 일어나도 빠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는 점에 있었다.
실제로 코로나 확진 후 급성 신장 손상이 일어난 환자는 10일 후에야 완화 치료에 대한 상담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결국 이들은 완화 치료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고 있었다. 급성 신장 손상이 일어난 환자의 경우 다른 지표들을 모두 통제한 후에도 완화 치료를 받을 확률이 1.81배 높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렇게 급성 신장 손상이 일어난 환자들은 상당수(66%)가 투석과 같은 신장 대체 요법을 받게 됐으며 이후 완화 치료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이렇듯 즉각적인 조치가 미뤄지면서 발생하는 증상 악화도 심각했다. 코로나 확진 후 급성 신장 손상이 일어난 환자는 입원 기간이 훨씬 더 길어지는데다 중환자실 입원 위험도 크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기계 환기를 할 위험도 역시 높아졌다.
이러한 이유로 급성 신장 손상은 치명률에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급성 신장 손상이 발생한 환자는 입원 중 사망률이 46%에 달했다. 증상이 없었던 환자는 5%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수준이다.
퇴원 비율도 마찬가지였다. 급성 신장 손상이 없는 환자는 77%가 무사히 퇴원했지만 급성 신장 손상이 일어난 환자의 퇴원율은 24%에 불과했다.
연구를 주도한 제니퍼 교수는 "코로나로 인한 급성 신장 손상이 중증 악화는 물론 사망 등 치명률을 대폭 올린다는 것을 의학적으로 규명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하지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도 완화 치료가 늦어지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급성 신장 손상으로 치명적 결과가 생긴 환자들의 경우 조기 완화 치료가 들어갔으면 상황이 달랐을 수 있다는 의미"라며 "지금이라도 주치의 등을 통해 적극적인 완화 치료 프로토콜을 갖춰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