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정권 바이오 육성 인프라 초점…클러스터가 뜬다

발행날짜: 2022-03-11 05:30:00
  • 지역별 바이오 클러스트 형성 공약에 '수용' 의사
    클러스터 난립 지적 속 선택과 집중 방안 주목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자가 제20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제약바이오분야에 훈풍이 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제약바이오 산업이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만큼 이미 윤석열 당선인이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치, R&D 지원 및 세제 혜택 등을 공약으로 내걸며 후광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상황.

각 지자체는 우선 대선공약으로 바이오 산업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시켰다

11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윤석열 당선인은 7개 광역시‧도청에서 수집된 '지역별 10대 대선공약 및 우선순위' 중 지역의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요구를 모두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각 지자체가 바이오 분야 확장을 노리기 위한 전략으로 클러스터 조성을 내세운 만큼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는 셈이다.

먼저 인천광역시는 '바이오·수소·MRO 등 미래산업 육성'을 지역 공약(우선순위 없음)으로 내세웠다.

현재 인천시는 오는 2030년까지 송도를 바이오산업 메카로 육성하고 글로벌 바이오산업 선도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바이오 뉴딜 전략을 발표한 상태로, 지난해 말 기준 100개인 바이오기업 유치를 오는 2030년까지 7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미국 보스턴 바이오 창업기관 '랩센트럴'의 한국모델인 랩허브를 유치해 오는 2025년부터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시너지를 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구상할 가능성이 높다.

대전광역시의 경우 바이오 클러스터 공약 사업을 2순위 공약으로 내세워 바이오분야 확장에 대한 의지를 들어냈다.

대전시의 공약을 살펴보면 최우선 공약인 과학수도 지정 다음으로 충청권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구축을 지역공약으로 요구했다.

이에 대해 윤 당선인은 중부내륙 신사업벨트 구축이라는 타이틀로 대전과 세종, 청주, 천안까지 최첨단 국가신경망기술 연구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후보자 시절 발표한 바 있다.

이어 충남지역의 경우 미래의료 신산업 클러스터 구축(9순위)을 요구했으며 충북지역도 바이오산업 생태계 완성(5순위)을 내세웠다.

이러한 충청도권의 요구에 윤 당선인의 중부내륙 신사업벨트 구축이 맞물린다면 대전부터 충북·충남이 어우러진 클러스터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7개 광역시‧도청에서 수집된 '지역별 10대 대선공약 및 우선순위' 중 바이오 관련 공약 발췌.

대구·경북·울산 지역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단지나 포항시의 적극적인 바이오 투자 움직임 등 바이오분야 클러스터 육성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

이번 공약요구에서 뚜렷한 요구사항을 내세우진 않았지만 윤 당선인이 경북지역 주요 공약으로 백신·바이오산업 육성을 내세운 바 있어 지역 내 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원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강원지역 내 의료·바이오산업 육성도 지역 공약 사항 중 하나다. 윤 당선인은 지역 요구사항인 '의료·바이오산업 육성(우선순위 없음)'에 대해 '강원도의 산업 체질을 첨단 디지털·데이터 기반 미래산업으로 재편하고 권역별 주력산업을 특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밖에 전북은 지역 내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뒤를 이어 '수소‧데이터‧바이오 등 과학기술 기반 신산업 육성(우선순위 없음)'을 요구 사항으로 내걸었다.

다만, 윤 당선인은 전북에 신산업 육성을 위한 클러스터를 만들겠다고만 언급해 바이오·헬스케어 관련 구체적인 사항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그럼에도 각 지자체가 적극적인 지원책에 대한 수요 입장을 물으며 중앙정부의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 정책과 연계된 지역별 바이오 클러스터에 대한 요구 목소리가 높아질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7개 광역시‧도청에서 수집된 '지역별 10대 대선공약 및 우선순위'

바이오클러스터 전국 15개 시‧도 25개 'NEW 클러스터' 효용 물음표

다만, 15개 시도에 바이오 벤처지원센터 9개, 지역진흥사업 16개를 포함한 총 25개의 바이오클러스터가 있다는 점에서 바이오 클러스터를 세우기만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전국에 구축된 18개의 바이오 클러스터 중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병원과 협력 체계를 구축한 곳은 5개소(27%)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새롭게 조성되는 바이오 클러스터가 기존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결국 또 실적없는 유령 클러스터가 더해질 뿐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 때문에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K–바이오헬스지역센터를 조성해 바이오클러스터 네크워크 구축과 병원연계 등 기술사업화 지원의 구심점 역할을 만드는데 집중하고 있다.

결국 여러 지역에서 원하는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에 대한 공약을 이행하는 것 못지않게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적인 양성이 동반돼야한다는 조언이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지자체입장에서는 바이오가 먹거리로 떠오른 상황에서 랩허브 때와 마찬가지로 유치를 위한 치열한 경쟁이 있을 것으로 본다"며 "중앙 정부 차원에서 제약바이오 육성을 천명한 만큼 공약 이행 못지않게 선택과 집중도 중요하다는 생각이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