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신설 내건 카이스트, 의사과학자 커리큘럼 3+1+4 공개

발행날짜: 2022-11-30 13:45:46
  • 의대교육+융합의학교육+박사과정 통합 이수 의사공학자 배출
    신찬수 KAMC 이사장 "의대신설 없이 협력 강화하면 충분히 가능"

'의사과학자' 양성을 내걸고 의대신설 추진에 나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하 카이스트)의 계획이 공개됐다.

2004년부터 운영하던 '의과학대학원'을 의과학원으로 통합하고 의대 신설 및 분산돼 있던 의과학교육 분야를 합쳐 의사공학자를 집중육성 하겠다는 것.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김하일 교수

김하일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3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토론회에서 카이스트의 계획을 공유했다. 카이스트 주관으로 열린 토론회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과 같은당 정춘숙 의원(보건복지위원장)이 주최했다.

카이스트의 큰 방향은 의사공학자를 집중육성하고 바이오의학 복합단지(BioMedicine Complex)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카이스트는 2004년 의과학대학원을 설립 운영하고 있다.

이를 의대 신설을 계기로 '카이스트 의과학원'으로 통합 확대 개편해 분산된 의과학 교육과 연구 기능을 한데 모을 예정이다.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에는 25명의 전임교원이 있는데 이들은 지난해 71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IF가 13.5점 수준이다. 25명 중 5명이 창업을 했고 창업한 사람 중 4명은 의사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의료는 세계 최고의 선진국이라는 점을 부인하는 사람이 없지만 의학으로 가면 약해진다"라며 "투자도 노력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진료만 하는 게 아니라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의사 양성이 필요하다"라며 "분절돼 있는 의과학 인프라를 문지 캠퍼스에 복합단지로 조성하고 성장하면 오송에 캠퍼스 타운을 만들 것"이라고 운을 뗐다.

더불어 올해부터 5년 동안 130억원을 투입해 전주기적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카이스트 의사공학자 집중육성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카이스트 의사공학자 집중육성 프로그램

3년간 의학집중교육을 하고 이후 1년 동안 융합의학교육, 4년 박사과정을 밟는 프로그램이다. 3년 동안 기초과학, 기초의학, 임상의학, 임상실습 등 의학전공(152학점)을 한 후 1년은 MD-AI 전공, 의사과학기초(52학점)에 대해 공부한다. 이후 4년은 MD-AI 전공 및 디지털의학연구를 해 최종적으로 '의사공학자'를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김 교수는 "기존 카이스트의 뛰어난 인프라와 외부 인력을 활용해 임상과 과학을 잇는 새로운 형태의 의사공학자를 배출하려고 한다"라며 "이같은 교육과정을 겪은 사람이 임상으로 가는 것은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병원과의 네트워크 강화 일환으로 공공의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는 국립암센터와 원자력의학원과의 협력 연구를, 기존 카이스트와 연구협력을 맺은 11개 병원과도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했다.

신찬수 이사장, 신설보다는 협력에 방점의대와 콘소시엄 사업 제안

카이스트는 의대 신설을 통한 의사공학자 양성 포부를 밝혔지만 의료계는 전국에 분포한 40개 의과대학, 국립대병원, 카이스트가 협력하면 별도의 의대 신설 없이도 충분히 의사과학자를 양성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신찬수 KAMC 이사장

신찬수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의회(KAMC) 이사장은 ▲연구중심의대 사업 ▲개인지원사업 ▲의대-카이스트 콘소시엄 사업 등 세 가지를 제안했다.

신 이사장은 "의대가 전국에 40개가 있는데 종합대학에 포함돼 있다. 공과대, 자연과학대, 보건대학원 등과 다학제적 융합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가 있다"라며 "인재개발 파이프라인을 제시하고 학·석사 연계과정을 통해 학위와 연구를 병행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져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연구중심병원 사업이 있는데 병원은 실질적으로 진료하는 공간이다"라며 "연구는 대학에서 하는 게 맞다. 40개 의대에 인프라가 갖춰져 있으니 정부에서 관심을 갖고 지원해주면 성과를 더 많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의대는 보건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과 학·석사 연계과정을 만들어 의대 6년에 1년을 더 하면 석사를 주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일부 대학은 기초의학에 입문한 대학원생에게 임상에 있는 동기생과 비슷한 정도의 급여를 챙겨주기 위한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신 이사장은 "카이스트와 공동 커리큘럼을 개발, 공동학위 개발이 가능하다"라며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은 역사가 16년 정도 됐는데 의대 졸업 후 의과학대학원으로 이어달리기 시스템이 마련돼 있다. 발전시킬 여지가 있다"고 했다.

대신 국가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호소도 함께했다. 실제 현장에 있는 의사과학자들은 직업 불안정성 및 연구기회 부족 현실을 토로하고 있는 상황.

신 이사장은 "의사과학자 양성도 중요하지만 그들의 미래를 든든하게 보장해주지 않으면 젊은사람들이 갈 수가 없다"라며 "진료와 연구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신분안정, 연구비 수혜, 안정적 연봉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기부 이창윤 연구개발정책실장(왼쪽)과 복지부 이형훈 보건의료정책관

정부, 의사과학자 양성 큰 틀에는 공감하지만 미온적

정부 역시 의사과학자를 양성해야 한다는 큰 틀에 대해 공감했을 뿐, 의대 신설 문제에 대한 입장은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우리 사회의 의대 선호 현상은 고착화, 공고화가 됐다"라며 "1970년대 화학공학 분야에서 우수한 인력이 산업을 이끌었고, ICT 산업을 전기전자공학이 이끌었다면 바이오 헬스산업을 이끌고 나갈 수 있는 사람들이 의사과학자"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기부는 촘촘한 연구비 지원체계를 구축해 불안정한 연구경로를 택하는 사람들이 연구비를 확보하는 걱정만큼은 덜어야 지속할 수 있는 경로는 마련할 것"이라며 "병원이나 기관에서 의사과학자 연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신경쓰고 독립된 연구자로서 의사과학자가 양성되고 경력을 쌓아갈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복지부 이형훈 보건의료정책관도 "의협이라는 특성이 보수적이고 현장에서도 협의하고 협동하는 게 어렵다고 한다"라며 "그런 중에도 개방형 혁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의사과학자라는 일체화된 사람에 집중할 게 아니라 의대와 카이스트 등 이공계, 제약계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과학자를 양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