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JCI 인증에 의료계 관심, 정부도 평가 개선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이 우리나라 의료기관 가운데 처음으로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CI,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인증을 받음에 따라 국내 대형병원과 복지부 의료기관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세브란스병원은 5일 미국 JCI로부터 인증 통보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JCI는 JCAHO(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ospital)의 자회사로 국제적인 교육과 컨설팅, 의료기관평가를 하고 있으며, 2000년부터 국제인증을 해 왔다.
JCAHO는 1951년 미국내 병원들을 평가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법인 JCAH에서 명칭이 바뀐 것으로 자국 의료기관의 질 향상과 표준화, 의료기관 인증, 교육, 컨설팅을 하고 있다.
물론 JCI는 국제기구가 공인한 의료기관평가가 아니라 미국의 비영리단체의 평가에 불과하다.
다만 미국 의료가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지 않고, 이미 세계 23개국에서 125개 병원이 인증을 받았으며, 이중에는 세계적인 의료기관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공신력과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박창일 병원장은 “국내 처음으로 까다로운 국제 표준 의료서비스 심사를 통과함에 따라 앞으로 해외 유수 병원들과 경쟁할 수 있는 동일한 환자치료 조건을 갖춘 글로벌 의료기관으로 탄생하게 됐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미국 민간보험사들이 자국의 환자들을 다른 나라 의료기관에 진료 의뢰할 때 JCI 인증 여부를 최우선적으로 확인하고 있어 앞으로 해외환자 유치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게 세브란스병원의 설명이다.
특히 세브란스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의료기관평가의 경우 시설과 환자 만족도 등을 중심으로 평가하지만 JCI는 철저하게 의료적 측면을 평가한다는 측면에서 의료서비스의 글로벌 스텐다드를 인정받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따라서 세브란스병원의 JCI 인증은 다른 대형병원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당장 고대 안암병원이 JCI 인증을 받기 위해 평가 1단계인 컨설팅 과정을 밟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세브란스병원 관계자는 “현재 고대 안암병원 외에 일부 대학병원들도 벤치마킹을 요청하는 등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대한병원행정관리자협회 주최 학술대회에서 세브란스병원이 JCI 인증에 대해 소개하자 다수 참석자들이 질문을 던졌고, 병원협회도 최근 JCI Ann Jacobson 상임이사를 초청해 특강을 연 바 있어 국내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와 달리 몇 년 전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이 JCI 인증을 받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지만 신청서를 접수하지 않았다.
이는 비용부담이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체 평가항목이 1천여개에 달하고, 국내 의료기관 현실과 맞지 않지 않는 측면이 많았기 때문이다.
세브란스병원은 JCI 인증을 받기 위해 직접비만도 2~3억원이 투입됐으며, 인력 및 시설 보강비까지 포함하면 10억원 이상이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다 JCI가 국제의료기관 인증이라고 하지만 미국의 잣대일 뿐이어서 비용과 노력에 비해 실익이 많지 않다고 평가절하하는 지적도 없지 않다.
보건산업진흥원 유선주 연구원은 “JCI와 우리나라 의료기관평가는 평가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JCI 인증을 받으려는 국내 의료기관이 많아진다 하더라도 복지부 의료기관평가의 위상이 훼손되진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하지만 복지부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고, 해외진출을 노리는 의료기관들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인증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복지부 역시 JCI를 의료기관평가의 궁극적인 모델로 삼고 있다.
복지부 김강립 의료정책팀장은 5일 ‘의료기관평가 발전방향 모색’ 공청회에서 “국가인증을 희망하는 의료기관이 자발적으로 평가를 신청하면 평가후 공인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아시아 의료기관평가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것이 복지부의 구상이다.
JCI가 민간기구라는 점에서 복지부 국가공인과 다르지만 의료기관의 자발적 신청에 따라 평가후 인증하는 시스템이라는 측면에서 흡사하다.
JCI나 복지부가 의료기관평가 수출을 노리고 있다는 점도 유사한 발상이다.
보건산업진흥원 유선주 연구원은 “정부 의료기관평가도 서면평가에서 현장평가 중심으로 강화하고, 의료의 질적 평가비중을 높여나가 궁극적으로 아시아 의료기관평가시장 선점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JCI나 복지부 의료기관평가나 궁극적 방향은 일치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은 5일 미국 JCI로부터 인증 통보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JCI는 JCAHO(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ospital)의 자회사로 국제적인 교육과 컨설팅, 의료기관평가를 하고 있으며, 2000년부터 국제인증을 해 왔다.
JCAHO는 1951년 미국내 병원들을 평가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법인 JCAH에서 명칭이 바뀐 것으로 자국 의료기관의 질 향상과 표준화, 의료기관 인증, 교육, 컨설팅을 하고 있다.
물론 JCI는 국제기구가 공인한 의료기관평가가 아니라 미국의 비영리단체의 평가에 불과하다.
다만 미국 의료가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지 않고, 이미 세계 23개국에서 125개 병원이 인증을 받았으며, 이중에는 세계적인 의료기관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공신력과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박창일 병원장은 “국내 처음으로 까다로운 국제 표준 의료서비스 심사를 통과함에 따라 앞으로 해외 유수 병원들과 경쟁할 수 있는 동일한 환자치료 조건을 갖춘 글로벌 의료기관으로 탄생하게 됐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미국 민간보험사들이 자국의 환자들을 다른 나라 의료기관에 진료 의뢰할 때 JCI 인증 여부를 최우선적으로 확인하고 있어 앞으로 해외환자 유치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게 세브란스병원의 설명이다.
특히 세브란스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의료기관평가의 경우 시설과 환자 만족도 등을 중심으로 평가하지만 JCI는 철저하게 의료적 측면을 평가한다는 측면에서 의료서비스의 글로벌 스텐다드를 인정받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따라서 세브란스병원의 JCI 인증은 다른 대형병원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당장 고대 안암병원이 JCI 인증을 받기 위해 평가 1단계인 컨설팅 과정을 밟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세브란스병원 관계자는 “현재 고대 안암병원 외에 일부 대학병원들도 벤치마킹을 요청하는 등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대한병원행정관리자협회 주최 학술대회에서 세브란스병원이 JCI 인증에 대해 소개하자 다수 참석자들이 질문을 던졌고, 병원협회도 최근 JCI Ann Jacobson 상임이사를 초청해 특강을 연 바 있어 국내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와 달리 몇 년 전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이 JCI 인증을 받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지만 신청서를 접수하지 않았다.
이는 비용부담이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체 평가항목이 1천여개에 달하고, 국내 의료기관 현실과 맞지 않지 않는 측면이 많았기 때문이다.
세브란스병원은 JCI 인증을 받기 위해 직접비만도 2~3억원이 투입됐으며, 인력 및 시설 보강비까지 포함하면 10억원 이상이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다 JCI가 국제의료기관 인증이라고 하지만 미국의 잣대일 뿐이어서 비용과 노력에 비해 실익이 많지 않다고 평가절하하는 지적도 없지 않다.
보건산업진흥원 유선주 연구원은 “JCI와 우리나라 의료기관평가는 평가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JCI 인증을 받으려는 국내 의료기관이 많아진다 하더라도 복지부 의료기관평가의 위상이 훼손되진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하지만 복지부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고, 해외진출을 노리는 의료기관들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인증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복지부 역시 JCI를 의료기관평가의 궁극적인 모델로 삼고 있다.
복지부 김강립 의료정책팀장은 5일 ‘의료기관평가 발전방향 모색’ 공청회에서 “국가인증을 희망하는 의료기관이 자발적으로 평가를 신청하면 평가후 공인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아시아 의료기관평가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것이 복지부의 구상이다.
JCI가 민간기구라는 점에서 복지부 국가공인과 다르지만 의료기관의 자발적 신청에 따라 평가후 인증하는 시스템이라는 측면에서 흡사하다.
JCI나 복지부가 의료기관평가 수출을 노리고 있다는 점도 유사한 발상이다.
보건산업진흥원 유선주 연구원은 “정부 의료기관평가도 서면평가에서 현장평가 중심으로 강화하고, 의료의 질적 평가비중을 높여나가 궁극적으로 아시아 의료기관평가시장 선점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JCI나 복지부 의료기관평가나 궁극적 방향은 일치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