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경희대, 국내기술로 원격 로봇수술 성공적 시연
국내 의·과학자들이 개발한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이 처음으로 외부에 공개됐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로봇수술센터 나군호(비뇨기과)·형우진(외과)교수팀 등은 10일 식약청 워크숍에서 세브란스병원 수술실에 위치한 조종간을 움직여 경희대 수원캠퍼스 내에 설치된 경희SR1 로봇을 직접 움직여 돼지 창자를 집어 자르는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 시연을 선보였다.
이날 발표된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은 지난 2006년 3월 식약청 과제(연구책임자 경희대 김윤혁 교수)로 약 2년간 1억 5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경희대 김윤혁 교수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나군호·형우진교수, 건국대 김성민교수 등이 개발했다.
복강경수술용으로 개발된 로봇 기술은 크게 2개의 팔로 구성된 로봇 본체와 수술용 도구, 그리고 본체와 떨어진 조종용 콘솔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특히 이 로봇에는 과거 수술용 로봇에는 장착되지 않는 압력제어장치가 세계최초로 고안돼 장착됐다.
경희대 김윤혁교수는 “국내 자체기술을 이용해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면서 "앞으로 충분한 시간과 투자만 있으면 세계적으로도 큰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나군호교수도 “현재 국내 도입되어 있는 외국산 수술용 로봇과 비교해 아직은 단순한 절제나 고정만 가능한 수준으로 내시경, 봉합 등 아직 개발해야 할 점들이 있다"면서 "그러나 국산 수술용 로봇을 통해 고부가 가치시장인 세계의료시장에 뛰어들 수 있는 기반을 다진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복강경 로봇수술은 지난 2005년 7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이 처음으로 수술용 로봇을 도입한 이래 고대 안암병원, 아산병원,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등 국내 유수병원들이 앞 다투어 도입하고 있는 추세지만, 대당 25억원이라는 만만치 않은 비용과 고가의 운영비가 단점이었다.
연구진들은 이번에 개발한 국산 복강경 수술용 로봇기술이 상용화 되면 로봇수술이 필요한 많은 국내 환자들에게 값싸고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로봇수술센터 나군호(비뇨기과)·형우진(외과)교수팀 등은 10일 식약청 워크숍에서 세브란스병원 수술실에 위치한 조종간을 움직여 경희대 수원캠퍼스 내에 설치된 경희SR1 로봇을 직접 움직여 돼지 창자를 집어 자르는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 시연을 선보였다.
이날 발표된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은 지난 2006년 3월 식약청 과제(연구책임자 경희대 김윤혁 교수)로 약 2년간 1억 5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경희대 김윤혁 교수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나군호·형우진교수, 건국대 김성민교수 등이 개발했다.
복강경수술용으로 개발된 로봇 기술은 크게 2개의 팔로 구성된 로봇 본체와 수술용 도구, 그리고 본체와 떨어진 조종용 콘솔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특히 이 로봇에는 과거 수술용 로봇에는 장착되지 않는 압력제어장치가 세계최초로 고안돼 장착됐다.
경희대 김윤혁교수는 “국내 자체기술을 이용해 원격수술용 로봇제어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면서 "앞으로 충분한 시간과 투자만 있으면 세계적으로도 큰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나군호교수도 “현재 국내 도입되어 있는 외국산 수술용 로봇과 비교해 아직은 단순한 절제나 고정만 가능한 수준으로 내시경, 봉합 등 아직 개발해야 할 점들이 있다"면서 "그러나 국산 수술용 로봇을 통해 고부가 가치시장인 세계의료시장에 뛰어들 수 있는 기반을 다진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복강경 로봇수술은 지난 2005년 7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이 처음으로 수술용 로봇을 도입한 이래 고대 안암병원, 아산병원,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등 국내 유수병원들이 앞 다투어 도입하고 있는 추세지만, 대당 25억원이라는 만만치 않은 비용과 고가의 운영비가 단점이었다.
연구진들은 이번에 개발한 국산 복강경 수술용 로봇기술이 상용화 되면 로봇수술이 필요한 많은 국내 환자들에게 값싸고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