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료원연합회 신홍권 사무총장
"지방의료원연합회의 경우 지방의료원이 존재하기 때문에 있는 것입니다. 회원 병원들이 '연합회가 정말 필요하다', '유익한 기관이다'고 느끼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지방의료원연합회 신홍권 신임 사무총장은 최근 <메디칼타임즈>와 가진 인터뷰에서 앞으로의 각오를 이같이 밝혔다.
그는 "회원 병원들의 필요, 애로 사항에 대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적극적으로 유관기관에도 요구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취임한지 한달이 채 안됐지만 그는 우선 지방의료원의 개별 현안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등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그는 지방의료원의 최대 이슈를 수익성과 공공성의 조화로 꼽고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안정적 역할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 싶다고 밝혔다.
특히 일부 병원들의 만성적인 경영적자와 관련해서는 "자구노력으로 아무리해도 안되는 지역이라면, 병원이 필요하다는 전제아래 특별한 지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다만 "신중하게 원인을 파악해야 처방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방의료원은 2005년 지방의료원법에 의해 지방공사의료원에서 이름이 바뀌어 행정자치부 소속에서 복지부로 넘어왔다. 복지부는 이후 공공의료팀을 신설하고, 각 의료원에 신증축, 장비 구입 등을 위한 예산지원을 하면서 적극적인 지원책을 모색하고 있다.
신 사무총장은 이같은 방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1~2년을 가지고 성과를 이야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면서 "하지만 지방행정의 한 파트에 불과한 지방의료원이 복지부로 이관되면서 공공의료라는 중요한 정책의 흐름에 있어 그 비중에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이명박 정부의 등장으로 공공의료기관에 적극적인 지원을 했던 참여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가 큰 관심사. 특히 지방의료원의 입장은 더욱 그렇다.
신 사무총장은 우려를 하면서도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새 정부가 민간, 자율, 규제완화를 강화하는 측면이 있지만, 그런 과정에서 의료사각지대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면서 "민간이 하지 못하는 공공적 역할을 위해 오히려 지원이 확대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민간의 경우 수익이 나지 않으면 폐업하는데, 의료공백이 발생할 수가 있다"면서 "순수하게 생명과 관련된 일은 민간에만 맡기면 안되고, 공공의료기관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새 정부에서도 공공의료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면서 "새정부와 새 국회가 들어서면 공공의료의 좋은 점을 알리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 사무총장은 보건복지부(감사관, 기술협력관, 한방정책관, 가정복지심의관, 기초생활보장심의관 등)와 보건산업진흥원 기획관리본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 2일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 사무총장에 취임했다.
신 사무총장은 앞으로 3년의 임기동안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 34개 지방의료원의 관심사를 대변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지방의료원연합회 신홍권 신임 사무총장은 최근 <메디칼타임즈>와 가진 인터뷰에서 앞으로의 각오를 이같이 밝혔다.
그는 "회원 병원들의 필요, 애로 사항에 대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적극적으로 유관기관에도 요구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취임한지 한달이 채 안됐지만 그는 우선 지방의료원의 개별 현안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등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그는 지방의료원의 최대 이슈를 수익성과 공공성의 조화로 꼽고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안정적 역할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 싶다고 밝혔다.
특히 일부 병원들의 만성적인 경영적자와 관련해서는 "자구노력으로 아무리해도 안되는 지역이라면, 병원이 필요하다는 전제아래 특별한 지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다만 "신중하게 원인을 파악해야 처방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방의료원은 2005년 지방의료원법에 의해 지방공사의료원에서 이름이 바뀌어 행정자치부 소속에서 복지부로 넘어왔다. 복지부는 이후 공공의료팀을 신설하고, 각 의료원에 신증축, 장비 구입 등을 위한 예산지원을 하면서 적극적인 지원책을 모색하고 있다.
신 사무총장은 이같은 방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1~2년을 가지고 성과를 이야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면서 "하지만 지방행정의 한 파트에 불과한 지방의료원이 복지부로 이관되면서 공공의료라는 중요한 정책의 흐름에 있어 그 비중에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이명박 정부의 등장으로 공공의료기관에 적극적인 지원을 했던 참여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가 큰 관심사. 특히 지방의료원의 입장은 더욱 그렇다.
신 사무총장은 우려를 하면서도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새 정부가 민간, 자율, 규제완화를 강화하는 측면이 있지만, 그런 과정에서 의료사각지대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면서 "민간이 하지 못하는 공공적 역할을 위해 오히려 지원이 확대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민간의 경우 수익이 나지 않으면 폐업하는데, 의료공백이 발생할 수가 있다"면서 "순수하게 생명과 관련된 일은 민간에만 맡기면 안되고, 공공의료기관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새 정부에서도 공공의료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면서 "새정부와 새 국회가 들어서면 공공의료의 좋은 점을 알리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 사무총장은 보건복지부(감사관, 기술협력관, 한방정책관, 가정복지심의관, 기초생활보장심의관 등)와 보건산업진흥원 기획관리본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 2일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 사무총장에 취임했다.
신 사무총장은 앞으로 3년의 임기동안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 34개 지방의료원의 관심사를 대변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