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직장보험 5396명 추적 관찰
암 환자가 직업을 상실하고 있고 직업 복귀 또한 늦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은 12일 "암 환자 47%가 1년내 직업을 상실하고 이중 30%만이 5년내 직장에 복귀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직장보험 가입자 5396명을 6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이다.
연구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20대와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공무원 및 교직원보다는 민간기업 직원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암 진단 후 더 짧은 기간 안에 직업을 상실하고 직업 복귀도 더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혈병 환자와 뇌 및 중추신경계 암, 폐암, 간암 환자의 경우 다른 암 환자에 비해 짧은 기간 안에 직업을 상실하고 직업 복귀도 더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다른 암에 비해 중증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치료에 많은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러한 암을 가진 암 환자의 경우 다른 암 환자에 비해 직업을 유지하기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박재현 암정책지원과장은 “직장을 가진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로 암 환자의 성, 연령, 직업의 종류, 소득수준, 암종 등 암 환자가 처한 다양한 사회경제적 여건과 임상적 상황에 따라 직업상실과 직업복귀에도 차이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원인을 규명하고 암 환자가 일하는 직장에서 불필요한 차별이 일어나고 있지 않는지 심층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미국과 유럽 선진국의 경우 암 환자가 직장에서 실직, 감봉, 업무전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차별받지 않게 하는 법령을 제정하고 실제로 차별받지 않도록 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논문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월 10일자에 게재됐다.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은 12일 "암 환자 47%가 1년내 직업을 상실하고 이중 30%만이 5년내 직장에 복귀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직장보험 가입자 5396명을 6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이다.
연구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20대와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공무원 및 교직원보다는 민간기업 직원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암 진단 후 더 짧은 기간 안에 직업을 상실하고 직업 복귀도 더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혈병 환자와 뇌 및 중추신경계 암, 폐암, 간암 환자의 경우 다른 암 환자에 비해 짧은 기간 안에 직업을 상실하고 직업 복귀도 더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다른 암에 비해 중증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치료에 많은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러한 암을 가진 암 환자의 경우 다른 암 환자에 비해 직업을 유지하기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박재현 암정책지원과장은 “직장을 가진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로 암 환자의 성, 연령, 직업의 종류, 소득수준, 암종 등 암 환자가 처한 다양한 사회경제적 여건과 임상적 상황에 따라 직업상실과 직업복귀에도 차이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원인을 규명하고 암 환자가 일하는 직장에서 불필요한 차별이 일어나고 있지 않는지 심층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미국과 유럽 선진국의 경우 암 환자가 직장에서 실직, 감봉, 업무전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차별받지 않게 하는 법령을 제정하고 실제로 차별받지 않도록 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논문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월 10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