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적 따라 차등보상 가닥 "제한적 시행후 제도 보완"
대형병원 중 이례적으로 인센티브제를 보류해왔던 삼성서울병원이 최근 임상교수들에 대한 인센티브를 검토하고 나서 관심을 끌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임원진과 진료과장들을 중심으로 인센티브제도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하며 제도 도입에 따른 시행착오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고심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서울병원 최한용 원장은 14일 "진료실적별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상태"라며 "제도 시행시 나올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 하기 위한 보완책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50명의 환자를 보는 교수와 5명의 환자를 진료하는 교수 사이에 일정 부분 성과급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라며 "하지만 인센티브에 대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 신중히 접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삼성서울병원은 외부의 시각과는 달리 대형병원 중 이례적으로 진료실적별 인센티브 제도를 시행하지 않고 있었다.
우선 삼성서울병원이 지향하고 있는 '통합진료' 등 협진시스템과 배치되는 부분이 있으며 의료와 서비스의 질이 양으로만 측정되기는 힘들다는 기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은 임상교수들을 중심으로 성과급제가 운영되고 있지만 삼성서울병원은 개원 당시부터 인센티브제도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하지만 성과에 대해 일정부분의 보상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점차 고개를 들기 시작했고 경영진도 이같은 의견에 일정 부분 수긍하면서 인센티브제도 도입이 결정된 것이다.
그러나 인센티브제도 도입에는 우려의 목소리도 상당하다. 우선 삼성의 핵심 진료시스템인 협진시스템과 융합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일부 대형병원들의 경우 인센티브제도의 영향으로 협진진료에 상당한 난항을 겪으며 오히려 협진시스템이 붕괴되는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경영진들도 이같은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는 고개를 젓고 있다. 딱히 뚜렷한 대안은 없다는 것이 이들의 공통된 목소리.
하지만 우선 협진시스템의 안착이 최우선적인 과제니만큼 이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한적인 인센티브제를 도입하겠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복안이다.
최한용 원장은 "사실 협진과 인센티브는 공통분모를 갖기 힘든사업이 분명하다"며 "하지만 인센티브가 가지는 장점도 있고, 수요도 분명하기에 아예 제껴둘 수도 없는 부분"이라고 고민을 털어놨다.
이어 그는 "하지만 협진시스템은 어떤 상황에서도 접을 수 없는 삼성서울병원의 핵심"이라며 "협진시스템을 최우선에 놓고 제한적인 인센티브제를 도입한 뒤 추후 상황을 보며 제도를 보완해 가는 작업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임원진과 진료과장들을 중심으로 인센티브제도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하며 제도 도입에 따른 시행착오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고심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서울병원 최한용 원장은 14일 "진료실적별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상태"라며 "제도 시행시 나올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 하기 위한 보완책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50명의 환자를 보는 교수와 5명의 환자를 진료하는 교수 사이에 일정 부분 성과급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라며 "하지만 인센티브에 대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 신중히 접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삼성서울병원은 외부의 시각과는 달리 대형병원 중 이례적으로 진료실적별 인센티브 제도를 시행하지 않고 있었다.
우선 삼성서울병원이 지향하고 있는 '통합진료' 등 협진시스템과 배치되는 부분이 있으며 의료와 서비스의 질이 양으로만 측정되기는 힘들다는 기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은 임상교수들을 중심으로 성과급제가 운영되고 있지만 삼성서울병원은 개원 당시부터 인센티브제도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하지만 성과에 대해 일정부분의 보상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점차 고개를 들기 시작했고 경영진도 이같은 의견에 일정 부분 수긍하면서 인센티브제도 도입이 결정된 것이다.
그러나 인센티브제도 도입에는 우려의 목소리도 상당하다. 우선 삼성의 핵심 진료시스템인 협진시스템과 융합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일부 대형병원들의 경우 인센티브제도의 영향으로 협진진료에 상당한 난항을 겪으며 오히려 협진시스템이 붕괴되는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경영진들도 이같은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는 고개를 젓고 있다. 딱히 뚜렷한 대안은 없다는 것이 이들의 공통된 목소리.
하지만 우선 협진시스템의 안착이 최우선적인 과제니만큼 이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한적인 인센티브제를 도입하겠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복안이다.
최한용 원장은 "사실 협진과 인센티브는 공통분모를 갖기 힘든사업이 분명하다"며 "하지만 인센티브가 가지는 장점도 있고, 수요도 분명하기에 아예 제껴둘 수도 없는 부분"이라고 고민을 털어놨다.
이어 그는 "하지만 협진시스템은 어떤 상황에서도 접을 수 없는 삼성서울병원의 핵심"이라며 "협진시스템을 최우선에 놓고 제한적인 인센티브제를 도입한 뒤 추후 상황을 보며 제도를 보완해 가는 작업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