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진료과목 축소에 "공공병원 역할 포기" 비난
한국산재의료원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하병원 특성화정책을 추진하고 나서면서 지역내 노조 및 주민들과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의료원은 버릴것은 버리고 살릴 것은 살려 각자 병원의 특성에 맞는 진료시스템을 갖춘다는 계획이지만 노조와 주민들은 당장 진료과목이 축소되는 것에 불안감을 나타내며 반발하고 있는 것.
특히 대다수 산재의료원이 의료취약지역에 위치해 인근에 대체가능한 종합병원이 없다는 점에서 노조와 주민들의 반발이 쉽게 사그라들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산재의료원, 종합병원→일반병원 전환 가속화
28일 산재의료원 등에 따르면 최근 대전중앙병원은 대전시에 종합병원 폐지 신고서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대전중앙병원은 그간 적자를 면치 못했던 소아과와 산부인과 등을 폐지했으며 치과도 외주계약으로 변경했다.
이에 앞서 의료원 산하 인천중앙병원도 지난해 치과와 산부인과를 전면 폐지했으며, 창원병원도 창원시에 종합병원 기능을 중지할 것을 통보한 상태다.
이처럼 산재의료원 산하 병원들이 잇따라 필수 진료과를 폐쇄하자 주민들과 노조는 크게 반발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공공병원인 산재의료원이 종합병원의 기능을 포기하는 것은 주민들의 건강권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태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건의료노조 등은 해당 병원에 천막농성을 펼치며 종합병원 폐지 철회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공공기능 지켜야" vs "설립목적 찾아가는 것"
보건의료노조 관계자는 "대전중앙병원 같은 경우 대덕구내에 유일한 종합병원"이라며 "지역거점 병원 역할을 해온 종합병원이 사라질 경우 주민들의 건강권이 크게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공공병원인 산재의료원을 단순히 손익분기를 맞추기 위한 구조조정의 대상으로 바라봐서는 안된다"며 "전문가와 산재환자 단체, 노조와 주민들간 머리를 맞대고 공공성을 강화하는 발전방향을 수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덕구의회도 최근 성명서를 통해 "산재의료원이 종합진료 기능을 포기하면 산재의료서비스를 유지하는 것도 힘들수 밖에 없다"며 "지역사회의 요구에 따라 종합병원으로 존속시키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산재의료원을 비롯, 산하 병원들의 입장은 이와 다르다. 보다 나은 산재의료서비스를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산재의료원 관계자는 "산재의료원의 설립목적은 산재환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서비스"라며 "한정된 예산을 가지고 모든 진료과목을 운영해서는 특화된 산재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진료과 축소는 지역별, 병원별로 특화된 진료시스템을 구축해 산재보험시설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며 "정부도 이같은 방안에 대해 동의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노조 등은 이같은 병원의 입장이 핑계에 불과하다며 진료과 폐지를 철회할때까지 반대운동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어 산재의료원 특성화를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의료원은 버릴것은 버리고 살릴 것은 살려 각자 병원의 특성에 맞는 진료시스템을 갖춘다는 계획이지만 노조와 주민들은 당장 진료과목이 축소되는 것에 불안감을 나타내며 반발하고 있는 것.
특히 대다수 산재의료원이 의료취약지역에 위치해 인근에 대체가능한 종합병원이 없다는 점에서 노조와 주민들의 반발이 쉽게 사그라들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산재의료원, 종합병원→일반병원 전환 가속화
28일 산재의료원 등에 따르면 최근 대전중앙병원은 대전시에 종합병원 폐지 신고서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대전중앙병원은 그간 적자를 면치 못했던 소아과와 산부인과 등을 폐지했으며 치과도 외주계약으로 변경했다.
이에 앞서 의료원 산하 인천중앙병원도 지난해 치과와 산부인과를 전면 폐지했으며, 창원병원도 창원시에 종합병원 기능을 중지할 것을 통보한 상태다.
이처럼 산재의료원 산하 병원들이 잇따라 필수 진료과를 폐쇄하자 주민들과 노조는 크게 반발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공공병원인 산재의료원이 종합병원의 기능을 포기하는 것은 주민들의 건강권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태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건의료노조 등은 해당 병원에 천막농성을 펼치며 종합병원 폐지 철회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공공기능 지켜야" vs "설립목적 찾아가는 것"
보건의료노조 관계자는 "대전중앙병원 같은 경우 대덕구내에 유일한 종합병원"이라며 "지역거점 병원 역할을 해온 종합병원이 사라질 경우 주민들의 건강권이 크게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공공병원인 산재의료원을 단순히 손익분기를 맞추기 위한 구조조정의 대상으로 바라봐서는 안된다"며 "전문가와 산재환자 단체, 노조와 주민들간 머리를 맞대고 공공성을 강화하는 발전방향을 수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덕구의회도 최근 성명서를 통해 "산재의료원이 종합진료 기능을 포기하면 산재의료서비스를 유지하는 것도 힘들수 밖에 없다"며 "지역사회의 요구에 따라 종합병원으로 존속시키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산재의료원을 비롯, 산하 병원들의 입장은 이와 다르다. 보다 나은 산재의료서비스를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산재의료원 관계자는 "산재의료원의 설립목적은 산재환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서비스"라며 "한정된 예산을 가지고 모든 진료과목을 운영해서는 특화된 산재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진료과 축소는 지역별, 병원별로 특화된 진료시스템을 구축해 산재보험시설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며 "정부도 이같은 방안에 대해 동의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노조 등은 이같은 병원의 입장이 핑계에 불과하다며 진료과 폐지를 철회할때까지 반대운동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어 산재의료원 특성화를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