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산업을 국가 성장동력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연세대 서영준 교수(보건행정학)는 최근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주최로 열린 의료선진화 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200억불 규모의 전세계 해외환자 치료시장에서 10%를 가져온다고 하더라도, 다른 산업에 비하면 지극히 미미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정부는 2012년 연간 10만명의 해외환자가 방문해 겨우(?) 9000억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 및 고용창출을 예상하고 있다.
그는 "제약이나 의료기기의 경우 대상이 되며, 투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하지만 치료산업을 가지고 하려는 것은 과대포장"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어느순간부터 해외환자유치는 반드시 달성해야할 거대한 패러다임이 되고 말았다. 더 나아가 의료산업화, 의료선진화라는 주장도 마찬가지이다.
해외환자 유치뿐 아니라 영리법인 병원이, 일반인 병원 개설이, 자본투자 활성화가 새로운 국가성장동력이라는 말이 공공연한 진실이 되어버렸다.
실제로는 이러한 제도개선이 어떻게 국가성장동력이 되는지, 이 방향이 맞는지 제대로된 근거조차 내놓지 못하는 것이 현실인데 말이다. 일부 규제완화 차원이라면 이해라도 할 수 있다.
그러면서 공공의료를 주장하는 것은 '이념형' 주장이라는 낙인까지 찍어버렸다. 공공의료 강화가 의료산업화 보다 훨씬 더 편익이 높다는 근거는 주위에 널려있음에도 외면당하고 있다.
지금의 의료선진화, 산업화 논의가 실체없는 '유령'과 '허상'을 잡으려는 애달픈 노력으로 비춰지는 이유다.
연세대 서영준 교수(보건행정학)는 최근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주최로 열린 의료선진화 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200억불 규모의 전세계 해외환자 치료시장에서 10%를 가져온다고 하더라도, 다른 산업에 비하면 지극히 미미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정부는 2012년 연간 10만명의 해외환자가 방문해 겨우(?) 9000억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 및 고용창출을 예상하고 있다.
그는 "제약이나 의료기기의 경우 대상이 되며, 투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하지만 치료산업을 가지고 하려는 것은 과대포장"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어느순간부터 해외환자유치는 반드시 달성해야할 거대한 패러다임이 되고 말았다. 더 나아가 의료산업화, 의료선진화라는 주장도 마찬가지이다.
해외환자 유치뿐 아니라 영리법인 병원이, 일반인 병원 개설이, 자본투자 활성화가 새로운 국가성장동력이라는 말이 공공연한 진실이 되어버렸다.
실제로는 이러한 제도개선이 어떻게 국가성장동력이 되는지, 이 방향이 맞는지 제대로된 근거조차 내놓지 못하는 것이 현실인데 말이다. 일부 규제완화 차원이라면 이해라도 할 수 있다.
그러면서 공공의료를 주장하는 것은 '이념형' 주장이라는 낙인까지 찍어버렸다. 공공의료 강화가 의료산업화 보다 훨씬 더 편익이 높다는 근거는 주위에 널려있음에도 외면당하고 있다.
지금의 의료선진화, 산업화 논의가 실체없는 '유령'과 '허상'을 잡으려는 애달픈 노력으로 비춰지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