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조민행 교수팀, 신약개발에 도움 될 듯
국내 연구진이 광학이성질체의 구조 변화를 1조분의 1초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초고속 시분해능 원편광 이색성 분광법을 개발했다.
고려대 다차원분광학 연구단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다차원분광학 연구팀(연구책임자 조민행)은 현재의 실험방법과 도구로 측정이 불가능한 광학이성질체 감별법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연구 결과는 네이처(Nature)지 19일자에 게재된다.
현재 광학 이성질 분자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원편광 이색성 분광 측정법(circular dichroism)은 측정에 수초에서 수 시간이 걸릴 정도로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단백질 접힘-풀림 현상, 단백질-핵산 결합 현상, 생체 분자와 신의약 화합물간의 상호작용 등과 같이 1조분의 1초에서 백만분의 1초에 완결되는 현상을 관찰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극소 및 극초단 시그널을 증폭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조민행 교수는 "대부분의 의약 물질은 광학 이성질성의 생체 분자(단백질, 핵산)와 결합 또는 반응하기 때문에 상보적인 광학 이성질성을 가진다"며 "이번 연구가 학문적으로는 생명 현상의 메커니즘 규명, 그리고 산업적으로는 신약 개발을 위한 drug screening 장비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팀은 관련 장비와 기술에 대해 국제 특허를 출원했다.
고려대 다차원분광학 연구단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다차원분광학 연구팀(연구책임자 조민행)은 현재의 실험방법과 도구로 측정이 불가능한 광학이성질체 감별법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연구 결과는 네이처(Nature)지 19일자에 게재된다.
현재 광학 이성질 분자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원편광 이색성 분광 측정법(circular dichroism)은 측정에 수초에서 수 시간이 걸릴 정도로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단백질 접힘-풀림 현상, 단백질-핵산 결합 현상, 생체 분자와 신의약 화합물간의 상호작용 등과 같이 1조분의 1초에서 백만분의 1초에 완결되는 현상을 관찰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극소 및 극초단 시그널을 증폭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조민행 교수는 "대부분의 의약 물질은 광학 이성질성의 생체 분자(단백질, 핵산)와 결합 또는 반응하기 때문에 상보적인 광학 이성질성을 가진다"며 "이번 연구가 학문적으로는 생명 현상의 메커니즘 규명, 그리고 산업적으로는 신약 개발을 위한 drug screening 장비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팀은 관련 장비와 기술에 대해 국제 특허를 출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