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온도에 정자와 난자 영향 받아
여자 아기를 가지고 싶은 부부는 아프리카와 같은 열대 지방에 사는 것이 좋다는 연구결과가 Biology Letters에 실렸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아와 남아의 출생 비율은 열대, 온대 및 북극에 가까운 지역에서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차이는 남아 선호 같은 사회적 문화적 선호를 고려하더라도 유지됐다.
미국 조지아 대학의 크리스튼 나바라 박샅미은 1997-2006년 사이 202개 국가의 공식 자료를 수집해 분석했다.
전 세계적으로 남아 출생률은 51.3%, 여아 출생률을 48.7%였다. 그러나 이런 평균치는 위도에 따른 남녀 출생 비율의 차이를 상쇄하는 결과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열대 지방에서의 남아 우세률은 51.1%로 떨어졌다.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는 50.8%로 낮아졌다. 이런 현상은 열대 지방 전체에 걸쳐 나타났다.
나바라 박사는 열대 위도에서는 더 많은 여아들이 출생하며 이는 생활습관 및 사회적 경제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인간의 난자와 정자가 빛과 온도에 영향을 받아 한쪽 성으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전 포유류에 대한 연구에서 겨울 또는 일사량이 적은 시기에는 수컷이 더 많이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아와 남아의 출생 비율은 열대, 온대 및 북극에 가까운 지역에서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차이는 남아 선호 같은 사회적 문화적 선호를 고려하더라도 유지됐다.
미국 조지아 대학의 크리스튼 나바라 박샅미은 1997-2006년 사이 202개 국가의 공식 자료를 수집해 분석했다.
전 세계적으로 남아 출생률은 51.3%, 여아 출생률을 48.7%였다. 그러나 이런 평균치는 위도에 따른 남녀 출생 비율의 차이를 상쇄하는 결과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열대 지방에서의 남아 우세률은 51.1%로 떨어졌다.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는 50.8%로 낮아졌다. 이런 현상은 열대 지방 전체에 걸쳐 나타났다.
나바라 박사는 열대 위도에서는 더 많은 여아들이 출생하며 이는 생활습관 및 사회적 경제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인간의 난자와 정자가 빛과 온도에 영향을 받아 한쪽 성으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전 포유류에 대한 연구에서 겨울 또는 일사량이 적은 시기에는 수컷이 더 많이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