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삼성 등 장애인 홈피 개설…대비 나선 병원도 늘어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 초기 혼란을 겪던 대형병원들이 속속 장애인용 홈페이지를 개설하거나 준비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자금유동성이 부족한 중소형 종합병원들은 예산부족을 호소하며 발만 동동 구르는 모습이다.
삼성서울 등 대형병원, 홈페이지 개설 등 대응 나서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홈페이지 리뉴얼 사업을 통해 장애인용 홈페이지를 개설했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8일 "최근 발효된 장차법을 준수하기 위해 시각장애인용 홈페이지를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들은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에 링크된 전용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Explorer, Firefox, Opera, Safari 등 웹 브라우저에 상관없이 홈페이지 대부분의 기능을 음성안내 받을 수 있다.
서울대병원도 시각장애인용 홈페이지를 구성해 홈페이지 메인화면에 링크시켜놨다. 서울대병원 역시 소리눈 98 등 전용프로그램을 통해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키보드를 이용해 메뉴를 선택하고 화면을 이동할 수 있는 삼성서울병원의 시스템과 거의 동일한 구조다.
세브란스병원도 장애인용 홈페이지 구축을 위한 용역을 발주한 상태다. 또한 가톨릭중앙의료원도 컨설팅을 진행하며 사업준비에 한창이다.
가톨릭중앙의료원 관계자는 "의료원의 경우 산하 병원에 시스템을 일괄 적용해야 하기에 예산 등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현재 진행중인 통합의료정보시스템 등 현안사업과 일정을 맞춰 장애인용 홈페이지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중소병원들 발만 동동 "예산마련 어렵다"
이처럼 대형병원들은 속속 장차법 준수에 나선 반면 중소병원들은 아직 요지부동이다. 소요되는 예산이 만만치 않다는 하소연이다.
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원장은 "대형병원들이야 유동성이 풍부하니 조속한 대응이 가능한 것"이라며 "살림이 빠듯한 중소형 종합병원들에게는 장애인용 홈페이지 구축을 위한 예산마련이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실제로 홈페이지를 부분개편하는데만도 적게는 몇백만원에서 많게는 천여만원까지 들어가는 것이 현실"이라며 "여기에 음성인식 등 시스템까지 갖추려면 적어도 수천만원에서 1억원까지 들어가는데 왠만한 종합병원들이 이 금액을 감당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실제로 일부 업체 및 기 구축한 병원 등에 따르면 장차법에 맞춰 홈페이지를 리뉴얼 하는데 억대의 자금이 투입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에 간행물 개선작업까지 진행된다면 수억대 자금이 필요한 것이 현실. 그렇기에 대다수 종합병원들은 어찌해야 할지를 몰라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특히 올 하반기 복지부가 장차법 이행상황 점검에 나선다고 발표하면서 종합병원들의 혼란은 점차 가중되고 있다는 점에서 과연 종합병원들이 장차법 시행에 어떻게 대처해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지난달 장애인차별금지법이 발효되면서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들은 홈페이지나 간행물, 진료안내서 등에 장애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아 차별받은 장애인의 진정이 있을 경우 시정명령에 이어 징역형이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자금유동성이 부족한 중소형 종합병원들은 예산부족을 호소하며 발만 동동 구르는 모습이다.
삼성서울 등 대형병원, 홈페이지 개설 등 대응 나서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홈페이지 리뉴얼 사업을 통해 장애인용 홈페이지를 개설했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8일 "최근 발효된 장차법을 준수하기 위해 시각장애인용 홈페이지를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들은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에 링크된 전용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Explorer, Firefox, Opera, Safari 등 웹 브라우저에 상관없이 홈페이지 대부분의 기능을 음성안내 받을 수 있다.
서울대병원도 시각장애인용 홈페이지를 구성해 홈페이지 메인화면에 링크시켜놨다. 서울대병원 역시 소리눈 98 등 전용프로그램을 통해 음성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
키보드를 이용해 메뉴를 선택하고 화면을 이동할 수 있는 삼성서울병원의 시스템과 거의 동일한 구조다.
세브란스병원도 장애인용 홈페이지 구축을 위한 용역을 발주한 상태다. 또한 가톨릭중앙의료원도 컨설팅을 진행하며 사업준비에 한창이다.
가톨릭중앙의료원 관계자는 "의료원의 경우 산하 병원에 시스템을 일괄 적용해야 하기에 예산 등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현재 진행중인 통합의료정보시스템 등 현안사업과 일정을 맞춰 장애인용 홈페이지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중소병원들 발만 동동 "예산마련 어렵다"
이처럼 대형병원들은 속속 장차법 준수에 나선 반면 중소병원들은 아직 요지부동이다. 소요되는 예산이 만만치 않다는 하소연이다.
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원장은 "대형병원들이야 유동성이 풍부하니 조속한 대응이 가능한 것"이라며 "살림이 빠듯한 중소형 종합병원들에게는 장애인용 홈페이지 구축을 위한 예산마련이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실제로 홈페이지를 부분개편하는데만도 적게는 몇백만원에서 많게는 천여만원까지 들어가는 것이 현실"이라며 "여기에 음성인식 등 시스템까지 갖추려면 적어도 수천만원에서 1억원까지 들어가는데 왠만한 종합병원들이 이 금액을 감당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실제로 일부 업체 및 기 구축한 병원 등에 따르면 장차법에 맞춰 홈페이지를 리뉴얼 하는데 억대의 자금이 투입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에 간행물 개선작업까지 진행된다면 수억대 자금이 필요한 것이 현실. 그렇기에 대다수 종합병원들은 어찌해야 할지를 몰라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특히 올 하반기 복지부가 장차법 이행상황 점검에 나선다고 발표하면서 종합병원들의 혼란은 점차 가중되고 있다는 점에서 과연 종합병원들이 장차법 시행에 어떻게 대처해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지난달 장애인차별금지법이 발효되면서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들은 홈페이지나 간행물, 진료안내서 등에 장애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아 차별받은 장애인의 진정이 있을 경우 시정명령에 이어 징역형이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