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불공정거래 행위 잇따라 적발돼"
올해 역시 제약업계는 리베이트 문제로 몸살을 앓았다. 리베이트 근절 노력이 여느때보다 활발하나 한 번 들인 나쁜 습관이 쉽게 개선되지 않는 모양새다.
올해 리베이트 관련 사건은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부터 시작됐다. 공정위는 지난 1월 중순 의약품 불공정거래 행위로 적발된 7개사(다국적제약사 5곳, 국내제약사 2곳)에 총 204억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특히 D제약사는 오리지날 의약품이 원료 물질특허가 만료되자 복제약 가격을 비경쟁사업자 5개사를 활용해 선점해 경쟁사의 시장진입을 지연·방해하는 등의 새로운 불공정거래 유형을 선보이기도 했다.
5월에는 K제약사가 1700여곳의 병·의원에 리베이트를 수수한 사실이 보도됐으며, 6월에는 대기업 계열사인 D제약사가 자사 약을 처방한 의사에게 처방액의 25%를 리베이트로 제공한 사실이 밝혀져 사회적 파장을 낳았다.
한국제약협회에 올초 설치된 유통부조리신고센터를 통한 리베이트 제보도 잇따랐다.
6월에는 한국제약협회 회장사 A제약사가 의사 과다 골프접대 제공 협의로 협회 내 공정경쟁준수위원회 산하 징계위원회에 회부되는 웃지못할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0월에는 의약품유통부조리신고센터에 8개 제약사와 관련된 익명의 리베이트 제보가 이어졌다. 이 중 한 곳은 리베이트 사실을 인정한 상태며, 나머지 7개사는 조사 중이다.
얼마전 15일에는 중견제약사 Y사가 리베이트 제공 혐의로 식약청과 공정위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복지부 고위 관계자는 “제약업계의 리베이트는 하루 이틀 된 문제가 아니다”며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의약품 유통 부조리 근절은 솔직히 쉬운 일이 아니다. 솔직히 자신이 없다”며 리베이트 근절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올해 리베이트 관련 사건은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부터 시작됐다. 공정위는 지난 1월 중순 의약품 불공정거래 행위로 적발된 7개사(다국적제약사 5곳, 국내제약사 2곳)에 총 204억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특히 D제약사는 오리지날 의약품이 원료 물질특허가 만료되자 복제약 가격을 비경쟁사업자 5개사를 활용해 선점해 경쟁사의 시장진입을 지연·방해하는 등의 새로운 불공정거래 유형을 선보이기도 했다.
5월에는 K제약사가 1700여곳의 병·의원에 리베이트를 수수한 사실이 보도됐으며, 6월에는 대기업 계열사인 D제약사가 자사 약을 처방한 의사에게 처방액의 25%를 리베이트로 제공한 사실이 밝혀져 사회적 파장을 낳았다.
한국제약협회에 올초 설치된 유통부조리신고센터를 통한 리베이트 제보도 잇따랐다.
6월에는 한국제약협회 회장사 A제약사가 의사 과다 골프접대 제공 협의로 협회 내 공정경쟁준수위원회 산하 징계위원회에 회부되는 웃지못할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0월에는 의약품유통부조리신고센터에 8개 제약사와 관련된 익명의 리베이트 제보가 이어졌다. 이 중 한 곳은 리베이트 사실을 인정한 상태며, 나머지 7개사는 조사 중이다.
얼마전 15일에는 중견제약사 Y사가 리베이트 제공 혐의로 식약청과 공정위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복지부 고위 관계자는 “제약업계의 리베이트는 하루 이틀 된 문제가 아니다”며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의약품 유통 부조리 근절은 솔직히 쉬운 일이 아니다. 솔직히 자신이 없다”며 리베이트 근절에 어려움을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