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김강립 국장, 내년 2월 연구중심병원 지원계획 발표
도시지역 중소병원들은 전문병원으로 전환하는 것이 앞으로의 병원산업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제언이 나왔다.
보건복지가족부 김강립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4일 열린 전국 병원장 경영세미나에 참석해, 병원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을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이 같이 제언했다.
김 국장은 앞으로의 병원정책은 병원의 규모나 종별에 따라 역할 정립을 분명히 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일부 대학병원과 전문병원들을 연구중심병원을 육성하고, 전문병원을 활성화하는 후속 조치를 내놓을 계획.
그는 "병원이 연구를 통해 성장모델을 만드는 제도개선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진료와는 달리 확실한 수입을 보장할 수 없는 연구중심병원의 리스크를 어떻게 사회적으로 분담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내년 2월까지 연구중심병원에 대한 수가 우대, 인력 및 세제 지원 등을 포함한 육성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김 국장은 그러면서 현재의 중소병원의 역할정립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2011년 전문병원 제도가 시행되는데, 의료 접근성이 용이한 도시지역 중소병원은 전문병원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이들 병원에 대해서는 전문화 가능성을 열어주고,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의료취약지의 중소병원은 지역거점병원의 역할을 하도록 지원과 임무 부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또 앞으로의 병원은 역할이 확장되면서, 진료중심의 경계가 불분명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건강서비스 활성화 등을 통해 현재의 메디컬 서비스에 국한된 병원이 헬스케어 매니지먼트로 확대된다는 것이다.
그는 "이 같은 병원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규제의 적정화가 필요하다"면서 "자칫 규제의 완화들이 의료양극화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있는 만큼 이를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가족부 김강립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4일 열린 전국 병원장 경영세미나에 참석해, 병원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을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이 같이 제언했다.
김 국장은 앞으로의 병원정책은 병원의 규모나 종별에 따라 역할 정립을 분명히 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일부 대학병원과 전문병원들을 연구중심병원을 육성하고, 전문병원을 활성화하는 후속 조치를 내놓을 계획.
그는 "병원이 연구를 통해 성장모델을 만드는 제도개선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진료와는 달리 확실한 수입을 보장할 수 없는 연구중심병원의 리스크를 어떻게 사회적으로 분담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내년 2월까지 연구중심병원에 대한 수가 우대, 인력 및 세제 지원 등을 포함한 육성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김 국장은 그러면서 현재의 중소병원의 역할정립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2011년 전문병원 제도가 시행되는데, 의료 접근성이 용이한 도시지역 중소병원은 전문병원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이들 병원에 대해서는 전문화 가능성을 열어주고,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의료취약지의 중소병원은 지역거점병원의 역할을 하도록 지원과 임무 부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또 앞으로의 병원은 역할이 확장되면서, 진료중심의 경계가 불분명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건강서비스 활성화 등을 통해 현재의 메디컬 서비스에 국한된 병원이 헬스케어 매니지먼트로 확대된다는 것이다.
그는 "이 같은 병원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규제의 적정화가 필요하다"면서 "자칫 규제의 완화들이 의료양극화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있는 만큼 이를 불식시키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