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미래 불안…'취업-개업 여건 만들면 기피 해소'
|신년기획|메디칼타임즈-대전협 공동 설문조사
흉부외과, 외과에 근무중인 전공의 42%는 다시 인턴으로 돌아간다면 다른 전공을 선택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과 전공의들은 전문의 자격 취득후 어떤 진로를 택할 수 있을지 걱정하고 있어 외과와 흉부외과를 살리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었다.
메디칼타임즈와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새해를 맞아 흉부외과, 외과 전공의 60명을 대상으로 공동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58.3%의 전공의들은 다시 인턴으로 돌아가도 흉부외과와 외과를 지원하겠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다른 전공을 선택하겠다고 선택한 전공의도 41.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전공을 택하겠다고 답한 전공의 대부분은 성형외과, 피부과, 안과 등 인기과를 지원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그 이유로는 ‘몸이 편해서’, ‘경제적 이유로’, ‘개원이 편해서’ 등이 대부분이었다.
마취과를 전공하고 싶다는 전공의도 5%나 됐다.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을 것 같다는 게 마취과를 선호한 이유였다. 같은 이유로 병리과나 기초의학을 전공하고 싶다는 전공의도 많았다.
흉부외과, 외과를 선택한 이유로는 ‘학문적 매력’을 꼽았다. 응답자 중 83.3%가 이와 같이 답했다. 반면 ‘미래에 대한 비전’은 6.67%, ‘교수나 주변의 권유’가 1.67%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이들도 미래에 대한 고민이 상당했다. 설문에 응답한 전공의 가운데 45%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당직, 잡무 등 과도한 업무로 힘들다는 의견도 46.6%를 차지했다.
전공의들은 보건복지가족부가 2009년 7월 흉부외과와 외과의 수가를 각각 100%, 30% 가산한 것에 대해 일정 부분 기대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의견도 많았다.
수가 인상이 전공의 지원율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냐고 묻자 48.3%는 도움이 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그러나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 역시 33.3%였고,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답변도 18.3%나 차지하는 등 견해가 엇갈렸다.
이들 중 대부분은 흉부외과, 외과에 대한 전공의 기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월급 인상보다는 취업 또는 개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가장 시급한 대책을 묻자 전공의의 절반 이상(51.6%)이 취업 또는 개원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이어 하루 빨리 수가를 현실화 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35%로 뒤를 이었고 전공의 월급인상 등 수련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한 전공의도 13.3%였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이원용 회장은 “많은 전공의들이 저수가 정책 속에서 병원 운영을 위한 값싼 노동력으로 치부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의료 현실”이라며 “전공의들 중 절반이 당직과 잡무로 힘들어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하루 빨리 수가를 현실화 시키는 동시에 전문과목별 양극화를 해결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흉부외과, 외과에 근무중인 전공의 42%는 다시 인턴으로 돌아간다면 다른 전공을 선택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과 전공의들은 전문의 자격 취득후 어떤 진로를 택할 수 있을지 걱정하고 있어 외과와 흉부외과를 살리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었다.
메디칼타임즈와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새해를 맞아 흉부외과, 외과 전공의 60명을 대상으로 공동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하지만 다른 전공을 선택하겠다고 선택한 전공의도 41.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전공을 택하겠다고 답한 전공의 대부분은 성형외과, 피부과, 안과 등 인기과를 지원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그 이유로는 ‘몸이 편해서’, ‘경제적 이유로’, ‘개원이 편해서’ 등이 대부분이었다.
마취과를 전공하고 싶다는 전공의도 5%나 됐다.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을 것 같다는 게 마취과를 선호한 이유였다. 같은 이유로 병리과나 기초의학을 전공하고 싶다는 전공의도 많았다.
흉부외과, 외과를 선택한 이유로는 ‘학문적 매력’을 꼽았다. 응답자 중 83.3%가 이와 같이 답했다. 반면 ‘미래에 대한 비전’은 6.67%, ‘교수나 주변의 권유’가 1.67%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이들도 미래에 대한 고민이 상당했다. 설문에 응답한 전공의 가운데 45%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당직, 잡무 등 과도한 업무로 힘들다는 의견도 46.6%를 차지했다.

수가 인상이 전공의 지원율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냐고 묻자 48.3%는 도움이 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그러나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 역시 33.3%였고,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답변도 18.3%나 차지하는 등 견해가 엇갈렸다.
이들 중 대부분은 흉부외과, 외과에 대한 전공의 기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월급 인상보다는 취업 또는 개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어 하루 빨리 수가를 현실화 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35%로 뒤를 이었고 전공의 월급인상 등 수련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한 전공의도 13.3%였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이원용 회장은 “많은 전공의들이 저수가 정책 속에서 병원 운영을 위한 값싼 노동력으로 치부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의료 현실”이라며 “전공의들 중 절반이 당직과 잡무로 힘들어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하루 빨리 수가를 현실화 시키는 동시에 전문과목별 양극화를 해결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