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의료원 17% 할인율 적용 신호탄…업계 전전긍긍
<기획> 시장형 실거래가제 빛과 그림자의약품 저가구매 인센티브를 챙기려는 종합병원들의 제약사에 대한 압박이 강도를 더하고 있다. 단 한번 입찰 경쟁만으로 80억원 가량의 신규 수익을 얻은 경희의료원의 사례가 도화선이 됐다는 분석이다.
10월부터 시행된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저가구매 인센티브제)가 업계를 송두리째 뒤흔들고 있다. 의약품 상한가를 지키려는 쪽(제약)과 깎으려는 쪽(병원)의 신경전이 치열하고, 여기에 중간자 역할인 도매상의 이해관계까지 얽혀 있어 좀처럼 실타래를 풀지 못하는 모습이다. <메디칼타임즈>는 제도 초반 업계에 초래한 상황을 살펴보고,문제점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
<1> 제약-도매상들 저가구매제에 혼쭐
<2> "제네릭 유죄, 오리지널 무죄" 푸념
<3> 국내 제약사 자생력 확보 급하다
------------------------------------------------
종합병원은 10월부터 시작된 시장형실거래가 상환제로 인해 약을 상한가(기준가)보다 싸게 사 전년도보다 약제비를 줄이면 절감액의 70%를 인센티브로 받게 된다.
100억원을 줄이면 70억원을, 200억원을 줄이면 140억원을 받을 수 있다. 싸게 살수록 더 많은 돈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최근 병원측이 좀 더 싼 가격에 의약품을 사려고 발 벗고 나서는 이유다.
▲ 경희의료원 17% 할인율…울산대병원도 13%대 계약 체결
제도 시행 후 가장 큰 성과를 낸 병원은 도매업체로부터 기존 공급 의약품을 17% 싸게 구입하기로 계약한 경희의료원.
이 병원의 연간 원내 소요약 규모가 640억원 가량(경희대병원 370억원, 동서신의학병원 270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17% 할인으로 110억원 정도의 약제비를 전년도보다 절감할 수 있게 됐다.
따라서 경희의료원은 절감액의 70%인 약 80억원을 인센티브로 받을 수 있게 됐다.
병원측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았다. 내년 1월 의약품 재선정 작업을 실시하기로 한 것. 경쟁을 한 번 더 붙여 약값을 더 깎겠다는 심산이다.
병원 관계자는 "내년 1월 의약품 재선정 과정은 같은 성분 중 병원이 인정하는 더 싼 약이 있으면 교체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다만 싼 약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첫 결과가 이렇자, 저가구매에 나선 병원들의 움직임이 과감해지는 모습이다. 경희의료원 입찰이 잣대가 된 것이다.
간단한 입찰 경쟁만으로 적게는 수십억원대의 인센티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최근 입찰 계약을 맺은 울산대병원(입찰 규모 350억원)도 13% 가량의 할인율로, 약 30억원의 신규 이익을 얻게 됐다.
이밖에 부산대·경상대·경북대·전북대병원 등도 저가구매 입찰에 나서고 있다.
부산대, 경북대 등 일부 병원은 앞선 입찰에서 일부 품목만 유찰되거나 전 품목이 유찰되는 과정을 겪었는데, 공격적인 병원측 예정가격(예가) 제시 및 입찰 방식이 그 원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 제약계, 저가구매 압박 확산될라 '노심초사'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자, 제약계는 저가구매 압박 움직임이 전 병원으로 확산되지 않을까 크게 우려하고 있다.
특히 이같은 움직임은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등 추후 대형 병원들의 저가구매시 참고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큰 불안요소라고 했다.
도매업체 K모 사장은 "경희의료원에서 예상치 못한 할인율이 나와 병원들의 움직임이 과감해졌다"며 "가뜩이나 저가구매제라는 칼 자루를 하나를 더 갖게 된 병원들이 경희 사례로 호랑이 등에 날개를 단 격이 됐다"고 우려했다.
이 사장은 "더 문제는 삼성서울, 서울아산 등 큰 병원들이 본격적으로 저가구매에 나섰을 때"라며 "이같은 사례가 계속 발생할수록 도매업체의 고심은 깊어질 수 밖에 없다. 병원은 영원한 갑이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
국내 상위 모 제약사 임원도 "다국적사 오리지널이 기준가를 고수한다고 봤을 때, 높은 할인율 부담은 고스란히 국내사 제네릭에게 전가될 것"이라며 "토종 제약사만 죽어나게 됐다"고 걱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