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진 의원, 기부금 지적…병원들 "언제적 얘기를 하나"
|국감현장|
국립대병원들이 최근 3년간 모은 기부금이 478억원에 달하는데다 제약회사 등 거래처로부터 기부를 받는 관행이 여전해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들 병원들은 순수한 기부금을 댓가성 금액으로 치부하는 것에 대해 억울하다고 반박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춘진 의원(민주당)은 21일 국정감사에서 국립대병원들의 기부금 현황을 공개하고 부적절한 관행을 타파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올해 9월까지 국립대병원들이 병원발전후원회를 만들어 기부받은 금액은 총 478억 6115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에는 서울대병원이 346억원을 받아 전체의 72%에 달했으며 부산대병원 43억, 제주대병원 23억 순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부금이 제약회사 등 병원 거래처에 집중돼 있어 문제라는 지적이다.
서울대병원에 발전기금을 기부한 회사는 A제약, B약품 등 제약회사와 C메디컬 등 병원 거래처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김 의원의 주장이다.
또한 부산대병원도 거래처인 D의료기가 거액을 기부했으며 경상대병원은 E커피 등 병원내 입주시설이, 제주대병원은 F건설회사가 발전기금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렇듯 기부금을 걷고 있는 병원발전위원회가 임의단체인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주장이다.
충북대병원은 별도 조직도 없이 홍보팀을 기부금품 창구로 지정해 후원금을 관리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국립대병원 발전후원회는 모두 임의단체였다.
김춘진의원은 "작년 카이스트 KI빌딩 사건, 제주대학교 국제언어 문화교육센터 신축공사와 같이 대학이 갑인 관계에서 거래 상대방의 지위를 이용한 부적절한 기부금품 모집 관행이 여전하다"며 "제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병원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과거 사례를 가지고 순수한 기부금까지 매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국립대 관계자는 "문제가 된 제약사 기부금은 이미 몇년이나 된 일이며 그때 회사 CEO의 개인적인 친분으로 기부했다는 것이 밝혀진 사건"이라며 "올해 사업을 감사해야지 왜 몇년전 일을 꺼내 문제를 삼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우리 병원은 이미 2007년 7월부터 제약사 기부금을 거부해오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을 의원실에 충분히 전달했는데 반영되지 않아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국립대 관계자도 "기부문화의 확산을 도와야할 국회의원이 마치 기부가 댓가성 뇌물이라는 식으로 몰아가는 것이 맞는 것이냐"며 "다른 병원도 마찬가지겠지만 우리 병원의 경우 기부금 사용현황을 모두 공개하며 투명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대병원들이 최근 3년간 모은 기부금이 478억원에 달하는데다 제약회사 등 거래처로부터 기부를 받는 관행이 여전해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들 병원들은 순수한 기부금을 댓가성 금액으로 치부하는 것에 대해 억울하다고 반박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춘진 의원(민주당)은 21일 국정감사에서 국립대병원들의 기부금 현황을 공개하고 부적절한 관행을 타파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올해 9월까지 국립대병원들이 병원발전후원회를 만들어 기부받은 금액은 총 478억 6115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에는 서울대병원이 346억원을 받아 전체의 72%에 달했으며 부산대병원 43억, 제주대병원 23억 순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부금이 제약회사 등 병원 거래처에 집중돼 있어 문제라는 지적이다.
서울대병원에 발전기금을 기부한 회사는 A제약, B약품 등 제약회사와 C메디컬 등 병원 거래처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김 의원의 주장이다.
또한 부산대병원도 거래처인 D의료기가 거액을 기부했으며 경상대병원은 E커피 등 병원내 입주시설이, 제주대병원은 F건설회사가 발전기금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렇듯 기부금을 걷고 있는 병원발전위원회가 임의단체인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주장이다.
충북대병원은 별도 조직도 없이 홍보팀을 기부금품 창구로 지정해 후원금을 관리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국립대병원 발전후원회는 모두 임의단체였다.
김춘진의원은 "작년 카이스트 KI빌딩 사건, 제주대학교 국제언어 문화교육센터 신축공사와 같이 대학이 갑인 관계에서 거래 상대방의 지위를 이용한 부적절한 기부금품 모집 관행이 여전하다"며 "제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병원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과거 사례를 가지고 순수한 기부금까지 매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국립대 관계자는 "문제가 된 제약사 기부금은 이미 몇년이나 된 일이며 그때 회사 CEO의 개인적인 친분으로 기부했다는 것이 밝혀진 사건"이라며 "올해 사업을 감사해야지 왜 몇년전 일을 꺼내 문제를 삼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우리 병원은 이미 2007년 7월부터 제약사 기부금을 거부해오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을 의원실에 충분히 전달했는데 반영되지 않아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국립대 관계자도 "기부문화의 확산을 도와야할 국회의원이 마치 기부가 댓가성 뇌물이라는 식으로 몰아가는 것이 맞는 것이냐"며 "다른 병원도 마찬가지겠지만 우리 병원의 경우 기부금 사용현황을 모두 공개하며 투명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