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 과학 발전과 안보·생명윤리 상충 사례 소개
과학 연구는 위험과 혜택의 경계선상에 놓여 있다.
최근 미국 정부는 사이언스와 네이처에 제출된 독감 바이러스 H5N1을 이용해 전염성을 갖도록 만든 연구 일부를 공개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 생물의학적 연구결과를 테러 리스트가 악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의과학 연구결과가 약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정부 등 제3의 기관이 개입하는 것을 놓고 논란이 됐다.
그러자 네이처는 과학 발전과 국가 안보, 윤리 사이에서 딜레마에 놓여있는 연구 주제 4가지를 소개했다.
◆방사성 동위원소 연구…핵발전 VS 핵무기
방사성 동위원소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은 많은 물리학자에게 꿈의 기술이다. 레이저를 이용한 방사성 동위원소 분리는 의학적으로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 마크 라이젠 교수는 뼈 질환을 진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동위원소 칼슘-48, 암치료에 좋은 효과를 보이는 니켈-64를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를 개발했다.
하지만 방사성 동위원소 분리는 핵무기를 만드는데도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래서 핵무기를 개발하는데 불법적인 작업을 감추는 행위를 쉽게 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2004년 레이저를 이용해 몇 주 안에 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순도를 가진 소량의 우라늄을 정제해 냈다. 이 연구는 국제조사단에 의해 밝혀지기 전까지 몇년 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많은 물리학자들은 레이저와 동위원소가 위험 확산의 가능성이 있다며 라이젠 교수의 기술 개발의 중단과 자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라이젠 교수는 "사회적 공공선을 위해 물리학 발전은 더욱 필요하다. 물론 위험이 존재하지만 과학적 아이디어를 막을 수는 없다"고 못 박았다.
◆뇌 연구…빅브라더 VS 뇌스캔
기능성 MRI(fMRI)의 출현으로 뇌 혈액의 흐름을 감시한 뇌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이를 통해 사람의 생각을 읽어내 통제할 수도 있다는 '빅브라더'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먼 미래적인 일이지만 실제로 사업가들은 이 분야에 뛰어들고 있다. 미국에서는 두개 기업이 fMRI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임신부 유전자 연구…아기에 대한 축복 VS 생명윤리
유전학자들은 앞으로 어떻게 아기들의 유전적 염기서열을 알 수 있는가에 대한 것에서 아기들의 미래의 행위와 건강을 이해하는데 유전자 염기서열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관심이 옮겨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에 심각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현재 환자에 대한 유전 정보가 쏟아지고, 연구가 활발한 상황에서 이들에 대해 어떤 조언을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없다.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스테판 퀘이크 교수는 "질병을 표적으로 삼는 것을 넘어서 태아 유전체에 대한 완전한 염기서열 분석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앞으로 낮은 가격으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생명윤리학자인 헨리 그릴리는 "일반적인 검사에서 많은 임신부들이 아기를 포기할 수 있다. 특히 다운증후군을 갖고 있는 아이의 부모들은 사회적이고 법적인 불명예를 안고 살 수 있다"고 환기시켰다.
◆기후변화 연구…구세주 VS 기후재앙
많은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지구공학이라고 이야기한다. 지구환경을 전지구적인 수준에서 조작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그러나 비판자들은 지구공학이 극단적으로 무모한 방법이며 지구온난화의 폭발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지구공학 분야 연구에 대한 대립은 영국 정부가 기후공학을 위한 성층권 입자주입(SPICE)에 대한 연구비 지원 소식이 들리면서다.
SPICE는 1km 길이의 호스에 물을 주입해 공기 중에 뿌리는 것이 기본 아이디어로 미세한 입자를 성층권에 뿌려 지구로 향하는 태양빛을 반사시켜 온도를 낮추는 원리를 증명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현재 이 실험은 중단된 상태다.
환경론자들은 도덕적 해이가 있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대한 논의가 정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가들이 연구를 핑계로 탄소 배출한도를 결정하는 문제를 빠져나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 정부는 사이언스와 네이처에 제출된 독감 바이러스 H5N1을 이용해 전염성을 갖도록 만든 연구 일부를 공개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 생물의학적 연구결과를 테러 리스트가 악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의과학 연구결과가 약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정부 등 제3의 기관이 개입하는 것을 놓고 논란이 됐다.
그러자 네이처는 과학 발전과 국가 안보, 윤리 사이에서 딜레마에 놓여있는 연구 주제 4가지를 소개했다.
◆방사성 동위원소 연구…핵발전 VS 핵무기
방사성 동위원소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은 많은 물리학자에게 꿈의 기술이다. 레이저를 이용한 방사성 동위원소 분리는 의학적으로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 마크 라이젠 교수는 뼈 질환을 진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동위원소 칼슘-48, 암치료에 좋은 효과를 보이는 니켈-64를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를 개발했다.
하지만 방사성 동위원소 분리는 핵무기를 만드는데도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래서 핵무기를 개발하는데 불법적인 작업을 감추는 행위를 쉽게 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2004년 레이저를 이용해 몇 주 안에 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순도를 가진 소량의 우라늄을 정제해 냈다. 이 연구는 국제조사단에 의해 밝혀지기 전까지 몇년 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많은 물리학자들은 레이저와 동위원소가 위험 확산의 가능성이 있다며 라이젠 교수의 기술 개발의 중단과 자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라이젠 교수는 "사회적 공공선을 위해 물리학 발전은 더욱 필요하다. 물론 위험이 존재하지만 과학적 아이디어를 막을 수는 없다"고 못 박았다.
◆뇌 연구…빅브라더 VS 뇌스캔
기능성 MRI(fMRI)의 출현으로 뇌 혈액의 흐름을 감시한 뇌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이를 통해 사람의 생각을 읽어내 통제할 수도 있다는 '빅브라더'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먼 미래적인 일이지만 실제로 사업가들은 이 분야에 뛰어들고 있다. 미국에서는 두개 기업이 fMRI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임신부 유전자 연구…아기에 대한 축복 VS 생명윤리
유전학자들은 앞으로 어떻게 아기들의 유전적 염기서열을 알 수 있는가에 대한 것에서 아기들의 미래의 행위와 건강을 이해하는데 유전자 염기서열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관심이 옮겨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에 심각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현재 환자에 대한 유전 정보가 쏟아지고, 연구가 활발한 상황에서 이들에 대해 어떤 조언을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없다.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스테판 퀘이크 교수는 "질병을 표적으로 삼는 것을 넘어서 태아 유전체에 대한 완전한 염기서열 분석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앞으로 낮은 가격으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생명윤리학자인 헨리 그릴리는 "일반적인 검사에서 많은 임신부들이 아기를 포기할 수 있다. 특히 다운증후군을 갖고 있는 아이의 부모들은 사회적이고 법적인 불명예를 안고 살 수 있다"고 환기시켰다.
◆기후변화 연구…구세주 VS 기후재앙
많은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지구공학이라고 이야기한다. 지구환경을 전지구적인 수준에서 조작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그러나 비판자들은 지구공학이 극단적으로 무모한 방법이며 지구온난화의 폭발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지구공학 분야 연구에 대한 대립은 영국 정부가 기후공학을 위한 성층권 입자주입(SPICE)에 대한 연구비 지원 소식이 들리면서다.
SPICE는 1km 길이의 호스에 물을 주입해 공기 중에 뿌리는 것이 기본 아이디어로 미세한 입자를 성층권에 뿌려 지구로 향하는 태양빛을 반사시켜 온도를 낮추는 원리를 증명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현재 이 실험은 중단된 상태다.
환경론자들은 도덕적 해이가 있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대한 논의가 정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가들이 연구를 핑계로 탄소 배출한도를 결정하는 문제를 빠져나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