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패혈증 환자 251명 비교…"복지부 외면할 건가"
중환자실을 전담하는 의사 유무에 따라 환자 사망률이 크게 달라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SCI급 국제저널에 실려 주목을 받고 있다.
25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28곳에 패혈증으로 입원한 환자 251명의 사망률을 비교한 연구 결과다. 연구책임은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고윤석 교수가 맡았다.
고윤석 교수는 6일 "우리나라 데이터 만으로 SCI급 국제저널에 실린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Journal of Critical Care에 곧 실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한중환자의학회는 중환자실 전담의 인정을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자료만으로 이뤄진 논문이 국제저널에 실리면서 정부를 설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51명의 연구 대상 환자 중 중환자실 전담의가 있는 곳의 환자는 78명, 없는 곳의 환자는 173명이었다.
이들 환자 가운데 각각 14명, 72명이 사망했다. 중환자실 전담의가 없는 병원에서 환자가 약 5배 더 많이 사망했다.
중환자실 전담의 유무에 따라 환자들의 중증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사망률은 전담의가 있는 중환자실은 17.95%, 없는 곳은 41.62%였다. 23.67%p나 차이가 난 셈이다.
고 교수는 "현재 중환자실 세부전문의는 1200명에 달한다. 열심히 공부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사장시키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환자의학회는 13년 동안 중환자실 전담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근거 만들기에 주력하고 있다.
이미 이번 연구결과를 비롯해 신종플루 유행 당시 중환자 사망률, 아시아 16개국 중증 패혈증 사망률 조사결과를 정부에 제출한 상태다.
중환자의학회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9~10년 세계적으로 신종플루가 유행할 당시 사망률은 미국이 7%, 프랑스가 16.7%인데 반해 한국은 33%를 기록했다.
또 우리나라 중환자실 신종플루 사망률은 병원별로 4배까지 차이가 났다.
중환자의학회 신증수 회장은 "학회는 복지부에 중환자실 전담의 유무에 따른 사망률 차이 자료를 전달했다. 복지부도 이미 알고 있지만 외면하고 있다. 어떤 대형사고가 터져야 움직일 것인가"라며 비판했다.
25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28곳에 패혈증으로 입원한 환자 251명의 사망률을 비교한 연구 결과다. 연구책임은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고윤석 교수가 맡았다.
고윤석 교수는 6일 "우리나라 데이터 만으로 SCI급 국제저널에 실린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Journal of Critical Care에 곧 실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한중환자의학회는 중환자실 전담의 인정을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자료만으로 이뤄진 논문이 국제저널에 실리면서 정부를 설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51명의 연구 대상 환자 중 중환자실 전담의가 있는 곳의 환자는 78명, 없는 곳의 환자는 173명이었다.
이들 환자 가운데 각각 14명, 72명이 사망했다. 중환자실 전담의가 없는 병원에서 환자가 약 5배 더 많이 사망했다.
중환자실 전담의 유무에 따라 환자들의 중증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사망률은 전담의가 있는 중환자실은 17.95%, 없는 곳은 41.62%였다. 23.67%p나 차이가 난 셈이다.
고 교수는 "현재 중환자실 세부전문의는 1200명에 달한다. 열심히 공부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사장시키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환자의학회는 13년 동안 중환자실 전담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근거 만들기에 주력하고 있다.
이미 이번 연구결과를 비롯해 신종플루 유행 당시 중환자 사망률, 아시아 16개국 중증 패혈증 사망률 조사결과를 정부에 제출한 상태다.
중환자의학회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9~10년 세계적으로 신종플루가 유행할 당시 사망률은 미국이 7%, 프랑스가 16.7%인데 반해 한국은 33%를 기록했다.
또 우리나라 중환자실 신종플루 사망률은 병원별로 4배까지 차이가 났다.
중환자의학회 신증수 회장은 "학회는 복지부에 중환자실 전담의 유무에 따른 사망률 차이 자료를 전달했다. 복지부도 이미 알고 있지만 외면하고 있다. 어떤 대형사고가 터져야 움직일 것인가"라며 비판했다.